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전한 행복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6월
평점 :
이 책을 읽는 3일 중 이틀을 가위를 눌렸다. 마지막 페이지를 읽은 시간은 새벽 3시 45분. 완전한 몰입. 미궁에 빠진 완전 범죄를 추적한 그것이 알고 싶다를 본 느낌이기도 했다. 중간 중간 특정 사건이 떠오르기도 했지만, 애써 연관지어 생각하지 않았다. 신유나를 뺀 나머지 주변 인물들이 화자가 되어 다각도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점이 독특하다고 생각했는데 역시나 작가의 의도였다. 그렇지. 신유나의 내면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없이 정황과 의심으로 충분히 읽는 사람마다 상상력을 증폭시키며 어떤 이는 냄새를 통해, 어떤 이는 과거의 경험을 통해, 어떤 이는 특정 사건을 통해 이 이야기에 몰입할 수 있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었다. 그래서 범죄/스릴러/공포에 취약한 나는 가위에 눌린 것이다.
책을 읽으면 책 제목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자신이 만든 기준으로 행복을 추구하고, 그 기준을 벗어나는 사람은 강압, 폭력, 살인으로 억누른다. 읽는 내내 싸이코, 범죄자, 악인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작가의 말에서 ‘나르시시스트‘란 용어가 새롭게 다가왔다.
흔히 자아도취형 인간을 나르시시스트라 부르지만, 병리적인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는 의미가 좀 다르다. 통념적인 자기애나 자존감과는 거리가 있다. 덧붙이자면 모든 나르시시스트가 사이코패스는 아니지만 모든 사이코패스는 기본적으로 나르시시스트다.
520쪽
덧붙여 ‘너는 특별한 존재‘라고 우쭈쭈하는 최근 트렌드가 위험한 나르시시스트를 낳을 수 있다는 점까지 언급한다. ‘위험한 나르시시스트‘라는 건 범죄자와 같은 극단적인 모습이 아니어도 정말 많이 봤다. 자기 자신을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하면서 나타나는 독특한 말과 행동. 그럴 때 차마 입 밖으로 말하진 못했지만, 언젠가는 좀 알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속으로 외쳤다.
- 넌 특별하고 소중한 존재야. 하지만 너만큼 다른 사람들도 특별하고 소중한 존재야.
그저 관종의 시대로만 여겼던 경험이 ‘나르시시스트‘란 용어로 정리가 되었다. 자존감을 높이는 교육과 트렌드도 중요하지만 주제파악을 할 줄 아는 자기객관화능력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타인을 바라보듯 나를 바라보는 것. 그래서 신유나의 모습에서 혹시 나의 모습이 있는지 점검했다. 신유나로 인해 주변인들이 느꼈을 불편함이 혹시 내가 누군가에게 보였을 모습이 아니었는지 기억을 더듬었다. 내가 추구하는 행복이 타인도 동의하는 행복인지, 행복이라는 단어를 ‘가치‘로 바꿔서도 체크했다. 혹시 나의 사회 생활 중 내 생각이 내 의도와 달리 누군가에게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았는지 범위를 넓혀갔다.
불쾌한 것을 마주했고, 소름끼쳤고, 악몽을 꾸었다. 그것만으로 이 소설의 느낌을 마무리하기엔 내가 몰입했던 시간이 아까워서 생각을 확장할 수 밖에 없었다. 어쩌면 단순한 범죄 스릴러가 아니었기에 내가 몰입할 수 있었던 걸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누구나 행복을 추구한다. 그것은 인간의 본능이며 삶의 목적이 되기도 한다. 다만 늘 기억해야 한다. 우리에겐 행복할 권리와 타인의 행복에 대한 책임이 함께 있다는 것을..
522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