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희네 집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1
권윤덕 글 그림 / 길벗어린이 / 199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열면, 소박하고도 공 들인 흔적이 엿보이는 집의 그림이 펼쳐진다. 집안의 모습을 속속들이 보여주기 위함일까...원근법이 조금씩은 어긋나 있는 듯한 이 그림이, 처음에는 별로 마음에 들지를 않았다. 세련되질 못했다고나 할까? 그런데, 그림책을 읽어나가면서 그런 느낌은 서서히 지워졌다. 촌스럽다고? 당연하지! 책이 들려주고자 하는 이야기는 세련된 것이 아닌걸! 구수하고 소박한, 우리네 살림이야기인걸. 그림이 좀 더 예쁘고 야들야들했다면, 그것은 이야기 속에 녹아들질 못하고 겉돌았을 것이다.

자개장롱, 조각천 이불, 엄마의 월남치마...7~80년대의 어느 중산층 가정(70년대라면...좀 유복한 집이라 해야 할까?)을 대표하는 소품들이 정겹다. 그렇다. 만희네 집을 요즘의 가정이라고 우기는 건 좀 무리가 있다. 그리고, 살짝 위험하다. 엄마는 집안일을 열심히 하고 아빠는 회사에 다녀오고...그런 고정된 시각은 꼭 페미니즘 운운하지 않더라도  요즘 가정의 모습과는 전혀 딴판이다. 이것은 20여년 전의 우리네 집 풍경인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면 책은 한결 빛난다. 우리 옛이야기의 가치 중 하나는 조상들의 삶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볼 때 그리 멀지 않은 엄마 아빠 세대의 어린 시절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책은 흔하질 않고, 그래서 <만희네 집>이 더욱 소중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 책을 읽어주는 방법도 조금 달라져야 하겠다. 단순히 글을 읽어만 주는 것에서 벗어나, 그림을 놓고 자분자분 설명을 해 주거나 엄마아빠 어릴 적 추억을 곁들일 때 재미는 두 배가 될 것이다. 그런 스타일을 소화해 내자면...초등학교 저학년 정도 연령이 딱 좋지 않을까? 아이가 차분하고 엄마의 얘기에 잘 집중한다면 더 어려도 상관 없을테지만.^^ (결국...다섯 살의 혈기왕성한 딸아이는 별로 재미 없어 했다는 뜻이다. TT)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즐거운 편지 2004-05-19 15: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서관에서 여러 번 지나치기만 하던 책입니다. 과제로 지금 연구(?) 중이지요.^^ 음.. 역시 서서히 밀려오고 있습니다. 잔잔한 감동이... 지금까지론 글이 좀 설명하는 식이지 않나 싶은데 더 봐야겠습니다. 그림으로는 지금은 돌아가신 외할머니댁 같습니다. 어이쿠 우리 강아지 어서 오너라~ 하시던 모습도 보이고...
우리 엄마 생각도 납니다. 아이는 신기한 듯 구석구석 그림 살피느라 바쁘네요. 잘 연구하면 뭔가(?) 건져질 것도 같습니다.^^ <황소와 도깨비>도 지나치던 책인데 진우맘 리뷰보고 마침 도서관 가는 날이었고.. 빌려왔는데 한 번 보더니 사달라고 합니다. 숨어있는 좋은 책이 아직도 많아요.^^


메시지 2004-05-19 16: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기억했다가 아이에게 읽어주겠습니다. 며칠 전에 시골집에 간적이 있었는데 그 넓은 마당에서 대나무를 휘두르며 산과 밭으로 내달리는 아들녀석이 신기했습니다. 가르쳐준 적도 없는 데 그 자연의 한 켠에 자리잡은 집에서 느껴야할 모든 것을 느끼고 행동하는 것이었습니다. 역시 인간은 자연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