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슴으로도 쓰고 손끝으로도 써라 - 안도현의 시작법詩作法
안도현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독서를 하면서 작품의 쟝르를 가리지 않고 읽는 편인데,마음에 와닿는다든지 추천받은 작품이라면 밤을 세워서라도 읽고야 마는 약간의 집착증이 있다.하지만 짧은 말,짧은 글이면서도 우리에게 함축,은유,풍자,교훈등을 던져 주는 시(詩)는 그간 많이 읽지 않았던게 솔직한 심정이다.
바쁘게 움직이고 흘러가는 요즘 세태에 시보다는 베스트셀러가 되는 소설이나 자기계발서가 위주가 되는데,그것은 작가가 품고 있는 은밀하고도 재미를 품어 내는 세계에 도취되어 대리만족과 상상력을 자극하기 때문일 것이고,시는 짧고도 여러가지 면에서 심상에 자극을 주지만 도외시되고 손에 잡히지 않는 이유는 뭘까?
<연어>,<관계>등으로 인간성의 회복과 자연의 피조물인 연어를 통해 귀속감,희생심등을 엿보고 깨달았는데 시의 창작법과 글쓰기 전반에 대해 풀어 놓은 ’가슴으로도 쓰고 손끝으로도 써라’는 작품을 읽으면서 작가의 천부적인 시인의 기질보다는 멋지고 훌륭한 시를 많이 탐독하고 모방하며,깊게 통찰하여 얻은 소산물이라 기대가 되었다.
시를 쓰려거든 가슴으로도 쓰고,
손끝으로도 쓰고,엉덩이로도 쓴다고 생각하라.
가슴으로는 붉고 뜨거운 정신을 찾고,
손끝으로는 푸르고 차가운 언어를 매만질 것이며,
엉덩이를 묵직하게 방바닥에 붙이고 시에 몰두하라.-본문 중에서-
시를 쓰자면기억과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해 놓는 뇌와 온몸으로 내재되고 숨어 있던 양질의 시적 언어를 꼬물꼬물 밖으로 내놓을 것이며,글을 쓰고 다듬는 손으로는 이어져 가는 시의 언어를 리듬감과 생동감 있게 배치하고,시를 쓸때에는 촐랑촐랑 일어났다 앉았다 하는 불안정한 자세보다는 명경지수에 이른 자세로 한 편의 시를 쓰고 매만지며 산사 뒤켠에서 볼일을 보는 것처럼 엉덩이를 바닥에 내밀어야 한다는 것이다.
26개의 시작법과 시를 쓰는 자세에 대하여 저자는 시 창작법의 강의 및 한겨레 신문에 논고한 것을 바탕으로 독자들에게 다가 서고 있다.일일히 그 내용을 열거할 수는 없지만,시를 쓰기 위해서는 명시를 백 번이고 천 번이고 읽고 읽어서 자신의 세계로 변모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늘 시마(詩魔)와 동숙하고 자신의 식을 줄 모르는 열정을 유지해야 하고 ’무엇’을 쓸 것인지를 고민하지 말고 시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두고 두고 사념에 빠져야 할 것이다.
우리 고유의 한글을 멋지고 함의성이 풍부하게 할 시를 작성하려면 삼겹살이 익는 냄새와 익어 가는 고기빛을 훔쳐 보는 것에서 머물지 말고,불살을 잘 조절하며 뒤집기와 가위로 쑥쑥 잘라가면서 삼겹살의 냄새,향,타는 정도를 알게 되면서 싱싱한 삼겹살을 고르는 법부터 먹음직스럽게 익혀낼 때까지 스스로 할 수 있는 깨달음을 시의 세세한 묘사를 ’삼겹살 굽기’의 관찰에 통해 비유하고 있다.
저자는 시를 쓸 때 특별히 유의사항을 주문하고 있는데,진부하고 난해한 한자어 대신 순수한 한글의 묘미를 살려야 하고,꾸며주는 말보다는 움직이는 말을 신경쓸 것이며,개념이 들어간 언어보다는 상상력과 창의성을 자극하는 즉,단순하면서도 엉뚱한 발상으로 시적인 것을 추구하라고 주문한다.
한 편의 시가 초고로서 완성될 무렵 참담한 기쁨과 환희를 맛볼 때까지 고치고 또 고쳐라는 것이다.시인소월도 한 편의 시를 완성하여 세속에 발을 내딛을 때까지는 3년이란 성상이 흘렀다는 것이다.고뇌와 상상력,창의력으로 몰두한 한 편의 시는 그렇게 탄생되고 한 편의 시가 세상을 향해 던져졌을 때는 이젠 시를 쓴 시인은 시를 간섭하지 않는 침묵의 존재로 먼발치에서 세인들의 반향을 관조하라는 것이다.
많이 읽고 또 읽어 자기 것으로 삼고,심금을 울리고 오래도록 영혼을 적셔줄 시는 한 시인의 인고의 세월 속에서 오크통에서 숙성되어 나오는 와인과도 같음을 느끼게 된다.시를 쓰는 소질이 없는 사람일지라도 후천적으로 시마와 함께 동숙하고 연애하기를 오랜 세월 연마해 간다면 시의 작법과 글쓰기는 요원한 문제가 아닐 것이다.다 읽고 나니 탁했던 마음이 맑아지고 사물을 보는 생각도 조금씩 달라져 감을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