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 글쓰기의 전략 - 교사와 부모들을 위한
김미란 지음 / 들녘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이 글을 잘 읽지도 않은데 어떻게 글쓰기까지 봐주어야 할지 난감할 때가 많다.현직 글쓰기 과목을 담당하고 계시는 저자께서 글쓰기의 지식 경험과 현장에서 겪은 글쓰기 이야기를 모아 어린이들이 어떻게 하면 읽은 책을 제대로 이해하고 표현하며 줄거리를 효과있게 남길 수 있을까를 이 도서는 제대로 전달해 주고 있다.
어린이의 경험과 생각,시각에서 글쓰기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를 제대로 짚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어린이의 수준과 경험에서 생각을 찾아 낸다면 교육자와 피교육자간의 수수작용은 보다 효과가 날것이다.
요즘 국어 과목이 사고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대입 수능에서도 논리력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초등학교부터 학년과 수준에 맞게 풍부하고 다양한 책읽기가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따라서 읽은 책을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첨삭지도와 함께 자신이 읽었던 내용을 빠짐없이 발표하도록 연습을 하되,불필요한 내용은 역시 지적해 주고 고쳐 나가도록 유도하면 될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저.중.고학년에 맞는 도서를 선정하여 읽히는 것이 단계이고 무리가 없다고 생각이 드는데,주제가 친숙하고 어린이가 잘 아는 것일수록 효율성이 높을 것이다.3~6학년이 되면 문맥을 살려 읽고 추상적이며 논리를 전개하는 힘이 필요하므로 정독과 함께 어휘력 또한 중요하리라 생각이 든다.
또한 가르치는 입장에서는 어린이가 쓴 문장이 잘 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피드백을 해주어야 하는데,문법에 맞고 간결하며 어린이의 개성과 창의력이 돋보이는 가를 살펴 보아야 할 것이다.3~4학년은 문장 부호,높임말과 낮춤말,접속어,문장의 종류를 주안점으로 두고,5~6학년은 문장 성분,시제,표현의 효과 비유적 표현,속담,관용 표현등이 골고루 배어 있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나아가 읽었던 내용을 4~5명씩 짝을 지어 분단 토론을 하고 발표를 하되 토론 수업을 녹음을 해 보는 것도 자신이 학습하고 토론한 것을 재차 확인하고 잘못된 점을 개선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거라 생각이 든다.토론을 할 때에는 급우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반박하고 주장할 내용이 있으면 토론이 끝난뒤 거수들 한뒤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도록 토론 예의를 알려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이 든다.
글쓰기에는 독서감상문부터 시,창작 동화,견학 기록문,논설문등이 있는데 책을 많이 읽지 않았다든지 평상시 책을 많이 읽지만 급우들 앞에서 발표 공포증 및 두려움이 있는 아이는 선생님의 따뜻하고 친절하며 자신감과 용기를 북돋워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한다.처음에는 아이의 독서력에 맞추어 글쓰기를 지도하되 일정 단계에 이르면 또 다른 단계에 맞추어 글감과 장르의 특징과 요소에 따라 꾸준히 연습을 시키면서 글쓰기의 성장을 격려해야 하리라 생각이 든다.
이 도서는 현장에서 글쓰기를 지도하고 관심이 많은 분들을 위해 쓰여진 것으로,글쓰기의 전략과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다면 사고와 창의력을 증폭시키는 데에 일조를 하리라 믿는다.비단 초등학생 뿐만이 아니고 중.고등학생,성인도 꼭 읽어 보고 좋은 글쓰기의 지름길을 익혀 나갔으면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