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을 위한 수업 - 행복한 나라 덴마크의 교사들은 어떻게 가르치는가 ㅣ 행복사회 시리즈
마르쿠스 베른센 지음, 오연호 편역 / 오마이북 / 2020년 5월
평점 :
덴마크 교사들에 대한 이야기다. 오연호의 ‘우리도 ~ 수 있을까?’을 감명 깊게 읽고 난 후라, 안 읽을 수 없었던 책이다. 다만 오연호가 직접 쓴 게 아니라 덴마크 기자가 쓴 글이지만.
줄 세우는 시험이 거의 없고, 국가가 통제하는 획일적인 수업이 아니라 교사가 주체적으로 만드는 수업, 학생이 하고 싶은 것을 서로 도와 가면서 하는 수업. 이런 이상적인 덴마크 교육이 펼쳐진다.
그런데 이런 교육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일까? 덴마크의 부모들은 자식의 연봉이나 직장의 안전성을 걱정하지 않는다는 대목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덴마크는 직장에서 해고되기 쉽지만 재취업도 쉽게 된다는 이른바 ‘플렉시큐리티(flexicurity)’가 특징이다. 아울러 ‘얀테의 법칙’ 즉 평범한 삶을 중요시하는 북유럽정신이 있는 곳이다.
높은 세금을 바탕으로 사회안전망이 탄탄한 복지국가이기 때문에 이런 교육이 가능한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미국처럼 그 밥의 그 나물인 양당제 속에 남북관계는 물론이고 빈익빈부익부의 사회 갈등도 해결 못하고 있다.
교육 문제는 삶의 문제를 해결해야 풀린다. 그 삶의 문제는 높은 세율, 기본 소득, 최저/최고임금제로 풀어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