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3학년 2반 7번 애벌레 - 제20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 저학년 부문 대상 수상작 ㅣ 첫 읽기책 8
김원아 지음, 이주희 그림 / 창비 / 2016년 3월
평점 :
[나는 3학년 2반 7번 애벌레]
-재독
3학년 교육과정에 배추흰나비 키우기가 있고, 배추흰나비를 키웠으니 온책읽기도 이 책으로 하자 싶어서 다시 읽었다. 질문 만들기를 하느라 시간이 좀 걸렸는데, 질문을 주제별로 묶는 연습을 해야 할 것 같다. 일단은 질문만 적어본다. 정말 대략 만든 질문이다.
아, 그리고 뒤에 나만의 국어사전 만들기 할 때 쓰려고 또 한 번 더 읽었다...
1. 애벌레의 탄생
1) 7번 애벌레가 알을 깨고 태어나서 제일 처음 한 일은 무엇이었나요?(9쪽) 알껍데기 씹어 먹기
2) 7번 애벌레는 왜 7번 애벌레가 되었나요?(11쪽) 위로 태어난 형님이 여섯이나 있어서(일곱 번째로 태어나서)
3) 7번 애벌레는 왜 처음에 노란색이었나요?(13쪽) 아직 잎을 안 먹어서
4) 6번 애벌레는 7번 애벌레에게 교실에서 태어난 게 왜 행운이라고 말했나요?(14쪽) 안전해서(나쁜 녀석이 못 들어오고, 먹을 걸 찾아다니지 않아도 돼서)
5) 애벌레가 밖에서 태어나면 어떻게 되나요?(14쪽) 애벌레를 먹는 녀석들이 막 돌아다님, 바깥세상 잎에는 농약이 묻어서 굶어 죽거나 농약에 취해 죽음
6) 7번 애벌레의 집 이름은 무엇인가요?(15쪽) 방충망
7) 방충망의 역할은 무엇인가요?(15쪽) 애벌레 보호
8) 방충망에 있는 애벌레의 기분은 어떨까요?
2. 나비가 되실 몸
1) 7번 애벌레가 찾은 재미있는 놀이는 무엇인가요?(18쪽) 구멍 뚫기 놀이
2) 3번 애벌레가 다른 애벌레보다 빠른 까닭은 무엇인가요?(19쪽) 최선을 다해 먹어서
3) 애벌레가 입고 있는 옷을 무엇이라고 부르나요?(20쪽) 허물
4) 나비가 되려면 허물을 몇 번 벗어야 하나요?(20쪽) 4번
3. 무늬 만들기
1) 잎을 너무 많이 먹으면 어떤 신호가 오나요?(23쪽) 입이 아프고 머리가 뻐근함
2) 7번 애벌레는 배가 부를 때 어떻게 하나요?(23쪽) 하늘을 본다
2-1) 여러분은 배가 부를 때 어떤 행동을 하나요?
3) 7번 애벌레가 보는 하늘은 무슨 모양인가요?(24쪽) 조그만 네모 모양
4) 7번 애벌레는 구름을 보고 어떤 생각을 했나요?(24쪽) 모두 아름답다, 하얀 구름처럼 나도 새하얀 나비가 되고 싶다
4-1) 하늘(또는 구름)을 본 적 있나요? 어떤 모양을 보았나요? 어떤 생각을 했나요?
5) 애벌레는 구름의 다양한 모양을 보고 잎에 여러 가지 (구멍)을 만들었다.(25쪽)
6) 내 무늬를 알아봐 주는 건 (아이들)뿐이야.(27쪽)
6-1) 나를 알아주는 친구가 있나요?
4. 내가 만난 아이들
1) 우리 집(방충망)은 어디 있나요?(29쪽) 교실 뒤 창가
2) 방충망 옆 푯말에는 무엇이라고 적혀 있나요?(29쪽) 새로운 가족
2-1) 애벌레가 가족이 될 수 있을까요?
3) 애벌레를 교실에 데려온 건 누구인가요?(31쪽) 선생님
4) 애벌레들이 선생님을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31쪽) 애벌레들을 잘 돌봐줘서(청소, 똥 치우기, 가끔 별미 배춧잎 넣어주기)
5) 7번 애벌레는 왜 아이들을 더 좋아하나요?(32쪽) 7번 애벌레에게 말을 걸어주고, 7번 애벌레가 만든 무늬를 좋아해서
6) 7번 애벌레의 특별한 이름은 무엇인가요?(32쪽) 무늬 애벌레
7) 애벌레의 다리는 몇 개인가요?(34쪽) 8쌍
8) 내 눈에는 다리 두 개로 걸어 다니는 너희가 훨씬 (징그럽거든)!(34~35쪽)
9) 아이들은 왜 애벌레가 징그럽다고 했을까요? 다리가 많아서(34쪽)
9-1) 내가 제일 징그러워 하는 게 있다면? 왜 징그러워 하나요?
9-2) 징그러워하는 동물이 나를 본다면 뭐라고 했을까요?
10) 7번 애벌레는 인간이 내는 소리 중 어떤 소리가 가장 듣기 좋다고 했나요?(36쪽) 웃음소리
5. 형님의 경고
1) 다른 애벌레들은 왜 7번 애벌레를 싫어하나요?(37쪽) 아이들이랑 친하게 지내서, 잎에 무늬를 만들어서
2) 무늬를 만들면 다른 애벌레들이 다른 잎으로 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37쪽) 무늬 때문에 적들이 애벌레를 한눈에 찾을 수 있어서
3) 2번 형님의 경고를 쓰세요.(39쪽) ˝7번 애벌레, (인간들을 조심해).˝
4) 2번 형님은 애벌레의 목적이 무엇이라고 했나요?(39쪽) 빨리 나비가 되는 것
5) 왜 빨리 나비가 되어야 한다고 했나요?(39쪽) 나비가 되어야 위험할 때 쉽게 도망칠 수 있어서
6) 2번 형님은 왜 인간들을 조심하라고 했나요? 인간은 우리처럼 작은 생명에 관심이 없어서(40쪽), 아이들은 무엇이든 만지길 좋아해서(41쪽)
6-1) 여러분도 곤충을 만지는 것을 좋아하나요?
6. 번데기 의식
1) 번데기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44쪽) 입에서 실을 뽑는다->실로 방충망에 몸을 단단히 묶는다(여러 번 되풀이해서)
2) 번데기가 된 후로 번데기는 어떻게 변하나요?(44쪽) 몸 색깔이 녹색에서 갈색으로 바뀐다. 매끈하던 몸매가 (나무껍질처럼) 울퉁불퉁해진다
3) 번데기가 되었을 때 애벌레들의 약속은 무엇인가요?(44쪽) 번데기 주변에 아무도 얼씬하지 않는 것
4) 서로가 서로를 (지켜주는) 약속인 셈이지.(44쪽)
5) 7번 애벌레는 어떻게 ˝아이들을 조심해!‘라는 말 뜻을 알게 되었나요?(7장과 연결) 바가지 머리(충걸이)의 행동 때문에
7. 비상사태
1) 바가지 머리는 애벌레들을 만지기 위해 어떤 행동을 했나요?(47-48쪽) 방충망 천장 열기, 손 넣어 만지기, 방충망 흔들기
2) 방충망을 흔들자 어떤 일이 벌어졌나요? 동생 애벌레들이 우수수 떨어짐(49쪽)
8. 손이 남기고 간 것
1) 선생님은 충걸이에게 어떻게 나무랐나요?(54쪽) ˝한 번만 (애벌레 입장)에서 생각해 봐.˝
2) 선생님이 충걸이를 나무랐을 때, 충걸이는 뭐라고 변명했나요?(54쪽) ˝혼자 한 거 아니에요! 그리고 사람이 벌레 입장을 어떻게 생각해요!˝
2-1) 여러분은 벌레의 입장을 생각할 수 있나요?
2-2) 벌레의 입장을 생각하지 못하는 충걸이에게 뭐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3) 3학년 2반 아이들이 방충망을 흔들자 애벌레들은 어떻게 되었나요?(56쪽) 형님 애벌레들은 무사했지만 작은 애벌레들이 시름시름 앓다가 죽음, 살아 있어도 다리가 부러지거나 몸 여기저기가 다침
4) 손이 지나간 자리는 (상처)만 남아.
5) 인간들은 우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이 없나 봐. 중요한 건 그저 자신들의 (호기심)뿐인 것 같아.(57쪽)
9. 새로운 잎
1)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애벌레 사건으로 미안한 마음을 담아 집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져오라고 했나요?(60쪽) 싱싱한 잎 하나씩 깨끗이 씻어서
2) 애벌레들은 왜 한쪽에 있는 싱싱한 잎들을 먹지 않았나요?(63쪽) 농약이 묻어 있어서
10.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1) 7번 애벌레는 왜 우리 집을 지옥이라고 느꼈을까요?(65쪽) 방충망 때문에 아무 데도 갈 수 없어서
1-1) 지옥이라고 느끼는 곳이 있나요?
2) 우리 집을 안전한 집이 아니라고 생각한 까닭 세 가지를 쓰세요.(65쪽) 거대한 손가락, 뜨거운 태양, 굶주림
3) 12번 애벌레는 7번 애벌레에게 뭐라고 불만을 말했나요?(68쪽) 무늬만 만들 줄 알지 아는 게 하나도 없다
4) 방충망 안에서는 애벌레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서 인간들에게 무늬를 만들어 도움을 요청하기로 합니다. 어떤 무늬를 만들려고 했나요?(69쪽)
가위표를 만들어서
11. 모두 함께 가위표
1) 무늬를 만들자는 7번 애벌레의 말을 다른 애벌레들이 듣지 않자 7번 애벌레는 뭐라고 말했나요?(75쪽) 8번 애벌레를 중심으로 모두 모이라고 했다.
2) 애벌레들은 어떻게 가위표를 만들었나요?(78쪽) 애벌레들이 다같이 무늬를 만들었다.
12. 긴급 구조
1) 애벌레의 가위표를 누가 먼저 발견했나요?(80쪽) 충걸이
2) 애벌레들은 어떻게 신선한 잎을 얻게 되었나요?(83쪽) 충걸이가 쉬는 시간에 점심 때 나올 보쌈의 쌈채소를 가져와서
3) 긴급 구조의 뜻은 뭘까요? 애벌레에게 신선한 잎을 주어 살게 했다
13. 날개돋이
1) 7번 애벌레는 깊은 잠을 자는 동안 어떻게 되었을까요?(90쪽) 번데기가 되었다
2) 나비가 된 애벌레는 방충망을 나서자 왜 두려운 마음이 들었나요?(94쪽) 혼자 살아야 해서(스스로 몸을 보호하고 먹이도 찾아다녀야 해서)
3) 나비가 된 애벌레는 왜 인간이란 알다가도 모르겠다고 했나요?(95~96쪽) 때론 우리를 곤경에 빠뜨리지만, 우리를 사랑하는 것 같기도 해서
4) 애벌레들은 어떤 믿음으로 인간을 믿으며 살아가나요?(96쪽) 작은 생명도 소중히 아껴 줄 거라는 믿음
4-1) 작은 생명을 아꼈던 경험이 있나요?
5) 나비가 되면 얼마나 사나요?(96쪽) 한 달 남짓
6) 인간에 비하면 짧은 삶이고, 한참이나 작은 나비에 불과하지만 (살아 있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소중한 일이야.(96쪽)
남은 이야기
1) 나비로 태어나서 바로 날지 않는 이유는? 날개를 말리고 있어서(98-99쪽)
*2023년 10월에 읽고 남긴 글
3학년 교육과정에 배추흰나비 키우기가 나온다. 1학기 때 열심히 키우고, 열심히 날려보냈던 기억이 난다. 애정과 책임을 가지고 살아 있는 생명을 키운 건 배추흰나비가 처음이지 싶다. 내가 중고등학생 때 집에서 키웠던 개 세 마리는, 정이 잘 안 갔다. 사춘기여서 그랬는지, 내가 아니라도 키울 사람이 있다는 생각 때문에 그랬는지. 배추흰나비는 아이들 손에만 맡길 수 없어서, 온전히 내가 책임져야 하는 부분이어서 그랬는지 더 애정이 갔던 것 같다. 이 책을 1학기에 읽었다면 더 좋았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
배추흰나비 애벌레 중에서 일곱 번째로 태어나서, 7번 애벌레가 되었다. 사실 나는 그 애벌레가 그 애벌레 같아서 애벌레 구분이 잘 안 됐다. 이 7번 애벌레의 능력은 나뭇잎을 여러 도형 모양으로 갉아 먹을 수 있는 것이었다. 이 능력은 후에 농약이 묻은 잎을 넣어두고 알지 못한 3학년 2반 학생들에게 신호를 보내는 능력으로 쓰인다.
애벌레 간의 갈등을 보며 친구 관계, 생명 존중 이야기를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