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84 1 - 4月-6月 1Q84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라카미하루키씨의 작품 세계에 대해 딱부러지게 말할 계제는 아니지만 <상실의 시대>등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인간 내면의 빈 공백을 메꾸려는 인간의 심리를 잘 그려 나가고 등장 인물과 주변 사물과 자연등을 세밀한 필치로 전달하고 있다는 것인데,1Q84 1 역시 그와 비슷한 양상을 알게 되었다.

 총24장으로 이루어진 1권은 읽으신 분은 다 아시겠지만,아오마메와 덴고라는 인물을 번갈아 가면서 각장을 스토리를 장식해 나간다는 점이다.그외 <공기 번데기>의 주역 후카에리,잡지사의 마쓰이씨,2차세계대전이 종결되고 사할린에서 일본 본토로 돌아와 부를 일구어 가는 노부인과(재일한국인) 보디가드 다마루씨,후카에리를 곁에서 친딸처럼 돌보아 준 아자미씨등이 등장하고 있다.

 20대의 미혼녀로서 스포츠계에서 마사지등 미용과 관련한 일을 하는 아오마메씨는 대학 동창중 가장 친한 친구가 결혼하고 남편에게서 늘 폭행에 시달리면서 목메달아 자살하는 것을 발견하면서,그녀는 못된 남자들만을 골라 유혹한 뒤에 쥐도 새도 모르게 아이스픽으로 찔러 살해를 하면서 남자에 대한 복수의 염을 불사른다.

 덴고는 수학과를 나와 학원에서 수학 강사를 하다,우연히 잡지사 마츠이씨를 알게 되는데,학원에서는 학생들을 열과 성을 다해 가르치고 집에 와서는 글을 읽고 습자 연습을 하는등 글쓰기에 관심이 많은 청년이다.하지만 덴고는 일찍 어머니를 여의고 NHK시청료 수금을 하는 수금원인데,아버지의 직업도 마음에 들지 않지만 자신이 직접 수금을 하도록 강요당하는 것이 싫어 따로 살게 되는거 같다.

 잡지사에 공모된 작품중에 후카에리가 쓴 <공기 번데기>가 심사원들에게 발탁이 되어 마쓰이는 덴고와 함께 후카에리라는 자를 찾아서 글을 수정하고 윤색하여 멋진 한 편의 책으로 만들어 보자는 계획을 짜게 되는데,천신만고 끝에 후카에리의 거처를 알게 되고,덴고는 그녀와 자주 만남을 통해 그녀로부터 공기 번데기를 각색하기로 합의를 보게 된다.

 후카에리는 부모님이 1960년대 후반 일본의 좌익계열의(공투) 이념투쟁으로  쫓기고 쫓기는 신세가 되면서 어느 곳인가로 잠적하게 된다.일명 증인회라는 종교 집단을 만들게 되는데,겉으로는 일반 종교 법인처럼 정당한 목적과 이념을 공표하고 행동을 하지만,베일에 가려진 자세한 내막은 특수부로 유명한 일본에서조차 파헤치지 못하는 거같다.

 아오마메는 부인을 못된 기혼남자에 대한 혐오증이 갈수록 심화가 되다 보니 어떻게든 지나가는 남자를 건드리고 유혹한 뒤 복수의 칼날을 서슴치 않게 되고,착실하게 경영을 일구어 부를 이룬 노부인을 만나서도 이러한 화제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마음의 상처를 다독이는듯 하다.

 공기 번데기가 날개 돋친듯이 잘 팔려 나가면서,저자 후카에리에 대한 인터뷰 공세가 세를 몰아가고,공기 번데기에 나오는 리틀 피플이 주목을 받게 되는데,오웰이 지은 1984에 나오는 스탈린의 빅 브라더스에 언어적 대비인 리틀 피플이 주목을 받게 된다.그것은 후카에리의 부모님이 농업 발전을 모토로 한 선구가 종교 단체로 바뀌면서,증인회의 교인들을 리틀 피플로 대체하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든다.

 덴고는 어릴때의 기억에 친부가 아닌 외딴 남자에게 어머니가 젖을 빨리는 기억이 강하고 선연하게 남은 탓인지,다소곳하고 착한 이미지의 한 여인과 매주 금요일 욕망과 외로움을 달래는 듯하다.

 무라카미하루키의 대학 시절의 공투 및 1980년대초 나카소네 전수상의 경찰일신화에 따라 1984년이라는 숫자에 의문을 나타내는 Q가 덧붙여져 새롭게 뭔가를 갈망하고 채워가려는 심상이 크지 않은가 싶다.

 제2권에서는 개인적으로 덴고와 후카에리의 관계가 작가와 스폰서의 관계가 아닌 한차원 높은 연인 관계로 이어지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