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필의 미학
이태동 지음 / 문예출판사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내가 생각하는 수필은 자신이 살아온 삶을 맹숭맹숭한 어조로 쓰는 것보다는 깊은 사유를 담아 삶의 진실을 알리고 생활의 예지(睿智)를 발견해 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학창시절 접했던 유일무이할 정도로 청소년들에게 삶과 생활의 예지를 발견하게 하는 깊은 사유 끝에 세상에 나왔던 수필 작품들을 접하면서 내 자신은 불분명한 미래에 대해 자신감과 용기,위안을 얻었다.그리고 작가가 그려 놓은 고색창연하면서도 순수함이 잔뜩 묻어 있는 문장을 접하면서 또 한 번 감동과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수필은 정령 삶 속에서 건져 올린 것으로서 치열하고 고뇌 가득찬 사유를 빼놓는다면 알맹이 없는 강정과 다름없다는 생각마저 든다.

 

 시,소설,수필 모두 문학작품에 속한다.그런데 책을 구입하여 읽는 독자들의 연령층과 시류에 영합한 나머지 시,수필은 찬밥신세이고 그나마 소설류가 서점가를 달구고 있는 셈이다.뜻있는 지식인들이 매체에서 인문학 또는 인문학과 자연분야의 융합을 홍보,강조하니 얼마 동안 인문학과 통섭과 같은 학문이 싹을 틔우기도 했다.그러나 길게 가지는 못하는 것 같다.생계에 쫓기면서 돈이 안되는 책을 왜 읽는가 라는 자조섞인 반문이 이어지면서 독서는 사회전반에 깊게 천착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기만 하다.책을 읽고 생각과 사유를 통찰하고 정리해 나가는 힘은 개인과 사회를 위해 매우 건실하고 탄탄한 저력이 될 수가 있는데,실상은 그렇지 못해 안타까울 뿐이다.이는 개인과 사회의 막대한 정신적 손실이 아닐 수가 없다.

 

 '생각을 글에 담는 노력'을 의미하는 에세이(Essay)는 삶에서 건져 올린 소재를 무기로 삼아 커다란 사유의 진폭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인류 역사 이래 모든 문명과 문화는 개인과 개인이 집합되어 문명의 대변혁을 이루어오고 이루어가고 있는 것이다.그 속에 문학적 가치로서 수필이 갖는 의미는 시와 소설와 같이 은유적이고 허구적인 감각보다는 인간의 삶의 변화를 추구하고 밝은 미래의 삶을 매꾸어 주는 힘이 수필 속에 담겨져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다.멋지고 아름다우며 강한 추동력을 안겨 주는 수필은 글의 어조에서 발견된다.그것은 섬세하지만 강력한 낚시줄과 같고 부드럽지만 미개한 세상을 개화할 강력한 메시지를 담기도 한다.그래서 수필은 재미와 흥미보다는 사유와 예지의 비중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태동 저자가 쓴 《한국수필의 미학》은 총 22편으로서 한국에서 내놓으라 하는 수필가들의 명작들을 발췌하여 선보이고 있다.내가 학창시절 접했던 명작도 있고 겨우 작가의 이름만 알고 있었는데,이번 기회에 아는 작가의 수필세계를 신선한 감각으로 접하게 되어 다행스럽다는 생각마저 들었다.소재는 다채롭기만 하다.자연의 아름다움,생활인의 철학,절제와 순응의 미학,작은 것의 아름다움,부조리한 삶의 현상,생명과 영혼,어두운 삶의 현실,잃어버린 생명,삶의 진수,우주의 비밀을 품은 꽃,은유적 표현의 미학,인공적 자연과 모더니스트 등의 수필작품이 소개되고 있다.그렇다면 좋은 수필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좋은 수필을 쓰려면 경험과 함께하는 인식론적 깨달음으로 얻은 지적인 품격과 상상력은 물론 사색과 명상,그리고 세상을 조감할 수 있는 객관적인 눈이 필요하다. - P326

 

 처음부터 수필 문학에 발을 디딘 작가가 있는가 하면 늑깎이로 수필계에 입문한다든지 타직업에 있다 우연한 기회에 수필의 문을 두드린 작가도 있다.한 편 한 편 읽어가다 느낀 것은 의미있고 멋지며 삶을 계도할 수 있는 수필작품은 단순히 붓가는 데로 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사유와 예지의 힘이 고스란히 녹아나도록 작가는 수많은 시간을 고민하고 밤을 뒤척였을지를 상상하기도 했다.사람과 자연 그리고 우주가 함께하는 수필은 삶을 즐겁고 슬프고 아름답고 예지를 심어 주는 순수한 문학세계라는 것을 마음으로 느끼게 되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4-12-01 1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알고 있는 닉이랑 같아서 반갑습니다. 같은 분이신지 모르겠지만
참 좋은 수필선집을 만나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가져갑니다. 쌩스투유^^

우보 2014-12-01 14:17   좋아요 0 | URL
프레이야님,기시감이 있으신가봐요.
한국수필의 미학을 통해 수필의 본류를 제대로 알게 되었습니다.
멋진 시간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