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1894년 여름 - 오스트리아인 헤세-바르텍의 여행기
에른스트 폰 헤세-바르텍 지음, 정현규 옮김, 한철호 감수 / 책과함께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894년 오스트리아인 에른스트폰헤세가 쓴 조선여행기이다. 그런데 아마도 우리가 지금 아프리카 초원이나 남미 정글에 가서 여행기를 쓴다면 이런 책이 나올 것 같다.

 

예를 들어, "어시장에서 돌아오는 길에 다른 곳에서는 통 볼 기회가 없던 아녀자들 20여명과 마주쳤다. 얼굴 생김새를 보면 일본 여인이었지만, 나는 일본에서 그렇게 체격이 장대하고 건강하며 햇볕에 그을린 아가씨들을 본 적이 없다. 모두 스무 살이 안 되어 보였다. 노출된 풍만한 가슴과 옆이 터진 짧은 치마를 입은 모습이 강렬하고 색다른 매력을 발산하였다"라고 부산 해녀를 묘사한 부분이 있다. 이는 마치 우리가 다큐멘터리 '아마존의 눈물'에서 부족 아가씨들을 바라보는 관점과 비슷하리라.

 

"조선에서 집안을 돌보는 것은 여자의 몫이다. 여자들은 감동적인 부지런함과 감탄할 만한 인내력으로 그 의무를 다한다 ... 나는 남자들이 일하는 것을 한번도 보지 못했다. 그들은 집안이나 집앞에서 쪼그리고 앉아 조그만 중국식 파이프를 입에 물고 빈둥거리거나 골목길 한가운데 옹기종기 모여 앉아 놀거나 잠을 잤다. 반면에 작고 추하며 고생 때문에 여윈 여자들은 살림을 도맡으며 요리하고 빨래를 했다. 모든 노동은 여자들의 몫이다. 바로 여기서 여성을 존중하지 않는 민족일수록 문화수준이 낮다는 사실이 입증된다. 조선의 여성들은 짐 싣는 동물보다 나은 존재가 아니다. 남자들은 이른바 노예를 갖기 위해 여자와 결혼한다. 여성들은 이름도 없다. 이들은 없는 존재로 치부되며, 이들에게 적용되는 법도 없다. " 놀라운 것은 내가 베트남을 여행하면서 느꼈던 것과 똑같다는 점이다. 베트남 여자들은 열심히 일하는데 남자들은 아침부터 길거리에서 술을 먹고 있었다.

 

"모든 것이 착취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데, 결국 백성들이 모든 것을 지불해야 한다. 그렇다고 법에 호소할 수도 없다. 그래봐야 더 큰 권력을 지녔거나 가장 많은 돈을 지불하는 자에게 유리한 판결이 내려지기 때문이다." 예나 지금이나 권력과 재력은 다름이 없다.

 

"조선에서 보고 들은 것을 종합해 볼 때, 나는 조선인들이 이웃해 있는 만주인이나 중국인에 비해 훨씬 오락을 즐기는 민족이라고 부르고 싶다" 남성은 여성을 착취하고, 지배층은 피지배층을 착취하니 남성 양반들이나 오락을 즐겼나보다. 아니면 착취받는 자들이 괴로움을 이기기 위해 과도하게 오락을 즐겼나보고.

 

"조선의 학자들은 현재 수많은 중국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중국어, 즉 현대의 공용어를 쓰는 것이 아니라, 중국인들이 전혀 발음할 수도 없고 말해온 적도 없는, 왜곡되고 장식이 많으며 부자연스러운 문어를 쓴다. 그래서 그 글은 눈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생각으로 읽어야 한다. 이처럼 전혀 불가능한 언어로 조선인들은 문집을 쓰고, 이 문집을 중국의 옛 현인들의 말과 역사적인 예들, 속담, 선례로 가득 채우는데, 이를 이해하는 사람들은 아무도 없다. 시험관조차도 이를 이해하지 못하는데, 이렇게 이해하기 어려운 글일수록 사람들은 글을 쓴 사람을 대단하게 여긴다." 자기도 이해 못하는 것을 현학적으로 인용해다가 쓰는 건 요즘도 마찬가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