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학교 - 성미산학교의 마을 만들기
성미산학교 지음 / 교육공동체벗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로 인해 거리’(사회적 거리)격리’(자가 격리)가 필수가 된 시점에 도시는 모여 살기에 적절한 공간이 아니다. 애초에 도시(都市)는 물건을 사고 파는 시장(市場)이므로 사람이 잠을 자고 쉬는 곳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에서 살기 위해서는 과밀한 거대 도시를 줄여야 한다. 작고 작게 띄엄띄엄...

 

달리 얘기하자면 교환의 범위와 크기를 줄여야 한다. 될 수 있으면 자급자족하는 쪽으로. 거대 도시가 아니라 마을에 모여 살아야 한다. 그 속에서 먹고 자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그 마을의 중심에는 학교가 있어야 한다. 어릴 때부터 마을 속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생각이 마음 속 깊이 뿌리 내리도록 키워야 한다.

 

도시에서 마을 학교를 꿈꾸고 현실로 일궈 내는 실험이 이미 오래전부터 진행되고 있다. 바로 이 성미산 학교이다.

 

<밑줄>

장기적으로 볼 때 도시에서도 살림에 필요한 것을 자급해야 한다. 필요한 전부를 자급한다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겠지만(적절한 교환과 분업은 필요하다) 자립도를 꽤 높은 수준까지 올려야 한다.

지금 성미산학교의 가장 큰 과제는 마을에서 먹고사는모델을 몇가지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것이 마을 경제를 살리는 길이고, 학생들의 대안적 진로를 여는 일이고, 마을의 일꾼을 배출하는 것과 직결되어 있다.

졸업 이후 마을에서 먹고사는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는 풀무학교에 물어야 한다. 홍순명 선생이 들려주는 졸업생 이야기에는 졸업생 00이 마을에서 00을 했다라는 표현이 자주 나온다.

물론 풀무학교는 농촌에 있고, 농업학교로 출발했기 때문에 이런 이야기가 나올 수 있었을 것이다. 누군가 도시에서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일리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동의하지는 않았다.

 

학생들이 단순히 관심 있고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 속에서 문제의식을 발견하고 마을과 학교, 자신을 둘러싼 관계들을 고려하여 필요한 일을 찾아 배우면서 해결해 가는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 속에서 배움의 과정을 스스로 기획해야 할 때도 있고 기존의 질서 속에서 겸손하게 일을 배워야 할 때도 있고 낯선 문화를 접하면서 자신의 삶을 성찰해야 할 때도 있다. 이를 통해 좁게는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감각을 갖게 될 것이고 넓게는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위한 실천의 밑거름을 마련할 것이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