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와 통하는 한국 전쟁 이야기 - 왜 전쟁 반대와 평화가 중요할까요? 10대를 위한 책도둑 시리즈 10
이임하 지음 / 철수와영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권정생의 우리들의 하느님이 국방부의 금서로 지정되어서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솔직히 부끄럽게도 그때까지 그 책을 읽지 못했는데 국방부 덕에 읽고 보니 국방부는 평화보단 전쟁을 선호하는 것 같았다.

 

이번에도 비슷한 사례를 하나 발견하였다. 어느 인터넷 기사에서 이임화의 10대와 통하는 한국전쟁 이야기반미·반정부 투쟁을 선동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처럼 좌편향된 도서가 학교도서관에 있어서 문제란 내용이었다. 역시나 부끄럽게도 그런 책이 있는 줄, 그런 저자가 있는 줄 몰랐다. 그래서 혹시나 하고 학교도서관을 검색해 보니 마침 있어서 얼른 대출해 읽어 보았다.

 

이 책은 한국전쟁 중에 북측과 남측에서 각기 뿌린 삐라(bill, ビラ)를 바탕으로 당시 상황을 객관적으로 설명한 역사서이다. 삐라는 각자의 주관을 극대화해서 상대방을 설득하려는 전단이기 때문에 한쪽만 보지 말고 두쪽 다 봐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그 인터넷 기사는 이 책에서 한쪽만의 시각을 두고 문제를 삼고 있었다. 저자의 의도를 오해한 것인지 일부로 곡해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 인터넷 기사는 한국전쟁 중에 뿌려진 남측 삐라와 별 다를 바가 없는 내용이었다.

 

아무튼 좋은 책 소개해 줘서 고맙다.

 

<참고기사 http://www.mediapen.com/news/view/71270 >

 

<밑줄>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는 움직임이 여기저기에서 일어났지요. 가장 먼저 모습을 드러낸 조직은 여운형을 위원장으로 하는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였습니다. 지방에는 북쪽의 회령에서 남쪽의 제주도까지 145개의 지부가 만들어졌습니다. (생략) 친일파를 포함한 지주, 자본가들은 재빨리 모여 한국민주당을 만들었어요. 한국민주당은 미군정에 앞장서 협력하면서 새로 세워질 나라의 지도자로 이승만을 지지했습니다. 그러나 해방 뒤 가장 강력한 세력은 9월에 다시 조직된 조선공산당이었지요. 조선공산당은 완전한 독립과 농사짓는 사람이 땅을 가져야 한다는 원리를 실현할 토지 개혁을 주장했답니다. (생략) 김구를 비롯한 충칭 임시정부세력은 11월 개인 자격으로 국내로 들어왔어요. 김구는 임시 정부의 법통을 주장하며 한국독립당을 만들었어요. 한편 건준 위원장을 맡았던 여운형을 중심으로 한 세력도 11월 조선인민당을 조직했어요. 인민당은 좌우 갈등을 최소화하고 좌우가 연합한 정부를 세우려 했습니다.

 

대통령 이승만이 1950627일 대전에서 전화로 국민을 격려한 방송 내용입니다. (생략) ‘국민은 안심하라는 방송은 북한군이 서울로 들어오기 4시간 전 어찌할 바를 모르는 국민들에게 대통령이 전쟁 뒤 처음 한 담화였어요. (생략) 서울 근교에서 들려오는 대포 소리가 점점 커지자 일부 시민들은 짐을 꾸려 한강으로 몰려갔지만 대통령의 안심하라는 방송을 듣고는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들도 많았답니다. (생략) 28일 새벽 228분 한강 다리가 폭파됐고, 북한군이 서울에 들어왔거든요. 이날 한강 다리 위에 있던 수백 명의 피난민과 군인들이 부서진 한강 다리와 함께 강에 떨어져 물결에 휩쓸려 갔어요. (생략) 19501224, 이승만 대통령은 서울 시민의 피난을 결정했고, 내무부 장관은 서울 철수 정책을 발표했어요. 당연히 수많은 시민들이 서울을 떠나려 한강으로 몰려나왔겠죠. 서울 시민들은 지난여름 한강을 건너지 못해 북한군과 정부로부터 당한 수모를 잊지 않고 있었으니까. 한강 변 곳곳에서 빨리 강을 건너려는 서울 시민들과 군사 작전의 효율을 앞세운 유엔군 사이에 실랑이가 벌어졌습니다. 그러자 유엔군은 한강을 건너오는 것을 금지한다. 건너오는 자는 누구든지 쏜다는 내용의 삐라를 뿌렸어요.

 

소련군의 빠른 진격 속도에 놀란 미국은 813일 두 나라 군대가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남북으로 나누어 점령해 일본군을 무장 해제하자고 제안했지요. 그리고 소련이 이에 동의함으로써 38도선을 경계로 한 한반도 분할 점령이 결정되었답니다. (생략) 이렇게 해서 한반도 남쪽은 미군이, 북쪽은 소련군이 들어와 자기들의 구미에 맞게 군정을 실시했지요.

 

전사, 부상, 행방불명과 포로를 포함한 한국군의 인명피해는 전쟁 동안 621,479명입니다. 그런데 국방부가 발행한 한국 전란 1년지에 따르면 19513월까지의 인명피해는 168,852명이었지요. 그러니까 인명피해의 72.8퍼센트인 45만 명가량이 전선이 고착된 뒤 고지쟁탈전을 벌이다 전사하거나 부상당했던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