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켄 블랜차드 외 지음, 조천제 옮김 / 21세기북스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동생한테 생일선물로 이 책을 사달라고 졸랐다. 이 무렵은 내가 아이들에게 휘둘리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나에게 칭찬이 부족하다는 것을 많이 느낀 때였던 것 같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칭찬을 많이 해주고자 이 책을 사달라고 했던 것. 결국 다 읽지 못하고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두자' 하였지만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겨울방학을 맞았다.
'어떤 행동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면 그 행동이 반복된다.'
정말일까? 잘은 모르겠다. 내가 아이들에게 집중하고 있는 문제들, 즉 떠드는 문제, 수업시간에 돌아다니고 장난치는 문제, 폭력을 쓰는 문제, 나에게 대드는 문제들에 집중하면 그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걸까. 거기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는 것은 다시 생각해 볼 일이고 결단하기 무지 어려운 일이다(특히 나에게 대들었을 때는;;). 저학년에게 그 방법이 통할지도 솔직히 의문이다.
그리고 명확한 목표에 대한 이야기. 나의 교육목표가 분명하고 아이들이 요구하는 목표(?)가 나의 목표와 맞아들어간다면 금상첨화겠지만, 그럴 일은 정말 극히 드물다. 그러나 생각해볼 것은, 나의 교육목표가 분명하고 구체적인가 하는 점이다.
그리고 아이들이 잘했을 때 나는 칭찬해주는 데 무척 인색하다. 잘했을 때는 혼자 내버려두어서는 안 되고 칭찬해주어야 한다. 특히 저학년의 경우;; 그리고 과정을 칭찬해야 한다. 과정은 움직이는 칭찬의 목표다!!
그리고 내가 제일 실천하기 어려운 전환반응에 대해서는 길게 다루어야 할 것 같다.
1. 잘못이나 문제점을 가능한 한 빨리, 정확하게, 책망하지 않으면서 설명한다.
2. 잘못된 일의 좋지 않은 영향을 알려준다.
3. 일을 명확하게 알려주지 못한 것에 대한 책임을 진다.
4. 업무를 자세히 설명하고 명확하게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5. 상대방에 대한 지속적인 신뢰와 확신을 표현한다.
1번부터가 참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그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와 우리반 아이들은 1년 내내 삐걱거렸다. 그리고 나에게 책임을 돌리지 않았고 아이들에게 책임을 돌렸다. 2번을 읽으면서는 [교사역할훈련]에서 나메시지가 생각났다. 나메시지를 표현할 때 좋지 않은 영향을 언급한 부분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고래반응.
1. 즉각적으로 칭찬하라.
2. 사람들이 잘했거나 대체로 잘해낸 일에 대해 명확하게 말하라.
3. 사람들이 한 일에 대해 느끼는 긍정적인 감정을 공유하라.
4. 계속해서 일을 잘해나가도록 격려하라.
->> 스스로 동기화할 수 있는 힘을 심어주는 것
>> 성실하고 정직할 때만 가능
잘한 일을 잡아내는 것은 잘못한 일을 잡아내는 것보다 어렵다. 왜냐하면 나는 어릴 때부터 잘못한 일을 잡아내는 데 더 길들여져 있기 때문이다. 개학하면 일단 바꾸려고 시도하겠지만..(아이들이 도와줘야 할 텐데;;) 아이들의 장점 찾기는.. 많은 아이들이 한 반에 있을 경우에 정말 힘들다. 그리고 아이들이 많은 만큼 각 아이들을 동기화하는 요소를 찾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꼭 해야 하는 일이다.
하루 아침에 완전히 바뀌지는 않겠지만, 개학날부터 당장 해보려고 한다. 하루에 칭찬 다섯 번만 했다면, 그 다음날은 열 번 하기로 정할 수도 있을 거고.. 계속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언젠가는 내 사고 또한 긍정적으로 바뀔 것이라 믿는다.
완전한 앎은 실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