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리새우 : 비밀글입니다 - 제9회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 대상 수상작 문학동네 청소년 42
황영미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체리새우: 비밀글입니다](황영미, 문학동네)
-제9회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 대상

[죽이고 싶은 아이]와 또다른 감성이다.

중고등학생 때가 많이 생각났다. 그때 나는, 내 생각은 없고, 친구의 의견을 좇았던 것 같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는 더 심해서, 친구들에게 내 생각을 확인받고 싶어 했던 것 같다. 이 책은, 은따로 지내던 아이가 한 친구의 도움으로 무리에 들었다가, 그 무리가 친구들을 비판하는 데 주인공도 (이유도 모른 채) 동조하며 겨우 친구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다른 친구 무리를 만나며 (자신을 잃게 만든) 원래 무리와 손절하고, 자신의 생각을 마음껏 펼치게 된다는 이야기로 끝맺는다. 주인공은 (자신을 그대로 받아들여주는) 다른 친구 무리를 잘 만나서 다행인데, 현실에서는 못 만날 가능성도 있다.

개인적으로 학창시절 친구가 많이 남아 있지 않다. 학교급별로 한 두 명 정도 남아 있고, 그마저도 사실 연락을 잘 하지 않는다. 아, 이건 결혼과 출산, 육아의 영향도 크다. 대학교 때도 선교단체 활동만 열심히 해서인지 과 친구는 한 명도 남지 않았다. 신기하게도 발령받은 곳에서 같은 과인 동기를 만난 적이 없어서(후배는 여러 번 만났지만) 전혀 불편하지 않았다. 아, 1정 연수 받을 때 보기는 했는데 그 순간뿐이었고, 오히려 다른 과 아이들과 친하게 지냈다. 오히려 혼자가 편할 지경이었다. 그래서 지금도 혼자가 편한 건가.

아웃사이더로 지내며 친구관계를 고민하는 사춘기 학생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기한 방귀 가루 괴짜 박사 프록토르 1
요 네스뵈 지음, 페르 뒤브비그 그림, 장미란 옮김 / 사계절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기한 방귀 가루](요 네스뵈/장미란 옮김, 사계절)

이 책은 [울리는 수업]에서였나 봤던 것 같다. 읽고 보니 로알드 달이 생각나는 책이었다. ‘괴짜 박사 프록토르1‘이라고 적혀 있는 걸 보니 시리즈물인 것 같아서 검색했다. 5권까지 나온 나머지 책들도 빌려볼까 생각하고 있다.

***
2권 신기한 비누 거품
3권 달 카멜레온을 막아라!
4권 금괴 도둑과 비밀 정원
5권 크리스마스를 구하라!

자신들을 괴롭히는 아이 둘을 방귀가루로 날려보낼 생각을 하다니. 재미있다고 생각했다. 이 책을 보니 관점을 살짝 바꾸면 위기를 유쾌하게 넘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불레가 아나콘다를 만났을 때 방귀가루를 쓸 거라 생각했는데, 아나콘다 뱃속에 들어간 이후에 방귀가루를 썼다. ‘이렇게 잡아먹힌다고?‘라고 생각했는데 역시 뱃속에서 방귀가루를 썼다. 아나콘다를 만났을 때 방귀가루를 썼어도 이야기를 비슷하게 전개시켰으려나.

이런 책들은 가볍게 읽는다고 생각을 했던 적이 많아서, 이런 책을 독서토론으로 쓰실 수 있다니 신기하다고 생각했다. 나는 책이 일종의 도피이기도 해서, 혼자 책 읽는 시간에만 그저 만족했던 것 같다. 독서모임에 참여한지 이제 만 4년 정도 됐는데, 이제 조금씩 책에 대한 생각이 확장되는 느낌이라, 아이들에게까지 이 마음이 전해지려면 얼마나 걸릴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집 식탁이 사라졌어요! 우리학교 그림책 읽는 시간
피터 H. 레이놀즈 지음, 류재향 옮김 / 우리학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터 레이놀즈 책으로, 이 작가의 책은 [점], [느끼는 대로]를 읽었다. 이 책이 나올 무렵부터 이 책을 읽고 싶었는데 시간을 잘 내지 못했다. <알쓸신잡2>에서 유현준 교수님이 하셨던 말이었던 것 같은데, 고대 가족들은 불을 중심으로 생활했다고 한다. 그게 현대로 오면서, 불이 TV가 되었다고 하셨더랬다.-부엌의 ‘불‘이 중심이 되어야 할 것 같은데, 가족이 어디에 모이는지 생각해봤을 때 TV 앞이라고. 그리고 이제는 TV에서 벗어나 게임기,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사람의 마음을 앗아가니, 가족이 얼굴을 마주보고 함께하는 시간이 줄어들었다. 작가는 이 상황을 식탁이 점점 줄어들어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내고, 급기야 식탁이 사라져서 주인공이 가족과 함께 식탁을 만든다는 내용으로 전개한다.
식탁을 함께 만들기 전까지는 보라색만 가득했다가(주인공 이름도 바이올렛), 이후로는 각각의 색채를 띄고 있는 것도 작가의 의도이리라. 이 책으로도 이야기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세 살 우리는 우리학교 상상 도서관
문경민 지음, 이소영 그림 / 우리학교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세 살 우리는](문경민/이소영 그림, 우리학교)

문경민 선생님 책은 [훌훌], [화이트타운]을 읽었다. 어쩐지 [훌훌]보다 더 좋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우투린 하나린 시리즈를 제외하고) 제일 최근에 출판된 작품이다.
이 책은 단순한 6학년 이야기가 아니다. 가족과 사회의 어두운 단면도 함께 담고 있다. 그래서 더 좋았다. 희망 퇴직 요구와 그에 맞서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다. 마음이 맞는 줄 알았던, 자신의 사정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던 새로운 친구에게 마음을 열다가 뒤통수 맞은 이야기도 있다.-이 부분이 제일 인상적이었다. 친하게 지내던 친구에게서 외로움을 느끼고 멀어져서, 궁극에는 하지 말아야 할 이야기까지 했던 친구에게 용서를 빌고 화해하는 이야기도 있다. 사회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지만, 스스로 돌이키고 용서를 비는 모습이 마음에 남았다. 요즘은 이런 아이들 찾기 힘든데, 라는 생각에서. 보리의 꿈은 무엇이었을까.
이 책에서는 보리가 제일 마음에 와 닿았지만,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는 세희의 이야기도 궁금했다. 어쩌다 그렇게 된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커 가면서 알게 된 세상은 결코 만만하지 않았다. 정정당당한 싸움이나 승부가 명확하게 갈리는 일은 스포츠 경기에서나 벌어지는 것이었다. 하고 싶은 일을 모두가 할 수 있게 되는 것도 아니었다. - P195196

어쨌든 세희는 거짓말쟁이였다. 사연이야 있을 수 있어도 그 애가 저지른 일들을 ‘그래서 그랬던 거구나.‘ 하는 식으로 이해할 수는 없었다. - P2152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