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바보 온달 힘찬문고 34
이아무개 (이현주) 지음, 김호민 그림 / 우리교육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보 온달](이현주, 우리교육)

이번달 성서교육회 독서모임 책이다. 어릴 적 읽었던 [바보 온달]을 떠올리며 읽었다. 양념(?)처럼 들어가 있는 앞 얘기, 뒷 얘기(어린 영혼과 꼬마 별 이야기)와 고승 장군이 [바보 온달]을 생각하게 하는 동화가 되게 했다.-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다.
고승 장군이 어린 시절 온달을 만나 제일 처음 했던 말은˝창피한 일이다. 창피한 일이야......˝(41쪽)였다. 토끼 사냥을 했는데 화살이 빗맞아 고개를 두 개나 넘어야 했던 일을 창피하다고 생각했다. 이후에 고승 장군이 다시 온달을 만났을 때, 온달이 자신 앞에서 조아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매질을 했고, 온달은 매질을 견뎌내고 일어섰다. ‘이 천하의 고승 장군이 그토록 많은 사람들 앞에서 창피를 당한 적은 일찍이 한 번도 없었다. ˝창피한 일이다, 창피한 일이야. 이놈 온달, 두고 보자!˝‘(58쪽) 평강공주는 온달의 집으로 찾아갔고, 고승 장군도 복수를 위해 온달을 찾았다. 곰과 싸우다 상처를 입은 고승 장군이 공주의 마음을 돌리지도 못하고, 온달에게 복수도 하지 못하고, ‘엉금엉금 기다시피 하여 산을 내려‘(108쪽)오며 ‘수없이 중얼거‘(108쪽)린 말도 ˝창피한 일이다. 으음, 창피한 일이야......˝(108쪽)였다. ‘창피함‘이라는 감정은 혼자 있을 때는 느낄 수 없는 감정이다. 고승 장군은 평생을(?) 창피하지 않기 위해 살았다. 다른 사람에게서 인정받아야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인 양 생각했던 거 같다. 수치심을 견디지 못했다. 고승 장군을 움직이는 힘은 수치심과 인정이었던 거 같다. 행동의 동기가 외부에 있었으므로, 책임도 외부로 돌렸다. 수치심에 못 이겨 애꿎은 말 궁둥이를 채찍으로 때리고, 온달을 원망했다. 감정이 그를 집어삼켰다.
고승 장군에게서 나를 보았다. ‘목사님 딸‘, ‘선생님‘, ‘엄마‘라는 이름 속에 살았다. ‘나‘로 사는 순간을 흘려보냈다. 고승도, ‘사냥꾼‘, ‘장군‘의 이름으로서만 자신이 받아들여진다고 생각했던 건 아닐까? ‘사냥꾼‘, ‘장군‘으로서는 창피한 일이었겠지만, ‘고승‘으로서는 창피한 일이 아닐 수도 있었다. 혹은, 창피한 일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었을 거다.
평강공주는 온달을 고승 장군처럼 만들려고 했다. 온달이 장군이 되었을 때는, 별에게 돌멩이를 던진 자신을 ‘창피하게‘ 여겼다. 고승 장군이 창피하게 여겼던 것을 온달도 창피하게 여기게 되었다. ‘이제 온달이 두려워하는 것은 공주를 비롯한 모든 살아 있는 사람들의 눈동자뿐이었다.‘(149쪽) 그리고 그 ‘창피함‘ 때문에, 온달은 죽음에 이른다.
무엇을 창피하게 생각해야 할까? 하나님을 믿는 자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다른 사람의 눈이 아니라 하나님의 눈이어야 하지 않을까? 하루에도 수천 번씩, 하나님 앞에서 죄를 짓는 자신을 창피하게 생각하는 게 마땅하다. 허울뿐인 이름이 창피한 일을 겪는 것에 집착하면, 진짜 창피해야 하는 일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