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급쟁이로 살기엔 인생이 너무 짧다
김의경 지음 / 거름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창업혹은 1인기업에 대한 책들이 많이 쏟아지고 있다. 쇼핑몰 창업,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것들도 많이 눈에 뛴다. 그리고 이미 직업을 갖고 있으면서도 자신의 취미를 좀더 살리고 재능을 키울 수 있는 활동영역으로 넓히는 사람도 있다. 프리랜서나 혹은 투잡스에 대한 것들이 바로 그것이다.
대기업에서 그리고, 닷컴기업으로 그리고 창업을 꿈꾸고 투자를 받기 위해 뛰는 사람들을 위해 창투사에 몸담은 한 사람. 그 사람이 사람들과 만나면서 듣고 경험한 이야기들을 소재로 하여 이 시대를 사는 월급쟁이들에게 무겁지 않게 ‘경고’하고 있는 한 권의 책이 새로 나왔다.
불안한 현실을 탓만 하고 있을 것이 아니라, 현재 갖고 있는 것은 무엇이며, 부족한 것들을 채우기 위해 더 많은 노력과 경주를 게을리 하지 말라고 한다. 목적도 없이 단지 회사만 차리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세상이 그리 만만하지 않음을 알지 못하고 덤빈다.
그럼, 우리에게 주어진 삶을 낭비하지 않고 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까? 나이가 더 들면 더 힘들어진다. 인생을 낭비하는 하는 ‘유죄’라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는 그리고 2000년을 전후한 우리 경제의 흐름을 다시한번 음미하며, 월급쟁이의 삶에 만족하지 말고, 인생을 좀 더 가치있게 살기 위한 방법을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를 이야기 해 준다.
자기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것은 첫 번째가 좋은 아이템이어야 하며, 두 번째는 확실한 수익모델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운영의 묘이다. 그것은 그때 그때의 현명한 의사결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들이 기본적으로 어우러져야 한다.
“서로가 공감하는 비전 아래서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며 다양한 아이디어나 실행방안을 가지고 많은 시행착오를 할 수 있는 유연한 조직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정해진 대로 따라가는 삶이 아닌 환경에 적응하는 삶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
저자가 경험을 통해 살펴본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 6가지와 치명적인 유혹과 실수 6가지를 각각 제시해 주고 있다. 충분한 사업타당성 검토를 토대로 만들어진 아이템, 환경적응능력 향상, 실패한 경험, 충분한 네트워크 활용, 철저한 자금관리, 리더쉽이 바로 그 성공한 사람들이 갖추고 있었던 특징으로 분류를 했다. 실수 6가지는 그럼 무엇인가?
제일 먼저는 허황된 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그림만 크지 그 안에 담겨있는 내용을 전혀 알 수 없는 것이다. 영화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업은 현실적인 싸움임을 있지말라는 점을 지적해 준다. 두 번째는 투자받는 돈에 대한 관리부실, 창업의 목적 부실, 능력부재, 직원관리 부실,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바로 그 점이다.
앞으로 10년 후 우리 경제가 어려움에 처할 것이라는 예측과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일본과 같은 길을 가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10년 후, 하여튼 지금의 이러한 어두운 터널을 걷어내야 할 과제가 앞에 놓여 있다. 각각의 삶의 방식과 목표에 따라 사물을, 현 상황을 보는 눈은 각각 다를 것이며, 그것에 따라 해결방법도 다르게 존재한다.
현재 위치파악이 끝나고 사업을 결심했다면, 적극적인 자세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사업계획을 세웠다면, 적극적으로 투자자를 찾아나서야 한다. 허황된 그림이 아니라, 진실되고, 솔직하게 투자자에게 접근해야 한다. 각자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도 좋다.
<월급쟁이로 살기엔 인생이 너무 짧다>는 많지 않은 글이지만, 사업계획서를 들고 투자를 받기 위해 찾아가는 곳, 창업투자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저자의 현장경험이야기가 담겨 있어서 더 현실적인 이야기들이 들어 있다.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이 시간을 좀 더 가치있게 살 아야 할 이유가 있다. 그 이유를 깨닫고 싶다면 한번 들추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