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당신에게 일은 무엇인가
제임스 해밀턴 지음, 이대은 옮김 / 생명의말씀사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에게 일은 무엇인가](제임스 해밀턴/이대은 옮김, 생명의말씀사) 전자책/종이책 175쪽(누적 1581쪽)

한 번씩 지독한 무기력함에 빠질 때가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드러누워 있는다. 문제는 그 지경이 되도록 내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잘 모른다는 데 있다. 어느 순간 무기력함에 빠져 있다. 1월부터 이 증상이 있었는데 거의 두 달 동안 지속되었다. 이성으로는 여기서 벗어나고 싶다고 생각하지만 가슴으로는(?) 벗어나고 싶지 않다고 여겼다. 일을 하지 않음에 대한-학교 일은 겨우 하고 집에 오면 에너지가 없어 드러누워 있는- 죄책감을 늘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무기력에 대한 책, 일, 쉼에 대한 책을 계속 찾았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해보면 번아웃이었던 것 같지만(참고로 이 책은 1월에 읽었다.).
이 책은 ‘일‘을 구속사적 관점에서 풀어낸 흥미로운 책이다. 최근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중 조직신학에 기울어 있는데, 구속사적 관점은 성경신학 쪽이라는 생각이 들었던 책이기도 하다. 창조-타락-구속-성화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데, 마지막 성화 대신에 회복이라는 말을 쓰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회복‘을 오용하시던 분 때문에 회복에 부정적 느낌이 잔재하고 있지만, 아무튼. ‘창세기 1-2장을 보며 에덴동산에서의 일이 어떠했는지 알아보고, 신명기 28장 1-14절에 나오는 언약적 복과 비교하며 에덴동산에서의 삶이 어떠했는지 알아볼 것이다. 그런 후에는 창세기 3장 16-19절을 보며, 하나님이 주신 임무에 심판이 내려지면서 일이 어떻게 무익하게 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롬 8:20 참조).‘(17쪽)
제일 재미있었던 부분은 첫 번째 파트 ‘창조, 하나님께서 처음 계획하신 일‘이었다. ‘남자와 여자가 결혼해야(창 2:18-25) 생육하고 번성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래야 충만하고 정복하고 다스리는 일이 가능하다. 하나님이 사람에게 주신 일은 결혼 및 가정과 분리될 수 없다.‘(19쪽) 일을 가정과 연결지은 통찰력이 돋보였다. ‘한 사람이 자기 일을 하는 방식은 그가 어떤 사람인지와 결코 분리될 수 없다. 사람이 자신을 이해하는 방식, 세상에 대한 근본적인 생각, 자신만의 목적의식은 그가 자기 일을 하는 방식에 분명하게 드러난다.‘(21쪽) 내가 일을 하는 방식에 이러한 것들이 드러난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마치 다 까발려지는 느낌이 들어 내가 일하는 방식을 파지 말까,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내가 일하는 방식을 파야 한다고 생각하는 까닭은 더 이상 번아웃에 쉽게 빠지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사람을 동산에 두시고 쉬도록(누아흐) 일하게 하셨다. ...(중략)... 아담이 동산에서 쉬도록 일하며 지키게 하셨다는 창세기 2장 15절 말씀은 마치 일과 쉼의 균형을 말하는 듯하다. 아니, 쉼이 되는 일을 말하는 듯하다.(23쪽)

이 말은 ‘쉬기 위해 일한다‘는 것을 뜻하는 걸까? 어찌 보면 우리는, 나는 대체로 거꾸로 하고 있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일하기 위해 쉰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생각을 달리 해야 할 것 같다. 주 목적은 ‘일‘이 아니라 ‘쉼‘인 걸까.
‘성경의 거대 서사에서 하나님의 심판이 남자와 여자가 아닌, 남자와 여자에게 주어진 일에 임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39쪽)라는 통찰력에 다시 한 번 놀랐다. 놀라움은 첫 번째 파트의 마지막 쪽에서 절정에 달했다. ‘안위의 핵심은, 사람이 일에서 놓임을 받는 것이 아니다. 일에 내려진 하나님의 심판이 제거되는 것이다.‘(41쪽) ‘일‘에 대해 ‘창조‘와 관련하여 이처럼 잘 풀어낸 사람이 있을까.
타락과 구속 파트까지는 어느 정도 동의가 되었지만, 회복 파트에서는 별로 와닿지 않았다. 어쨌든 기억할 것은, ‘하나님의 백성이 일을 하는 방식에서 하나님의 성품이 드러날 것이다.‘(35쪽)라는 것.-하지만 이마저도, [이것이 개혁신앙이다]에서 말한 것처럼 자연스러운 것이 되어야지, 결과론적이 되면 안 될 것 같다. 즉, 기억하고 말고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는 건데... 역시 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