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적 개념의 관점에서우리가 경제적으로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은 소비자보다는 생산자로서의 역할이다. 생산자로서 우리는 우리 동료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재화와 용역을 만들면서, 사회적 명망을 얻을 수 있는 역량을 계발하고 실행해야 한다. 우리가 기여하는 것의 진짜 가치는 우리가 받는급여액으로 판단할 수 없다. 급여액은 경제학자이자 철학자 프랭크 나이트의 지적처럼 (5장 참조) 수요공급의 우연적 상황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기여분의 참된 가치는 우리 노력이 향하는 목표의 도덕적, 시민적 중요성에 달려 있다. 이는 아무리 효율적일지언정 노동 시장이 제공할 수는 없는 독자적인 도덕 평가와 연관된다. - P324

그것이 약속하는 물질적 혜택을 넘어 경제성장을 공공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삼는 까닭은 우리 사회처럼갈등이 많은 다원적 사회에 매력적이라서다. 이는 골치 아픈 도덕 논쟁을 우회할 빌미가 된다. - P328

급여를 생각해 보면, 이런 저런 직업들이 각자의 일 성과에 대해 참된 사회적 가치를 어떤 때는 과대하게 어떤 때는 과소하게 평가한다는점을 알 수 있다. 
(중략)
그러나 시장 사회에서는 우리가 버는 돈과 우리가 공동선에 기여한 내용의 가치를 혼동하기 쉽다.
(중략)
그것은 세상이 ‘우리는 우리가 받을 몫을 받는다‘는 식으로 짜여 있다는 능력주의적 희망에서 비롯된 혼동이다. 그런 희망은 구약성서 시대서부터 오늘날까지 ‘역사의 옳은 쪽에 서야 한다‘는 식의 주장을 하는 섭리론적 사고를 부추긴 희망이기도 하다. - P330331

시장 주도적 사회에서 물질적 성공을 도덕적 자격의 증표로 해석하는 일은 지속성 있는 유혹이다. 그 유혹은 계속해서 우리의 저항을 깨트리려 한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논쟁을 하는것이다. 그리고 방법을 세우는 것이다. 공동선에 우리가 진정으로 가치있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디에서 시장의 낙인이잘못되었는지를 반성하고, 숙고하고, 민주적으로 공동의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 P331

바로 금융의 역할이 증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금융업계는 2008년 금융위기 때 극적으로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 이때 불거진 논쟁은 주로 ‘세금으로 구제금융을 제공해야 되느냐‘
와 ‘어떻게 월스트리트를 개혁해서 앞으로의 위기 가능성을 줄이느냐‘를 둘러싸고 벌어졌다.
그보다 훨씬 덜 주목받은 문제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금융이 경제를재구성했으며 교묘하게 능력과 성공의 의미 또한 뜯어고쳤다‘는 사실이었다. 이런 변화는 일의 존엄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무역과 이민은금융에 비해 포퓰리즘의 반 세계화 공격에서 덜 주목 받았다. 그런 것들이 노동계급의 일자리와 자위(오타인 듯)에 미친 영향은 보다 분명하고 확실해보였다. 그러나 경제의 금융화야말로 아마도 일의 존엄 감소에 더 큰영향을 미쳤으며, 노동자들의 사기 저하에도 역시 더 큰 역할을 했으리라 여겨진다. 왜냐하면 그것이 현대 경제에서 시장의 보상과 실제 공동선에의 기여도 사이에 아마도 가장 큰 격차 사례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 P335

경제적으로 그것은 경제성장을 돕기보다 방해하는 데 금융 활동이많이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다. 도덕 및 정치적으로 그것은 ‘시장이 금융계에 주는 막대한 보상‘과 ‘그것이 실제 공동선에 거의 기여하지 않은 것‘ 사이의 큰 불일치가 있다는 의미다. 이런 불일치에다 금융 종사자들이 투기 활동을 하면서도 분에 넘치는 명성을 누리는 현실은 실물경제에서 유용한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며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들의존엄을 조롱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 P338

우리는 우리의 공공생활에 어떻게 돈을 대느냐를 통해 성공과 실패, 명예와 인정에 대한 태도를 표출한다. 세금 징수는 세입을 올리는방법만이 아니다. 한 사회가 과연 무엇을 공동선에 대한 가치 있는 기여로 여기는가에 대한 판단을 제시하는 것이다. - P339

그러나 세금의 표현적인 차원은 공정성 논의를 넘어선다.사회가 어떤 활동을 ‘명예와 인정을 부여할 가치 있는 활동‘으로 보느냐, 또 어떤 활동을 억제해야 마땅할 활동‘으로 보느냐에 이른다. - P339

오늘날 경제에서 누가 만드는 자이고 누가 가져가는 자인지에 대한논쟁은 결국 기여적 정의론으로 귀착된다. 어떤 경제 역할이 명예와 인정을 받을 가치가 있느냐에 대한 생각이다. 이런 사고 과정은 무엇이공동선에 대한 가치 있는 기여인가를 따지는 공적 토론을 필요로 한다. - P342

그런 질문 중 하나는 어떤 종류의 일이 인정과 존경을 받을 가치가있느냐다. 또 다른 것은 우리는 시민으로서 서로에게 어떤 책임이 있느니다. 이 질문들은 상호연관되어 있다. 무엇이 긍정적인 기여인지 따져보려면 우리 공동의 생활에서 목표와 수단이 무엇인지부터 가려내야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는 소속이라는 의식 없이 우리 스스로를 우리가 빚지고 있는 공동체의 구성원들이라는 인식 없이 공동의 목표와 수단에 대해 숙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서로에게 의존하고 있기에, 그리고 그런 의존을 인식하기에 우리의 집합적 복지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할 까닭이 있는 것이다. 이는 시민들이 "우리는 모두 함께입니다"라는 말을 위기 때에 건성으로 내뱉는 말로서가 아니라, 진심으로믿고 할 만큼 건실한 공동체 의식을 필요로 한다. 그런 말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대한 믿음이 가는 묘사여야 한다. - P342

극소수 사람들의 영웅적인 성공 사례에 고무되어 다른 이들도 역경을 헤쳐나갈 수 있다고 여길 수있다. 그들이 벗어나고픈 환경을 개선하려 하기보다, ‘불평등의 해답은이동성‘이라는 말만 늘어놓는 정치를 추구할 수 있다. - P348

사회적 상승에만 집중하는 것은 민주주의가 요구하는 사회적 연대와 시민의식의 강화에 거의 기여하지 못한다.  - P348

종종 기회의 평등의 유일 대안은 냉혹하고 억압적인 결과의 평등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또 다른 대안이 있다. 막대한 부를 쌓거나 빛나는 자리에 앉지 못한 사람들도 고상하고 존엄한 삶을 살도록 할 수 있는 ‘조건의 평등‘이다. 그것은 사회적 존경을 받는 일에서 역량을 계발하고 발휘하며, 널리 보급된 학습 문화를 공유하고, 동료 시민들과 공적 문제에 대해 숙의하는 것 등으로 이루어진다. - P3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