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락 알베르 카뮈 전집 개정판 3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이 책을 이제서야 만났을까요? 한 장 넘기기가 무거웠던 책이라서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이 얇은 책은 꽤 짧은 인생을 돌아보게 하고 현재의 제 모습을 반성하게 하였습니다. 주인공의 독백이, 제 목구멍에 걸려있는 가시와 닮아 흠칫 놀라며 읽었습니다. 우리 모두는 어디인가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하고 살아갑니다. 착하게 살고 싶어 하지만 폭력적인 속 마음을 감추기도 하고, 거친 언행 속에서 약한 마음을 숨기도 합니다. 모든 것을 다 갖고 있던 주인공은 스스로 왜 전락을 했을까요? 이 책을 보며, 우리나라 유명했던 소설 이상의 날개의 한 장면이 떠올랐습니다. 현실에 벗어나기 위해 뛰어내렸지만 실패한 주인공의 무기력한 모습이 가장 정상에서 절망으로 들어간 주인공과 닮았다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 한편에 멀뚱하게 서 있는 저도 있었습니다. 과연 우리는 어떤 삶을 살고 있는 걸까요? 부조리한 현실, 잘못된 신념과 갈등, 세대 간 다툼에서 어떤 가치를 찾아야 하는지 생각해 보면서 읽었습니다.

 


한 번도 배운 적이 없으면서도, 내가 그리 잘 아는 게 사는 거였는데 그걸 그만 한 부분을

잊어버린 것만 같았아요. 그래요, 지금 생각해 보면 바로 그때 모든 것이 시작한 것 같아요

암스테르담을 배경으로 “재판관 겸 참회자”인 변호사 클라망스의 일련의 고백으로

이루어진 소설 전락은 카뮈 소설 중 자전적 요소가 진한 이야기입니다.

이방인으로 유명한 카뮈의 작품, 한 번쯤을 읽어보았겠지만 그 소설과 사뭇 색깔이 달라서

저는 읽는 내내 카뮈가 맞을까라는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전직 변호사였던 잘나가는 엘리트 클라망스는 우연히 만나게 된 사람에게

자신의 삶을 독백처럼 이끌어갑니다.

바에서 강에서 다리에서 쓸쓸하게 이어나가는 이야기는

한 사람이 어떻게 전락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그 대상은 언제나 나 자신이었어요




 

변호사 클라망스는 정말로 잘나가는 사람이었습니다.

누구에게나 친절하고 관대하고 삶을 사랑하고 자신을 아끼며

주변인의 칭송 또한 몹시 사랑했습니다.

밖으로부터 오는 인정과 사랑이 그의 삶을 이끌어가는 원동력이었습니다.

스스로 만든 높은 도덕의식

그 덧에 갇힌 클라망스는 어떻게 스스로 바닥으로 떨어져 버렸을까요?


매일매일이 최후의 심판이니까요

그러니, 선생, 너무나도 간단한 이 발상이 가히 천재적이었다고 해야겠지요. 날이면 날마다, 전신이 마비된 채 옴짝 달싹 못하는 수인은 자기가 죄인이라는 것을 바로

시원하게 사진을 뻗는 것임을 깨닫게 되었지요

어느 평범한 날 저녁, 다리에서 떨어지는 여자의 죽음을 묵인한 사건으로

스스로 죄인을 길을 걷기로 한 주인공

카뮈는 아마도 시대의 부조리 속에 기대어 살아가는 자신에게 죄를 내리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요?

지식인들은 급변하는 사회에서,

거리에 뛰어나가 변화시키지 못하는 자신의 모습을 클라망스를 통해 이야기합니다.

아마도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많은 지식인들은 클라망스와 같은 마음이었을 것입니다.

깊은 죄의식은 있던 용기는 부족했던

혹은 미필적 고의로 죽음을 묵도해야 했던

주변의 불행한 사건을 무시해야 했던

우리 모두를 대변하고 있는 클라망스

그래서 그는 스스로를 심판는 재판관 겸 심판인이 됩니다.

그의 재판의 유일한 죄인은 그 밖에 없었습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 생각하게 만든 책

이 책은 한 번에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첫 장부터 깨달았습니다.

아마 몇 년에 한 번씩 꺼내 읽어야 하는 책 목록에 추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카뮈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혹은 고전 소설의 매력에 빠지고 싶은 분이시라면

꼭 한 번 정독을 하시길 추천합니다.

 

- 출판사로부터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