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분을 읽으니 예수전도단에서 나온 [조이 도우슨의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 책이 생각난다. 예수전도단에서 하나님의 역사하심으로 말하는 증거(이를 테면 갑자기 떠오르는 성경 말씀)를, 에드워즈는 참된 감정으로 믿을 만한 증거가 아니라고 말한다. 이 두 부분이 모순적인지, 아니면 둘 다 수용할 수 있는 지점이 있을지 궁금하다. 지금 생각으로는 ‘둘 다 수용할 수 있는 지점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이유는, 신앙이 어릴 때는 갑자기 떠오르는 말씀이나 내가 요구하는 기도에 대해 ‘yes‘라는 응답하심으로 신앙을 공고히 하신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자주 있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신앙이 자라갈수록, [하나님의 임재하심]에서 로렌스 수사가 말한 것처럼, ‘10년 동안 하나님이 만나주시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곤 할 때가 있는 것이 아닌지. 물론 이것은 각자의 상황에 맞게 관계를 맺으시는 하나님의 영역일 것이라는 생각은 든다([신앙감정론]에서는 ‘성령이 거룩한 사람들의 본성에 맞게 그들 가운데 내주하신다‘(49쪽)이라고 말하는데, 그 지점과 통하는 부분이 아닌가 싶다.).

그의 주된 주장은 생생한 상상,개인적으로 자아에게 말하는 듯한 목소리, 어떤 결정적인 순간에 설명할수 없게 떠오르는 성경 말씀, 은밀한 일의 계시 등과 같은 특이하고 ‘기적적인‘ 현상들이 참된 감정이라고 믿을 만한 증거는 아니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런 현상들은 새로운 본성이나 새로운 창조를 필요로 하지도 않고 또한 그것들을 나타내지도 않기 때문이다. 놀라운 현상이나 예기치않은 현상에는 특별한 종교적 의미가 없다. 참으로 신적인 것들은 우리를 전혀 다른 차원으로 이끌어 간다. 은혜는 마술이 아니라 중생과 관계된다. -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