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이야기 - 다윈에서 뇌과학까지 생물학의 모든 것
김웅진 지음 / 행성B(행성비)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 있는 개체로서 생활 유지를 해 나가는 것을 생물이라고 생각하는데,이것은 인간을 비롯하여 동.식물과 미생물을 통칭하는 것이다.탄생,영양,생장,운동,증식,사멸에 이르는 과정 가운데 생명을 갖은 생물체는 우주의 빅뱅 이전부터 존재했다고 보는데,생물체의 가장 작은 단위인 분자에서부터,종의 기원, 인간의 의식,뇌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생물학에 대해 알아 보고 미래의 생물체는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갈 것인가를 예측해 보는 것은 매우 유의미한 일이라고 보겠다.

 

 평소 신비한 인체의 해부도와 같은 것부터 인체 내에 기생하는 박테리아(세균),기생충 등에 관심을 갖고 있던 내게 《생물학 이야기》는 모호하게 갖고 있던 관심 사항을 시원하게 가르쳐 주었다.흔히 생물학의 고전이라고 하는 종의 기원,DNA 유전자 그리고 근자 활발한 이론과 연구 결과를 내놓고 있는 인간의 의식과 뇌과학에 이르기까지 생물의 생태계는 물론 뇌신경계의 작용,(인간의)무의식에 이르는 방대하고도 폭넓은 개념을 인식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이제 생물 현상 및 생물학은 일상에 있어 관심을 두어야 하는 필수 교양서가 아닐 수가 없다.

 

 이 글에 의하면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생물의 흔적은 약 38억 년된 스트로마톨라이트와 생체로부터 유래된 석묵,35억 년 전의 남세윤이 형성한 양탄자 모양의 군집 화석 등이라고 밝힌다.이러한 생명체는(RNA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기복제 물질)는 주로 해안선,해저의 바위,토양의 표면,표면적이 거의 무한한 암석층의 틈 속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장구한 시간과 세월이 흐르면서 생물 현상과 생물학은 다양한 학문으로 파생하면서 복잡다기한 현대 학문의 현 주소를 반영하기도 한다.진화의 역사,생물학의 역사,유전학과 분자생물학,진화심리학과 사회생물학,뇌과학과 인지과학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도서는 생물 현상과 생물학에 대한 인간의 지적 호기심과 생물학 전반에 대한 이야기들은 역사와 시대를 망라하고 있다.서두에서도 말했듯 생명체의 가장 작은 단위인 분자에서 뇌신경계,무의식,X-ray 촬영에 이르기까지 생명 현상은 결코 단순하지 않다.게다가 인류의 문명의 이기를 위해 현대사회가 무분별하게 훼손시킨 지구 생태계의 암담한 미래는 인간의 이기적인 본능 행위에서 비롯된 것이기에 나약한 존재이지만 고도의 의식 작용에 의한 연구 결과물들은 우주를 공포에 휩싸이게도 한다.문명의 발전은 결국 멸종과 생물 다양성의 감소라는 매우 위험한 현상을 초래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생물체의 본능 행위는 생존과 번식에 있지만 자연계의 순환 원리를 떠나 인간이 갖고 있는 고도의 이기적 행위는 생리적,유전자적,진화를 거듭하면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

 

 생물학에 대한 사실과 논리의 바탕 위에 이론과 데이터들은 씨줄과 날줄처럼 유기적으로 교차시킨 이 글을 읽으면서 우주 빅뱅 이전부터 생물은 호흡 작용을 하면서 영양,운동,생장,증식,사멸의 과정을 통과 의례로 삼고 있는 것은 틀림없다.동.식물,미생물과 같은 1차적 생물 현상과 생물학은 시대와 역사의 물줄기를 따라 (이론,학문적으로)진화와 파생을 거듭하고 있다.그래서 인간의 의식 작용이 사회 생물학에 접붙여지면서 비유전적 요소인 밈(Meme) 현상도 학문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큰줄기에서 생물학은 과학의 한분야로서 객관성을 추구한다면 (비유전적이고 실험,측정이 어려운) 예술은 주관성을 띠기도 한다.생명 공학에 대한 관심과 열기가 뜨거워지면서 다양한 이론(배아 줄기세포 등)이 선을 보이고 있다.이것은 비윤리적이고 부도덕한 행위라는 잡음마저 일고 있지만 과학계 및 과학적인 측면에서는 필요한 이론이고 더욱 발전해 나갈 것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가 없다.생물학의 다양한 분야,주제를 접하고,생명에 대한 과학적 이해,삶의 의미까지 깊게 생각하는 의미있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라디오 2015-05-26 2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책 소개 감사합니다. 읽어봐야겠네요^^

우보 2015-05-26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양이라디오님,감사합니다.
생물 현상 및 생물학의 유관 학문에 대해서도
조금이나마 인식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