알도와 떠도는 사원
김용규.김성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알도와 떠도는 사원
 
<알도와 떠도는 사원>은 여타 판타지 소설과는 다르게 '철학 판타지'라는 장르를 달고 나왔다.
'철학'이라는 학문에서 볼 수 있듯이, 약간은 따분하고 지루할지도 모른다는 선인겹이 생긴다.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인식론'과 '선악론'을 다뤘기에 그다지 따분하거나 지루하진 않았지만,
중간중간에 약간은 교과서식 서술에 의존하고 있어, 이야기가 늘어지는 느낌이 있었다.
 
전반적인 이야기 구조는 판타지의 그것과 흡사했으나, 결말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좀더 힘을
실어줘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 소설이 바라는 바가 그것이 아님을 알기에
현재의 결말 부분도 나쁘지 않다. 약간 두서 없었지만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확실히 전한.
 
지상의 헤파이토스라 불린 장인(匠人) 다이달로스, 그는 현 시대의 '과학 기술'을 상징하며,
크레타 왕의 신임을 얻어, 미노타우로스를 가두는 미로를 만들며, 승승장구하는 듯이 보였다.
하지만 결국은 영웅 테세우스와 아리아드네의 실로 인해, 왕의 미움을 받아 탑에 갇히게 된다.
 
그는 여기서 또 하나의 실수를 하게 되는데, 바로 탑에서 탈출하기 위해 하늘(신의 영역)을
침범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한 번의 경험으로 인해, 반성하게 된 그는 아들인 이카로스에게
"너무 높이도 너무 낮게도 날지 말거라"라고 충고하며, '이성의 속성(양면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카로스는 자만에 취해 너무 높이 날다가, 즉 신의 영역을 넘어서다가, 추락해서
바다에 빠져 죽고 만다. 이것은 이카로스의 추락을 통해 '이성의 한계'를 경고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오늘날의 과학자들에겐 '비판 의식', 즉 '스스로를 감시하는 눈'이 필요하다.
 
이 소설은 판타지적 요소가 가득했지만, 교과서적 서술에 묻혀, 이해하기 힘들고 어려웠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기를, 그리고 기억하기를 바란다. 알도가 레나를 기억하듯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