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야 나무야 - 국토와 역사의 뒤안에서 띄우는 엽서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199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영복 선생님이 20년 징역과 7년 칩거 후에 국내를 여행하며 쓴 여행기입니다. 수차례 읽었지만 읽을 때마다 마음을 경건하게 해주는 경전입니다. 짧은 글들을 모아 놓은 얇은 책이지만 결코 짧지도 얇지도 않은 삶의 깨달음을 담고 있습니다. 법정 스님의 무소유와 함께 들고 다니며 읽어도 좋습니다.

 

 

<밑줄>

갇힌 사람들에게 출소의 가장 큰 의미는 독보’(獨步)입니다.

 

처음으로 쇠가 만들어졌을 때 세상의 모든 나무들이 두려움에 떨었다.

그러나 어느 생각 깊은 나무가 말했다. 두려워할 것 없다.

우리들이 자루가 되어주지 않는 한 쇠는 결코 우리를 해칠 수 없는 법이다.

 

북극을 가리키는 지남철은 무엇이 두려운지 항상 그 바늘 끝을 떨고 있다.

여위 바늘 끝이 떨고 있는 한 바늘이 가리키는 방향을 믿어도 좋다.

만일 그 바늘 끝이 불안스러워 보이는 전율을 멈추고 어느 한쪽에 고정될 때 우리는 그것을 버려야 한다.

이미 지남철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고의 논리학인 수학은 언제나 등식을 기본으로 합니다.

평등의 철학 위에서 문제의 해결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현명한 사람은 자기를 세상에 잘 맞추는 사람인 반면에 어리석은 사람은 그야말로 어리석게도 세상을 자기에게 맞추려고 하는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세상은 이런 어리석은 사람들의 우직함으로 인하여 조금씩 나은 것으로 변화해간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주춧돌을 그린 다음 기둥, 도리, 들보, 서까래, 지붕의 순서로 그렸습니다. 그가 집을 그리는 순서는 집을 짓는 순서였습니다. 일하는 사람의 그림이었습니다.

 

난중일기에는 군관, 병사 그리고 마을의 고로(古老)와 노복들에 이르기까지 일일이 그들의 이름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운집 속에 서 있는 충무공의 모습이야말로 그의 참모습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의 탁월한 전략도 바로 이러한 사람들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연전연승 불패의 신화도 바로 이러한 사람들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군량도 병력도 이 풍부한 사람들로부터 나오는 것임을 깨닫게 합니다.

 

최초의 비구니 마하프라자파티가 싯다르타를 기른 그의 이모였다는 사실이 새삼스런 의미로 가슴에 와닿습니다. 그녀가 생후 이레 만에 어머니를 여읜 어린 싯타르타를 길러내었듯이 지금도 백흥암의 비구니 스님들은 말없이 또 한 사람의 싯다르타를 기르고 있었습니다.

 

옛 사람들은 물에다 얼굴을 비추지 말라고 하는 무감어수의 경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물을 거울로 삼던 시절의 이야기입니다만 그것이 바로 표면에 천착하지 말라는 경계라고 생각합니다. 감어인. 사람들에게 자신을 비추어보라고 하였습니다. 사람들과의 사업 속에 자신을 세우고 사람을 거울로 삼아 자신을 비추어보기를 이 금언은 요구하고 있습니다.

 

(調)는 글자 그대로 말씀()을 두루() 아우르는 민주적 원리이며 화()는 쌀()을 나누어 먹는() 밥상공동체임에 틀임없습니다.

 

완만하면서도 무덤덤한 능선은 무언의 메시지였습니다. 무등산은 최고의 산이 아니라 무등(無等)의 산, 곧 평등(平等)의 산이었습니다. 평등은 단지 차별의 철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평등이야말로 자유의 최고치이기 때문입니다.

 

바다는 가장 낮은 물이고 평화로운 물이지만 이제부터는 하늘로 오르는 도약의 출발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