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2016년 인터내셔널 부분 맨 부커상(Man Booker Prize)을 수상한 한강 작가에게 우선 아낌없는 박수와 찬사를 보낸다.한국인 작가의 작품성이 인정을 받기에 이르렀다.물론 기성 작가들의 작품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세계적인 문학상을 수상하기에는 몇 퍼센트 부족한 듯한 구멍이 뚫려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TV에서 방영된 한강 작가의 맨 부커상 수상 장면에서 작품의 우수성은 물론이고 이 작품을 영어로 번역한 작가의 튼실한 내공도 맨 부커상에 길이 빛날 것이다.

 

 육식을 즐겨 찾는 현대인의 식습관에 각성과 경종을 안기는 작품이 아닐까 하는 선입견에 사로잡힌 채 읽어 내려 갔다.그런데 그 선입견은 완전 빗나가고 말았다.영혜라는 주인공 여자의 불안한 심리상태에서 맞이하는 채식으로 일관하는 편집증, 포르노적인 요소가 가미되고 육감을 자아내는 성적 퍼포먼스 그리고 정신병동에 갇힌 신세로 등장하는 세 가지 이야기에서 어느 것 하나 밝고 유쾌하다는 이미지는 찾을 수가 없다.그녀를 둘러싼 가족들의 시선은 걱정거리가 되기도 하고 몽고반점에서 나오는 얘기처럼 은밀하고 고요하고 매혹적인 존재로 부각되기도 한다.그런데 영혜는 왜 채식주의자가 되었을까.

 

 특별한 매력이 있는 것도 아니고 특별한 단점도 없어 결혼했다는 영혜의 남편의 시점부터 시작된다.결혼한 지 5년이 되도록 아이가 없는 부부에게 힘들게 장만한 집 한 채가 생활의 반점이라고 하면 반전일 것인데,영혜는 기기묘묘한 악몽을 꾸면서 냉장고,냉동고에 있는 육륙,해산물 모두를 바닥에 내동댕이친다.그리고 친정 식구들 앞에서도 육식을 완강히 거부하다 친정 아버지에게 억지로 육류를 먹어야만 했던 고통 그리고 영혜는 자신을 손목을 자해한다.연일 이어지는 악몽과 꿈 내용이 심히 심상치 않았던 탓인지 영혜는 심약(心弱))해질대로 심약해지고 만다.

 

 두 번째 이야기는 영혜의 형부와 영혜 간의 고요하고 은밀하고 매혹적인 이야기가 전개된다.형부 친구의 작업실을 빌려 흰 시트를 깔고 바디페이팅을 하면서 포르노그래피를 연출하는 것이다.도덕적,윤리적 잣대를 떠나 처제와의 포르노그래피 연출은 일상의 남녀가 좀 더 신경을 써서 육욕을 그려가는,일종의 예술성이 가미된 선정적,감촉적인 느낌이 강하게 전해져 온다.이야기의 모티브는 영혜가 자취방에 웅크려 누워 있었던 기억을 십분 되살려 포르노그래피로 연출했던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이야기는 정신병원에 갇혀 있는 영혜가 병원을 탈출하면서 시작한다.영혜의 정신상태를 체크하러 매주 수요일에 보러 가는 언니,영혜는 단순히 채식주의자를 떠나 내면 깊은 곳에 정신분열 상태가 이어지고 있는 듯 하다.뒤에서 누가 쫓아올까봐 '걸음아 나 살려라!'라는 심경으로 악몽 속을 헤맸던 영혜.시뻘건 고기덩어리,미끌미끌한 안구 덩어리 등등...영혜는 남편과 가족에게 애정을 확신하지 못하는 성격의 소유자였던 것으로 보인다.영혜는 왜 정신병동을 탈출했을까.나무가 되고 식물까지 거부하는 영혜는 순결한 존재로 남고 싶었던 모양이다.

 

 이 글을 읽으면서 불현듯 다가오는 점은 현대인의 삶에 곂곂이 쌓여 있는 존재의 피로감과 재기불가능한 상태의 좌절감과 같은 인간의 정서를 대변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한다.영혜라는 여자 주인공의 외모와 내면의 상태를 세밀하게 그리고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다소 현실적 감각과는 거리가 있는 몽환적이고 소멸적인 요소가 군데군데 덮씌워져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