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처음 만나는 세계 - 메타버스, 블록체인, 암호화폐로 펼쳐지는 새로운 예술의 장 서울대학교미술관×시공아트 현대 미술 ing 시리즈 1
심상용 외 지음 / 시공아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대체 NFT가 뭐길래 이렇게 핫하단 말이냐!!!!

나만 모르고 있는 것 같은 NFT, 새로 나온 금융 상품 이름 같기도 하고 미국 스타트업 이름인가 싶기도 한

이 용어는 NFT (non-fungible token / 대체 불가능한 토큰((블록체인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암호 화폐))를 말한다고 한다.

자주 듣는 경제 라디오 방송에서 신윤복 국보를 NFT로 판매했는데 솔드아웃 했다는 내용을 듣고

어떻게 그림을 팔았는지, 쪼개 팔았다는 말인데 그것이 무슨 뜻인지 몰라서

신문을 찾아보았다.

신물을 봤다고 이해한 것은 아니다.

관련해서 몇 개의 신문을 더 읽어보았는데, 외국에서는 많은 미술 작품 NFT 거래가 활발하고

디지털 화가의 활동이 많으며 우리나라도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는 것들을

알 수 있었다.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엄청 중요하다는 것 하나는 알겠더라.

 

어제 읽은 NFT 처음 만나는 세계는 NFT가 가장 활발하게 영향을 끼치는 예술계에 대한 이야기이다.

NFT의 정의, 기술적 이해, 그리고 미술의 가능성과 한계를 담아낸 책으로

만약 NFT 미술 투자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읽고 생각하는 기회를 만들어준다.

NFT 미술 열풍은 재테크 열풍과 합세하여 많은 이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술에 대해 몰라도 NFT 투자라면 달려드는 사람들에게 미술 전문가들은 관련된 문제와

어두운 면에 대해 조목조목 설명해 준다.

왜 사람들은 NFT에 가치를 부여할까?

솔드아웃이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NFT 이 미술에 얼마큼 영향을 끼칠 것일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경제 전문가들에 의견과 다른 점이 있어 유심 있게 보면 좋을 듯싶다.

 

고대부터 현재까지 미술의 창작과 소비의 공간은 변해 왔다.

동굴 벽에서부터 종이와 캔버스로 진화해 왔고, 오늘날에는 디지털 공간으로까지 확장 중이다.

한편, 파일의 위조와 변조나 복제가 쉬운 디지털 공간으로의 확장은 창작과 그 가치에 초점을 맞춘

미술 시장의 온전한 환영을 받지 못했다.

NFT는 미술품의 창작과 소비, 두 가지 측면에서 디지털 상의 콘텐츠가

갖는 한계점을 분명히 해결해 준다. 창작 측면에서 예술가는 NFT를 통해 자신의 작품을 증명할 수 있다.

소비 측면에서 예술가는 다른 플랫폼이나 제3자의 개입 없이 작품을 직접 거래하여 자신의 콘텐츠에 대한 보상을 오롯이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본인의 작품 소유권을 인증할 수 있다.

「1장 ‘NFT와 현대 미술’」중에서

NFT 미술품은 디지털 세상으로 점점 가치가 전환하는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변화라고 한다.

벽화에 그리던 그림이 화폭으로 옮겨지고 그 그림이 디지털 세상에서 새롭게 만들어지는 것

그러한 변화 속에서 사람들은 새로운 투자처로 NFT 미술 작품을 구매하고 팔기 시작한다.

하나의 작품은 온전히 한 명이 소유할 수 있었던 기존과 달리, 디지털 세상에서는

쪼개진 그림을 수명에서 수천 명이 동시에 소유할 수 있다.

쉽게 말해 "내가 신윤복 그림 중에 몇 화소를 소유하고 있어 아마도 그림 크기로 따지면 1mm 정도 되지 않을까?"

정도로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여러 명이 함께 소유한 그림은 작품으로서 또한 투자처로서 가치를 지닌다.

이게 NFT 미술이며 새로운 재테크 방법이 되는 것이다.

NFT 시장은 첫 등장에서 큰 주목을 받은 것은 아니었다.

여러 프로젝트를 통해 지속 성장을 하고 있는 NFT 시장의

가장 큰 혁신은 '블록체인의 속성을 부여받은 NFT는 디지털 상에서 나의 고유한 소유권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럼 NFT 거래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책에서 친절하게 거래하는 방법이 나와있어

따라 하다 그만뒀다. 처음부터 쉬운 일이 어디 있을까? 다음에 다시 도전해 볼 생각이다.

<매일: 첫 5,000일〉은 작가가 2007년부터 13여 년 동안 매일 작업하거나 수집한 5천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을 콜라주 방식으로 재구성한 뒤 NFT로 발행했다. 또한 충격적인 사건으로 2021년 3월 뱅크시의 〈멍청이들〉을 구매하고 NFT 화한 후 원작을 불태운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제 진품은 사라졌고, NFT만 남았다. 오리지널 작품에 대한 고민을 하게 한 사건이었다.

이 책은 정확히 말해 NFT 미술에 대한 각 저자의 의견에 대한 글이다. NFT에 대한 긍정적 투자를 이야기한 것도 아니고 앞으로 NFT 미술 시대가 올 것이다!라고 외치는 글도 이니다.

어찌할 수 없이 받아들어야 하는 미래.

원하지 않지만 이미 기술은 진보했고, 진보한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은 각 예술가의 몫일 것이다.

예술의 가치가 어디에 있을까?

오프라인에서만 볼 수 있었던 작품을 디지털 세상에서 보고 심지어 내가 소유할 수 있다는 것은

진보일까? 혹은 예술 가치에 대한 훼손일까?

만약 모나리자 그림을 쪼개어 판다면 사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을까?

이러한 여러 의문에 대해 고민을 하고, 대답을 생각하게 하는 책

NFT 세계가 얼마나 더 확장될지, 지금은 미술, 게임, 음악이지만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 고민해 보게 하는 책이었다.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