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춤출 수 없다면 혁명이 아니다! - 감춰진 것들과 좌파의 상상력
최세진 지음 / 메이데이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최세진 [내가 춤출 수 없다면 혁명이 아니다]




일단 제목이 확실히 선동적이다.

내가 춤출 수 없다면 혁명이 아니다 - 엠마 골드만




게다가 부제목 하나하나가 어쩌면 그렇게 선동적인지

만국의 로봇이여 단결하라, 파시스트가 되느니 차라리 돼지가 되겠다.




소개하는 인물들도 어쩌면 그렇게 멋진지

우리의 음악이 단지 즐거움만을 주고, 행동을 고무시키지 못한다면 우리의 음악은 실패한 것이다 - 첨바왐바




전체 맥락 속에 ‘2002년, 광화문에서’만 좀 생뚱맞을 뿐 나머지는 완벽하다. 아니 그 부분도 “자본과 맞붙을 게 아니라 대중을 설득해야 합니다 - 최세진”이라는 멋진 말 때문에 산다.




무엇보다도 컴퓨터 게임에 미쳐 있는 남자들에게 다음 발췌글이라도 꼭 읽히고 싶다.




컴퓨터게임

다른 매체는 때때로 한 발짝 물러나 자신의 시각으로 비판할 시간을 허용하지만, 게임은 그 순간을 절대로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마치 자발적인 세뇌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스타크래프트(starcraft)

상대방을 이기기 위해 침략하거나 학살하기 말고는 다른 길이 없습니다. 게임 속에 등장하는 병사들은 가상 전쟁의 지휘자인 게이머에게 소모품 이상의 의미가 없습니다.




캐피탈리즘(capitalism)

이 게임의 배경 사회는 철저한 자유방임 자본주의사회입니다. ···(노동자의) 무더기 해고도 가능하고 ··· 그렇게 해도 노동쟁의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심시티(simcity) 

세금 소득에 도움이 되는 상류층을 도시로 끌어들이기 위해 빈민가를 철거하기도 합니다.




삼국지

일반 민중이란 드넓은 중국 땅덩어리를 차지하기 위한 군주들의 도구일 뿐입니다.




둠(doom)

현실에 학살이 벌어져도 오락실에선 아이들이 학살 게임을 하고 있다.




제너럴(general)

전쟁 자체를 옹호하며 심지어 미화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