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정태시씨가 번역한 걸 읽었는데 검색이 되지 않아서 이시형씨가 번역한 이 책에 리뷰를 단다) 

1. 

"이 지상에는 두 가지 인간의 타입이 존재한다. 선의의 인간과 그렇지 못한 인간이다. 그러나 전자만으로 또는 오직 후자만으로 된 그룹은 존재하지 않는다. ······ 어느 강제수용소에서 나는 SS대(역주: 히틀러의 친위대원)인 수용소장을 알게 되었다. 그는 결코 전형적인 SS대는 아니었다. 제 돈으로 피수용자를 위하여 몰래 의약품을 사서 넣어 주는 일도 있었다. 그런데 한편 나는 바로 그 수용소에서 피수용자의 두목도 알게 되었다. 그는 자기 자신이 피수용자임에도 같은 피수용자를 그것도 병자들마저 인정사정없이 때리곤 하였다."   

영화 <쉰들러 리스트>가 떠오른다. 하지만 순수한 선도 악도 없다는 건, 선악을 구분할 수 없다는 것과는 별개다.  


2. 

 

"수용소 생활을 모르는 외부 사람들에게는 강제수용소 속에 자연을 사랑하는 생활 또는 예술을 사랑하는 생활이 있다고 하면 경탄할 것이지만 만일 수용소 안에 유머가 있다고 하면 더욱 놀랄 것이다. 물론 그것은 유머 치고는 지극히 하찮은 것이었고 단지 몇 초 몇 분에 그치는 것이었다. 유머 또한 자기 유지를 위한 싸움에 있어 마음의 무기인 것이다."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가 떠오른다. 죽지 못해 사는 삶, 죽음을 눈 앞에 둔 삶에서도 유머가 있다는 건 모순이다. 그래도 사는 게 의미있다는 것이고, 그렇게 사는 게 무슨 의미냐는 것이다.  

3. 

"다른 장소(이를테면 군대 생활)에 있어서의 집단생활과는 반대로 이 곳에서는 남자들끼리의 성적 장난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죄수의 꿈에서까지도 성적인 내용은 떠오르지 않았다."  

성욕은 사라져도 자연을 사랑하고, 예술을 사랑하고, 유머를 유지한다는 건 참으로 충격적인 이야기다. 성욕보다 앞선 본능이 있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