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열심이 위험한 이유 - 현대의 바리새인 신앙에 대한 경고
래리 오스본 지음, 장혜영 옮김 / 새물결플러스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의 열심이 위험한 이유(래리 오스본/장혜영 역/새물결플러스)

몇 년 전에 사두고 앞 부분 조금 보다가 책꽂이에 꽂아놓았던 책인데 다시 보았다. 이 책을 사게 된 경위가 어떠했는지는 도무지 기억나지 않는다. 아마도 어떤 목사님의 추천사 때문이었는지 아니면 그때 당시 핫하게 떠오르던 출판사 때문이었는지 제목이 재미있어서였는지 중 하나였던 것 같다.
이 책의 부제는 ‘현대의 바리새인 신앙에 대한 경고‘이다. 내가 좀 바리새파적인(?) 부분이 있기도 해서 이 책이 끌렸는지도 모르겠다.

책은 7부로 되어 있는데 1부는 서론격이고, 2부부터 7부까지는 ‘현대의 바리새인‘의 특징-교만, 배타성, 율법주의, 과거의 숭배, 획일성의 추구, 은사의 투영-을 서술하고 있다. 각 부가 끝날 때마다 토의 질문이 있어서 함께 읽는 책이 되도록 만들었다.

2부는 교만 파트인데, 교만 부분을 읽을 때는 좀 찔리는 듯 했으나, 3부를 읽을 때에는 [아무도 없을 때 당신은 누구인가?] 책이 생각나서 매우 언짢았다. 성경을 깊이 읽고 묵상한 내용을 바탕으로 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우리의 목표가 기독교에 대해 납득하지 못하는 이들을 설득하고, 경험이 없는 이들에게 다가가고, 아직은 예수님께 관심이 없는 이들을 초청해서 예수님과 성경이 무엇인지 와서 보도록 하는 것이라면, 우리의 건물은 (그것이 가정 교회든 대형 교회든) 가능한 한 매력적이고 편안한 것이 좋다.(110쪽)

이 대목을 보고서 반감이 들기도 했다. 이게 복음이고 전도인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다. 예수님과 성경을 편안한 환경에서 보여주면 더 잘 받아들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건가? 그래서 아마 [아무도 없을 때 당신은 누구인가?] 책이 생각났는지도 모르겠다.

나는 저자에 의하면 10장에서 말하는 바 ‘복음 중심적 그리스도인‘이다. 저자는 율법주의적 관점에서 여러 그리스도인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러한 분류 기준이 성경에 비추어 타당한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런 분류를 율법주의라고 할 수 있는가, 율법주의에 대한 저자와 나의 정의가 다른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했다.

또 138쪽, ‘많은 헬라 그리스도인들은 의견을 달리했다. 이들은 예수님이 안식일의 율법을 포함하여 구약의 율법들을 모두 성취하셨다고 주장했다. 유대의 율법, 무엇보다 구원의 능력이 없는 율법을 자신이 왜 지켜야만 하는지 이들은 그 이유를 찾지 못했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율법을 왜 지켜야 하는지 이유를 찾지 못해서‘라는 부분에 의문이 들었다. 이건 아닌 것 같은데, 라는 생각에서. 예수님을 따르게 되면 율법은 지키고 싶어지는 것 아닌가.

6부에서는 획일성의 추구가 하나됨을 파괴한다는 측면에서 설명하는데, 그렇다면 어떻게 신학의 다양성을 포용할 것인가, 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답을 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저자는 이단은 포용해서는 안 된다고 하지만, 저자의 포용의 경계는 너무 느슨해서 어디까지가 이단으로 분류해야 하는지에 대해 혼란을 야기했다. 그리고 예수님이 포용하신 사람은 어디까지인가, 라는 생각도 들었다.-그것을 이 책에서는 경계표지라고 하는데, 경계표지는 불가피한 한편 누가 천국의 일원이고 아닌지에 대한 우리의 경계표지가 하나님보다 좁아지는 것이 문제라고 하는(194쪽) 이 말이 모순적으로 들리기도 한다. 우리의 경계표지는 하나님이 아니기에 당연히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밖에 없지 않을까. 그런 의미에서 경계표지를 좁히는 사람들을 비판하는 저자의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또, 저자는 용어의 정의가 주는 문제들을 매우 간과하고 있다. 같은 단어라도 개인이 경험한 바에 따라서 생각하는 뜻이 다 다른데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

나는 (현대의 바리새인은 수용하지 않으면서) 다른 모든 사람들은 다 수용하니 현대의 바리새인 너네도 모든 사람들을 수용하도록 해라, 라고 말하는 것 같아서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했다.-[성경,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서 상대주의가 모순적인 이유를 설명하는 맥락과 같다.

그럼에도, 이 책은 내가 바라보는 ‘성도들‘의 경계가 어디까지인지를 생각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교회 내에서 예수님도 하지 않으실 잣대질(?)을 내가 하고 있지는 않은지, 그러면서 성경에 관심이 있는 사람과 관심이 없는 사람으로 나누고 있지는 않았는지, 교회 내의 성도의 범위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그런 것들은 내가 할 일이 아니었다.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초대 교회들도 굉장히 문제가 많았고(그런 의미에서 초대 교회에도 성경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예수님이 기다리시기 때문에 내가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마음에 드는 문구로 글을 마친다.

당신이 그리스도인이면 당신은 전임사역자다.(24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