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일곱 송이 붉은 연꽃 샘깊은 오늘고전 3
허난설헌 지음, 이경혜 엮음, 윤석남.윤기언 그림 / 알마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물일곱 송이 붉은 연꽃
 
허난설헌이 살았던 조선 시대는 여성들이 억압받던 시대였다. 진보적인 문인인 박지원 조차도
'여성이 시를 읊는다는 것을 별로 아름답지 않다'고 보았으니, 그 폐해를 어찌 다 말하랴.
 
우리에게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의 누이 정도로만 알려진 허난설헌은 명문 가정에서 태어나
형제들과 함께 공부하고 교양을 쌓았다. 하지만 당시에는 글 읽는 여성을 탐탁치않게 여겼으니,
그녀의 불행은 김성립에게 시집오면서 시작된다. 아내가 남편보다 재주가 뛰어난 것을 보고
사람들은 남편 김성립을 비웃었고, 마침내 그도 그녀에게서 멀어졌다. 시댁에선 그녀를 배척했다.
 
거기다 어린 나이에, 채 못 다 피우고, 생을 마감한 두 아이를 보며, 어미의 마음은 찢어졌으리라.
그리하여 자신이 꿈에서 본 '스물일곱 송이 붉은 연꽃'처럼, 스물일곱의 나이에 짧은 생을 마감했다.
그러나 허난설헌은 '시대의 제약'과 '개인의 불행'을 뛰어넘는 환상적인 시 세계를 이루었고,
누이의 재능을 안타까이 여겼던 허균에 의해, 중국과 일본으로 전해져 많은 사랑을 받게 된다.
 
이 책에서 보여진 그녀의 시를 통해, 예전엔 알지 못했던 그녀의 새로운 모습을 그릴 수 있었다.
<차라리 길가에 버릴지라도>에서는 애교 넘치고, 질투심 강하고, 사랑이 넘치는 여인의 모습을,
<연밥 따는 노래>에선 수줍어하면서도 솔직하게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는 어여쁜 처녀의 모습을,
<편지>에선 악록화란 선녀와 안권이란 신선을 통해서 아릅답고 자유로운 사랑을 마음껏 드러냈다.
 
그리고 형제들과 함께 시와 풍류를 즐기며 자란 허난설헌이 남성적인 면모를 드러낸 시도 있다.
<젊은이의 노래>에선 젊음에 대한 부러움과 자신의 청춘에 대한 안타까움을 엿볼 수 있고,
<군사들의 노래>에선 늠름한 장군의 기백을 힘차고 승리감 있게 그려, 자신의 꿈을 담아냈다.
<아들을 잃고 통곡하다>에선 연달아 남매를 잃은 그녀의 피 토해내는 듯한 슬픔에 목이 메였다.
 
이경혜 님이 잘 다듬어 주셔서, 내게 막연했던 허난설헌의 시는 마음 속에 깊은 울림을 남겼다.
마치 찬 서리 품은 서풍(현실)을 맞고, 시들어 가는 난초(허난설헌)가 은은한 향기를 이어가듯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