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치와 문명
장 카스타레드 지음, 이소영 옮김 / 뜨인돌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필리핀은 300년간 스페인의 지배를 받았다. 그 결과 구시가지에 가보면 마치 유럽에 온 것 같은 착각을 느끼게 해주는 건물들이 많다. 특히나 커다란 규모와 화려한 장식으로 남은 대성당을 보면 과거 식민지배의 잔재가 후손들의 관광수입이 되는 아이러니가 느껴진다. 지배계층의 사치를 위해 피지배계층은 얼마나 많이 희생당했을까 하는 생각 한편엔, 그 사치가 없었으면 문명도 없었을 것이란 장 카스타레드의 얘기에 귀가 솔깃거린다. 마치 전쟁이 없었으면 의학의 비약적인 발전이 없었을거란 씁쓸한 얘기처럼....

 

<밑줄>

부가 없이는 문명도 없다. 하지만 사치는 타락과 낭비로 인해 퇴조의 길을 걷기도 한다. 결국 적절한 사치야말로 경제와 지성, 예술, 도덕 면에서 모든 문명의 기초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모세는 조형적인 이미지를 금지하면서 사람이나 동물의 형태를 재현해서도 안 되고 그 자신만으로 정의되는 정신적이고 우주적인 신을 물질적으로 표현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했다. 신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자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이스라엘에서는 그리스에서처럼 정교한 인체 조각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고대 이집트의 벽화처럼 세밀하고 생생한 그림들도 찾아볼 수 없다.

 

다윗과 솔로몬의 시대에 예루살렘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 중 하나였다. 화려하고 세련된 삶을 누릴 수 있었던 이곳은 바빌론과 티루스, 페르세폴리스에 필적할 만한 곳으로 떠올랐고, 해상 무역은 이 도시에 막대한 양의 금과 은, 상아, 보석, 그리고 값비싼 목재를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사치가 변질되면서 왕들의 일부다처제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솔로몬 왕은 부인과 첩을 천 명까지 두었다. 이런 일탈은 결국 솔로몬 왕의 권위와 믿음을 변질시키고, 이 훌륭한 인물로 하여금 이미 다윗의 명예를 실추시킨 것과 같은 실수를 저지르게 하고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