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토지 제1부 1~7권 세트 - 박경리 원작
박경리 원작, 오세영 그림 / 마로니에북스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많은 옛날 역사와 끈임없는 일본의 욕심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고통을 비유하여 쓴 이 토지는 원래 박경리라는 사람이 지은 작품이다.(이 만화토지는 박경리의 토지를 간추려서 쓴 오세영의 작품이다.)

 7권이나 되는 이 토지는 많은 역사적 사건들을 가지고 있다. 그 사건들은 신분제의 변화와 갑오개혁, 단발령, 동학농민운동, 1920년때의 콜레라, 그리고 을사보호조약이다. 나는 차근차근하게 이 사건들에 대한 얘기를 할 것이다. 제일 처음은 바로 신분제의 변화와 갑오개혁이다. 이 신분제의 변화는 1886년 조선후기에 신분제가 흔들리면서 조정이 노비세습제를 폐지한 것을 말한다. 그리고 갑오개혁도 이 신분에 관한 것인데 이 갑오개혁으로 인해서 문별귀족의 등급과 공사노비제도가 없어져버렸다. 나는 이 책들에서 신분의 불평등이 제일 잘 나타나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조준구의 행동이었다. 그 중에는 이런 것이 있는데 바로 노비인 길상이를 부려먹을수는 있는데 조금 심하게 했다는 것이다. 자 이제 신분제와 갑오개혁은 끝내고 다음 단발령에 대해서 말하겠다. 단발령이 알려지자 성년남자들은 그것을 적극 반대를 하였다고 한다. 그 이유는 바로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것을 절대로 자르거나 홰손시킬수 없다는 그런 마음 때문이였다. 나는 이 점에서 아주 놀라웠는데 갑자기 선생님이 해주신 말이 기억났다. 남자들은 머리를 자르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자살하거나 물에 들어가 죽는 남자들이 있었다고 한다. 정말 그 얘기를 듣고 나는 감동을 받았다. 자 다음은 동학농민운동인데 원래는 전봉준이라는 사람이 일으켰으나 이 토지에서는 김개주를 등장시킨다. 동학농민운동이란 1894년에 일어난 것으로 이 동학농민운동으로 인해 후에 3.1 운동으로 계승되었다. 다음은 지독한 병인 콜레라이다. 이 콜레라는 1902년때의 병으로 콜레라는 실로 엄청난 병이었다. 옛날에는 알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었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죽게 되었다. 난 이 책을 읽으며 분이 올랐던 것은 조준구가 콜레라에 대해서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얘기하지 않아서 책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는 것이다. 조준구가 병에대한 얘기만 해주었어도 많은 사람들이 살수있었을 텐데 말이다.

  나는 박경리라는 사람이 아주 옛날 상황을 잘 말해주고 있고 평사리 마을의 농민들을 백성들로, 최 참판가를 조정으로 하였는 것이 기발한 생각이라고 든다. 나는 박경리가 이 책을 이렇게 쓸 수 있을 정도로 역사에 대해 두루 알고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십시일反 - 10인의 만화가가 꿈꾸는 차별 없는 세상 창비 인권만화 시리즈
박재동 외 지음 / 창비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오늘 십시일反이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은 박재동, 순문상, 유승하, 이우일, 이희재 등이 그린 그림과 만화를 모아서 만든 책이다. 그리고 평등, 노동자, 장애인 등이 이 책의 주제가 되고 있다. 나는 피부, 성격, 생김새 등으로 인간을 차별하고 따돌림 시키는 것은 좋지 못하다고 생각하다. 사람은 같은 사람이고 다를 것 하나 없는 데 말이다.

  이번에는 노당자에 대해서 말할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에는 아주 많은 노동자들이 위험한 일을 하고 있다. 그런 일들을 하는 노동자들은 가족을 잘먹고 잘살게 하려는 꿈과 희망을 갖고 찾아온 사람들이다. 정말 슬픈일이기도 하다. 그 이유는 그런 노동자들이 돈만 눈에 보이는 사람들에게 이용되고 사용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이만큼 심각한 일인데도 우리들은 그것을 모르니 안타깝다.

  다음은 장애인에 대해서 말할 것이다. 장애인... 장애인이 무엇인가? 장애인은 몸이 불편한 사람과 불의의 사고가 나서 어딘가 안 좋아진 것을 말한다. 그 중에는 세상을 못 보는 슬픈 시각 장애인 아름다운 소리 시끄러운 소리 슬픈 소리등을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인등의 슬픈 장애인들이 있다. 요즈음 장애인을 피하고 차가운 시선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 같다. 난 우리들이 한 가지 관점에서만 보는 것 같다. 그것은 바로 나... 자신이다. 우리들은 장애인의 입장, 슬픔, 고통 등은 생각하지 않고 자기 자신만을 생각한다. 난 이것은 아주 잘못된 사고 방식이라고 생각한다.만약, 자신이 그런 장애가 있어서 따돌림 당하고 놀림을 받으면 어떤 기분이 들까? 휴~ 계속 장애인 이야기를 하니 5학년때의 친구 전영필이라는 아이가 생각난다. 그 아이는 청각장애인인데 그렇게 된 이유는 바로 어릴 때 사고가 있어서 그렇게 되었다고 한다. 얼마나 고통스러웠을 까? 얼마나 외로웠을 까? 난 지금 생각하는 건데 사람들이 그런 장애가 있는 아이들을 조금만 더 생각해 주고 친하게 지내며 도와주었으면 좋겠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사람은 오직 생김새 등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처지 등도 생각해 주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많은 아이들이 장애인들을 놀리거나 하지 않고 친하게 지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 MBC 느낌표 선정도서, 보급판
J.M 바스콘셀로스 지음, 박동원 옮김 / 동녘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뽀루뚜가를 우연히 만난 제제. 제제는 뽀루뚜가를 만난 이후로 사랑, 행복을 알게 되는 데...

  뽀루뚜가는 어린 여섯살 짜리 아이 제제를 만나게 된다. 어린 제제는 브라질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정도로 아버지와 형, 누나에게 심한 학대를 받았다. 뽀루뚜가는 이런 제제를 도와주고 사랑해주며 친구처럼 지내주었다. 뽀루뚜가는 처음 제제를 만난 순간 건방진 아이라고 생각을 하였지만 제제와 점점 친해지면서 제제는 다른 아이들보다 누구와도 바꿀수 없는 아주 착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뽀루뚜가는 어리고 착하며 마음 어린 제제를 생각을 해 주었지만 결국에는 기차와의 충돌으로 숨을 거두게 된다.

  나는 이런 제제가 너무나도 불쌍하였다. 모든 마음 깊은 곳의 이야기는 다할 수 있는 영원한 친구이자 뽀루뚜가가 더나가 버렸기 때문이다. 나는 제제가 큰 장난을 치는 것은 모든 어린이들이 다 같다고 생각한다. 이 글을 스는 나조차도 그랬고 어렸을 적이 있는 모든 어른들도 그럴 것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아버지에게 제제가 맞는 것은 그렇다 쳐도 또또가 형이나 누나에게 맞는 것은 심한 것 같다. 자기만의 기분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피해 주는 것은 좋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어쨌든 마음을 주고 받던 뽀루뚜가가 죽었는 데도 잘참는 제제가 대단하다고 느껴졌다. 그 이유는 자기의 소중한 사람을 잃는 것은 아주 아픈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글을 읽으며 가난이 도대체 무엇인지 그리고 학대가 과연 무엇인지에 대해 묻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사랑, 사북 사계절 1318 문고 34
이옥수 지음 / 사계절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남자들이 광부로 일하며 먹고 사는 동네 사북.

  사북에는 탄광가루를 마시고 자칫잘못 하면 죽는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는 이 일에 대해 많이 생각을 해 보았다. 이렇게 까지 사람취급 못 받고 일을 하는 것은 아주 화가 나는 일이다. 그 이유는 나도 이런 적이 있기 때문이다. 어느 날 앞서가던 누나가 열쇠를 떨어뜨려 잃어 버렸는 데 나는 그 광경을 보자 마자 열쇠를 찾았지만 그 누나는 찾지도 않고 가만히 서 있었다. 내가 열쇠가 있는 곳을 알고 열쇠를 갖다 주자 그 누나는 고맙다고 인사는 커녕 열쇠만 낚아 채고 가버렸다. 나는 정말 알지 못할 그런 분노가 치밀었다. 그리고 그 누나를 골탕먹이거나 복수하고 싶었다. 이 책을 읽으며 아마 탄광촌의 주민들도 이런 느낌을 받았을 것이고 그 일 때문에 시위를 벌이고 반대를 한 것 같았다. 얼마나 억울한 일인가, 죽을 위기가 둘려 싸인 탄광안에서 탄광가루를 마시며 일을 하고 있는 데 월급은 아주 소규모이고, 쌀을 주어도 썩은 쌀을 준다. 그리고 광부도 사람이고 아무리 하찮은 일을 하더라도 사람인 것은 마찬가지 이다. 다시 돌아가서 탄광촌 사람들은 가난이라는 고통에서 벗어나 더욱더 잘 살기를 바랐지만 그것을 공장의 사장이란 사람은 그 일을 감금과 괴롭힘으로 끝낸다.

  이 책은 이옥수가 사북사태 사건을 중심이야기로 지은 책인데 이 책은 사북사태의 배경을 잘 말해주고 있다. 난 사북사태의 배경과 지금의 배경을 비교를 해 보았는 데 지금은 가스와 연료를 사용하여 따뜻하게 하였지만 사북사태의 시대는 연탄을 이용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고 그 따뜻함으로 춥고 추운 겨울을 버텨야 했다. 나는 그렇게 그렇게 까지 일을 하고 왜 일을 끊지 않고 계속해서 하는 지를 진지하게 물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들에게 희망을 - 꿈이 있는 책 52
트리나 포올러스 지음, 봉현선 옮김 / 글동산 / 1999년 4월
평점 :
절판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애벌레 탑을 올라가는 애벌레들이 너무 무섭고 잔인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같은 년도에 태어나 끈끈한 우정으로 친구를 사귀었는 데 1등, 아니 공부를 제일 잘하는 것을 위해서 어떻게 친구를 밟고 올라갈 수 있을 까?

  어떤 대학교에서는 1등을 위해서 친구를 밟고 점점 올라가고 또 올라간다. 그런 난리 속에서는 밟고 올라가는 것과 밟히는 그런 두가지의 선택이 있다. 그 난리 속에서는 친하게 지내던 친구조차도 밟고 올라가야 한다. 난 이 책을 읽으며 마음에 와닿는 구절이 있었는 데 '이젠 더 이상 서로의 친구가 될 수 없었습니다. 그들은 단지 앞다투어 서로 오르려하고 진초를 방해하는 장애일 뿐이며 다만 상대방을 이용해 앞으로 나아갈 뿐이었습니다'였다. 그렇게 친구를 밟고 올라가 1등이 되면 무엇이 있을 까? 나는 1등보다는 친구가 더 나은 것 같다. 그 이유는 1등은 그냥 등수의 숫자일 뿐이고 시험은 여러기회가 있고 언제든지 공부하여 칠수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친구는 한낮 잊어버릴 수 없을 정도로 끈끈한 우정으로 맺어져 있기 때문이다. 내 생각엔 1등을 하지 못한 슬픔보다 친구를 밟고 올라온 그런 슬픔이 더 심하고 오래 갈 것 같다.

  다시 돌아가서 얼룩무늬 애벌레가 얼마나 허망했는 지 잘 알수 있었다. 그렇게 갈망하고 갈망하여 다른 많은 애벌레들을 밟고 올라갔는데 위에는 겨우 종이 쪼가리 잎 조차 없는 그런 곳이니 말이다. 어쨌든 나는 이런 잔인한 일이 있어야 하긴 하지만 이책에서 경고하는 만큼 이런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7-02 20:3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