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승역
캐스린 포브즈 지음, 변은숙 옮김 / 반디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참으로 가슴 뭉클하고 슬프며 훈훈한 우정등을 한 가족사를 읽어 내려갔다.주인공은 앨리이며 초등학교 입학할 무렵부터 사춘기시절까지의 그녀를 둘러싼 가족과 친구,이웃,하숙생들간의 잔잔한 슬픔과 감동,부쩍 커가는 어른스러움이 묻어 나는 성장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외출을 했다가 집으로 돌아가는 앨리,그녀는 차비가 없어 무임승차를 하려고 검수원의 눈을 피해 작은 몸을 승객들 틈으로 비집고 들어가려다 몇 번이나 들켜 길거리로 내몰리고 어쩌다 운이 따라주면 무임승차의 쾌감을 느끼며 무사히 집으로 안착하게 된다.

 골드러시의 붐을 타고 샌프란시스코로 이동해 왔던 그녀의 조부모들은 앨리 리즈타운에 자리를 잡고,그녀의 아버지를 비롯하여 몇명의 형제가 있었지만 그녀의 아버지만 살아 남게 되고,할머니로부터 재산을 물려 받은 아버지는 그럭 저럭 직장 조합원과 정당일을 하면서 생계를 꾸려 가게 되고,어머니와는 여러가지 이유로 불화를 겪게 되고 결국 이혼을 하게 된다.

 어린 앨리는 하숙집을 운영하는 엄마와 하숙생들 사이에서 이 눈치 저 눈치 보면서 마음 속에 온기가 없는 음산한 분위기 속에서 자라난다.그러던 중 아버지를 만나러 가게 되고,엄마와는 대조적인 아버지의 성격에 앨리는 마냥 어리광도 부리고 맛있는 음식,영화등의 호사도 누리게 되며,엄마가 있는 곳으로 떠나는 날,아빠와의 슬픈 이별이 가슴 찡하게 울려 오기도 했다.

헤어지던날,아빠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지만,딸의 손가락을 놓치지 않으려고 팔을 몸에 꼭 붙였다.앨리가 기억했던 것보다 아빠의 팔은 더 가늘었다.


엄마 릴리의 억척스러운 생활력에 앨리가 쓰던 방마저 하숙방으로 개조하려고 하는 엄마의 계획으로 앨리는 주방 한쪽으로 밀려 나며 마음의 상처를 입게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지만,다행히도 앨리는 성격이 쾌활하고 미지의 세계,호기심이 왕성하여 가정에서 일어나는 일은 크게 자극을 받지 않는거 같았다.

 아버지를 낳아 주신 할머니가 보고 싶고 병세가 걱정이 되어 엄마의 허락을 받고 할머니에게 향이 나는 비누를  선물하지만 향이 너무 진해서 '라벤더'비누로 바꿔 오려다 돈이 모잘라 슬쩍 바꿔쳐 할머니에게 돌아오지만,할머니는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고 만다.아버지의 사랑을 할머니에게서 느끼고 싶었던 앨리의 마음이 쓰러 내려 앉았을거 같다.또한 삶과 죽음에 대해서도 많이 생각했을거 같다.

 하숙생중 페글리라는 성격 못된 사람을 내보내고 새로운 사람이 들어오며 하숙집은 전에 없던 활기를 띠게 되고,앨리는 댄스,연극등을 익히게 되면서 제리라는 친구를 새로이 알게 되고 둘만의 대화와 소통의 공간을 갖게 되면서 어른의 세계를 탐색하면서 조금씩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 주게 된다.

 앨리와 제리를 위해 연극 레슨을 해주었던 비스켈이 영양 실조로 세상을 떠나고 그를 마음으로 배려하고 아껴주었던 미니는 세크래멘토로 돌아가며,엄마의 친구처럼 곁에 있어 주던 로티 이모는 하지정맥류로 병원치료를 받게 된다.

 섬세하고 문학적인 소양이 깊은 아버지와 현실적이며 실용적인 어머니는 끝내 재결합을 못하게 되는 비운을 안겨 주지만,꿋꿋하게 살려고 발버둥치는 엄마의 생활력으로 앨리는 행복한 성장을 하게 되고 자신은 아버지 해리 바턴의 딸임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앨리 리즈 타운을 자긍심을 갖고 살아가게 될 것이다.

 1910년대 말부터 1920년대 초의 미국 서부의 한 가족의 이야기가 여류작류의 섬세하고도 잔잔하며 때로는 가슴을 저미게 하고 때로는 가슴 벅찬 감동과 기쁨을 전해준 <환승역>은 사람 사는 이야기로 시대와 관계없이 우리 이웃의 소박한 삶의 풍경이기에 내게는 오래 남을 작품인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