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팡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3
블레즈 파스칼 지음, 이환 옮김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팡세](블레즈 파스칼/이환 옮김, 민음사)
-feat. 다북다복 2nd

📚파스칼
파스칼은 39세의 나이로 작고하면서 많은 저서를 남겼다. 개인적으로 파스칼, 하면 기압 단위 ‘헥토파스칼‘이 생각난다. 수학자로서의 명성도 알고(?) 있다. 일찍 죽지 않았다면 모르긴 해도 업적이 어마어마했을 거다.

📚팡세
제목만 알고 처음 읽었다. 팡세가 이런 내용인 줄도 몰랐다. 팡세는 1부와 2부로 나눠져 있는데, 1부는 신을 믿게 되는 과정을 증명한다는 생각이 들었고, 2부는 거의 수기로 기록되며 부록 같은 느낌이 들었다. 1부 읽으면서 루이스가 생각났는데, 개인적으로는 루이스보다 더 설득력 있다고 생각했다. 2부 5편에도 루이스의 [기적]이 생각나는 부분이 있었다.
1부는 인간 이성으로 신을 어떻게 믿게 되는지 설명하는데, 인간 이성으로는 초월적 존재를 알 수 없으나, 이성의 한계를 아는 이성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성이 아니라 심정으로 하나님을 느낄 수 있으며, 의지(습관)를 굴복시킴으로써 믿음을 공고하게 한다(고 나는 정리했다.).
2부는 수기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은총, 기적, 예수회와의 논쟁(장세니스트 옹호)에 대한 개인적 경험이 수록되어 있다.
제일 흥미로운 부분은 예수회와의 논쟁이었다. 이것이 이단을 대하는 교회의 자세가 되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서였던 것 같다. 얀센이 [아우구스티누스]라는 책을 썼고, 예수회는 그 책에서 5개 명제를 뽑아내어 이단으로 규정한다. 그걸 신학교수 아르노가 반격하면서 파스칼이 이들을 옹호하는 것이 ‘프로뱅시알‘(2부 4편)이다.

835-[949] 국가에 있어서 평화는 백성들의 재산을 안전하게 보존하는 것을 유일한 목적으로 삼는 것같이, 교회의 평화는 교회의 재산인 진리와 교회의 마음이 깃들어 있는 보배로운 것을 보호하는 것을 유일한 목적으로 삼는다. 한 국가 안에 적이 침범하여 약탈하는 것을 보고도 평안을 어지럽힐까 두려워 이에 대항하지 않는다면 도리어 평화를 거역하는 일이 되는 것같이(평화란 오로지 재산의 안전을 위해 정당하고 유익한 것이므로 일단 평화가 재산의 상실을 방임할 때는 부당하고 유해한 것이 되며, 오히려 이것을 지킬 수 있는 전쟁이 정당하고 필요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교회에 있어서도 진리가 원수에 의해 공격당하고 신도들의 마음에서 진리를 앗아가 오류가 그들의 마음을 지배하게 한다면, 이때 평화 속에 머물러 있는 것은 과연 교회에 봉사하는 일인가, 교회를 배반하는 일인가? 교회를 지키는 일인가, 파멸시키는 일인가? 진리가 다스리는 평화를 어지럽히는 것이 죄라면, 진리가 파괴될 때 평화 속에 머물러 있는 것도 죄라는 것은 명백하지 않은가? 그렇다면 평화가 정당한 때가 있고, 평화가 부당한 때가 있다. 그렇기에 ‘평화의 때가 있고 전쟁의 때가 있다’고 적혀 있으며, 이것을 판가름하는 기준은 바로 진리의 이익이다. 결코 진리의 때와 오류의 때가 있는 것이 아니다. 도리어 ‘하느님의 진리는 영원하리라’고 적혀 있다. 그렇기에 예수 그리스도는 평화를 가지고 왔다고 말하면서 한편 전쟁을 가지고 왔다고 말한다. 결코 진리와 허위를 가지고 왔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진리는 사물의 제일 원리이고 궁극의 목표이다.

하나님을 믿기 위해 이 책이 추천하지 않겠다는 분도 있었지만, 나는 나 같은 성향이라면 추천해도 괜찮겠다고 생각했다.

겨우겨우 읽었다. 재독하지 않을 것 같지만, 재독을 하면서 숲을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혼자 읽었으면 절대 끝까지 못 읽었을 거다.

📚내가 픽한 문장
225-(278) 신을 느끼는 것은 심정이지 이성이 아니다. 이것이 곧 신앙이다. 이성이 아니라 심정에 느껴지는 하느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