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달 그림책 수업 - 쉽게 따라하는 열두 달 학급운영 길라잡이
생각네트워크 지음 / 비비투(VIVI2)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은 부담이다]

[달달 그림책 수업]을 읽고 있다. 생각 네트워크 지음이라고 되어 있는데, 여기 대표 선생님이 내가 작은책(비 전공자의 반주법 백과사전)쓸 때 교정을 봐준 선생님이다.-이 선생님이 쓴 작은 책도 부크크에 있다. 그리고 고질독에서 함께 독서토론하는 선생님이기도 하다. 나랑 동갑인데,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잘 보여주는 선생님이라고 해야 할까.

아무튼, 개인적으로는 그림책보다 동화책이나 소설을 더 좋아한다. 소설도 단편보다 장편을 더 좋아하고. 그런데 아이들에게 소개하거나 얘기해주려면 그림책이나 짧은 동화책부터 시작해야 하니 자기부인(?)을 해야 한다.
그림책이 왜 부담인지 생각해 봤더니 그림 때문인 것 같다. 개인적으로 그림(미술)에 (안 좋은) 결정적 경험이 있고, 그림을 보고 감상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다. 희한하게도 조소 전공 신랑을 만나 그림 감상법을 (매우) 초큼 알게 되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그림에 머무는 순간이 곤욕스럽다. 순간에 머무는 연습은 그림책부터 시작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잘 나가는(?) 초등 선생님을 볼 때마다 아이디어가 기발하다는 생각을 한다. 고질독에서 칭찬샤워를 받을 때, 내가 직업을 잘못 선택했다는 우스개 소리를 들었는데, 최근까지도 그런 생각을 했던 터라 속으로 뜨끔했다. 내가 잘하는 분야는 아이들과 안 맞는 것 같아서. 잘하고 싶다는 욕심을 놔야 하는 건가.. 싶기도 하고.. 15년 해도 아직 잘 모르겠다는 생각에 답답해진다. 교대 다닐 때 ‘후세대 선교회(지금의 GT)‘에서 걸어놓은 현수막, ‘하나님은 당신을 교사로 부르셨습니다‘ 생각하면, 그리고 기독교사대회에서 확신(?)받던 순간을 생각하면 교사로 부르셨지, 생각하다가도, 아이들에게나 나에게나 불만족스러운 나날들을 생각하면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