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어른을 위한 경제기사 활용법 - 부와 성공을 가져다줄 경제를 읽는 힘!
이혜진 외 지음 / 길벗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테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들은 조언이 "경제신문 읽기"였다.

주변에 주식과 부동산 그 밖에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아침에 시간을 쪼개어 모바일 신문을 읽고

내용을 따로 정리하기도 했다.

친한 지인분은 가끔 신문 내용 중 필요한 부분은 공유해 주기도 했는데,

신문을 시간을 내서 보는 일은 여간 수고스럽지 않아 매일 하기엔 벅찬 일이었다.

마음먹고 신문을 펼쳐 첫 장부터 꼼꼼하게 다 읽으려면 책 한 권 읽는 시간과 비슷하게 걸리기도 하니

신문은 인터넷으로 중요한 것만 보는 것이 편했다.

그렇게 한정된 정보만 보고, 검증되지 않은 기사를 읽다가 종이신문을 구독했는데 "서울경제"였다.

경제신문 종류가 꽤 된다는 것은 신문 구독을 검색하다 알게 되었고, 남편도 이전에도 서울경제를 보던 터라

매일은 아니고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신문을 읽었었다.

종이 신문을 보면서 인터넷에서 보던 신문의 차이가 확실하게 보이고, 정돈된 내용과 기사를 접하니

관련 지식도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문제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는 것이다. 책은 좀 빠르게 읽는 편이라 하루에 두 권도 새벽과 아이가 잠이 든 밤 시간을 활용해 가능한데, 신문은 속도가 나지 않는다.

어려운 단어와 용어, 스토리 없이 정보만 전달하는 글이 눈에 쉽게 들어올 일이 없이니 시간이 곱절로 드는 것이다.

매일신문 읽어야지 결심은 하지만,

읽어야 할 책도 많고 살림도 해야 하고 아이 앞에서 동요도 불러줘야 하며

가끔 웹툰도 봐야 해서 정말로 시간이 없다!

 이번에 읽은 '자본주의 어른을 위한 경제기사 활용법'은 신문을 보는 법을

제대로 몰랐던 내게 단비와도 같은 책이었다.

신문도 읽는 방법이 그것도 제대로 읽는 방법이 있었다.

살면서 중요하지만 모른 것들이 많다. 학교에서 로그와 방정식은 가르쳐주지만 세금은 알려주지 않는다.

세탁하는 법, 계약서 읽는 법, 환불하는 법, 흰옷 김치 자국 지우는 법

정말 중요한 것들을 학교에서 배웠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그중에 하나가 신문을 읽는 법이다.

지금까지 신문 읽어라, 신문이 중요하다는 말만 들었지

신문을 왜 읽고,

어떻게 읽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몰랐었다.

신문을 왜 읽어야 하는지 안다며,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읽고 난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제대로 배운다면 경제에 밝아지고 재테크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서울경제신문 기자 4명이 함께 쓴 이번 책은 이러한 질문에 답을 명쾌하게 제시해 준다.

#신문을 읽어야 하는 이유

우리가 경제기사를 읽어야 하는 이유는 다섯 가지라고 한다.

  1. 거시적 관점

  2. 효율성

  3. 입체적 사고

  4. 투자인사이트

  5. 교양과 상식

 

다섯 가지 모두 중요하지만 내겐 4번째 투자인사이트를 얻는 것이 가장 눈에 띄었다.

재테크, 부동산 책들을 열심히 읽었지만 아직도 주춤거리며 망설이고 있는 것은

내가 아는 정보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이다.

재테크, 부동산 책이 나오는 동시에 책에 있는 내용은 이미 과거로 지나가 버리기 때문에

지금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어렵다.

 

신문의 기사는 현재이며 가장 가까운 미래를 말한다.

신문을 먼저 읽고 발 빠르게 경제 흐름을 파악한 사람들이 관련 주식을 사고,

지역에 부동산 매물을 보며, 금과 달러는 산다는 것. 누군가의 지라시가 아니라

직접 읽은 정보를 통해 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어떻게 읽어야 할까?

책에서는 신문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에 자세히 가르쳐준다.

1면의 핵심 내용을 파악하는 것부터 지면의 구성과 기사의 종류까지, 신문 구성에도 법칙이 있고 중요도가 다른 다는 것을 이번에 배우게 되었다.

 

경제기사와 친해지는 법

1. 1면부터 32면까지 대충 넘겨만 보자

2. 지면별 톱기사만 보자

3. 1면 톱기사와 관련된 기사만 보자

4. 전체 기사 중 새롭게 등장한 뉴스만 보자

자본주의의 어른을 위한 경제기사 활용법 P41

그동안 나의 신문 읽기는 앞에부터 끝가지 천천히 다 읽는 방식이었다.

마치 소설책 보듯이 앞에서부터 차근차근 읽으니 속도가 나지 않을 수밖에

신문 기사 읽는 방법을 배우고 한 번 따라 해보니 시간이 반절도 걸리지 않았다.

모든 기사를 다 읽어야 하다는 강박이 없어지니, 필요한 기사만 찾아 읽게 되고

좀 더 꼼꼼하게 기사를 스크랩하게 되었다.

 

#다 읽고 나서 활용하는 법

일반적으로 스크랩은 종이에 신문을 오려 요약하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한 면에 신문을 오려 붙이고, 어려운 용어는 검색하여 뜻을 풀이한다.

밑에는 내용을 정리하고 생각까지 덧붙이면 끝!

 

#MZ 세대 신문 스크랩 방법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중에 매일 아침 신문을 사진을 캡처 스크랩하여 올리시는 분이 있다. 꾸준히 한 활동으로 책도 출판하고 강의도 하는 전문가가 되었다.

그분은 사진으로 캡처하고 요약한 내용은 인스타그램 피트에 적어서 공유하는 방법을 선택했는데

책에서도 쉽게 스크랩하여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준다.

 


 

#핵심 키워드로 읽는 경제기사

기자들이 뽑은 핵심 키워드 45개를 통해 거시경제부터, 국제 경제, 정치, 부동산, 암호화폐까지 가장 중요한 기사들을 접할 수 있다. 최근 기사들을 통해 현재 한국 부채 비율, 환율 전망, 금리 인상 및 머스크 지분 뉴스까지, 용어설명, 기사의 중요성, 기사 함께 읽기 등을 통해 경제 상황을 알게 되었다.

 

예전에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지하철에서 신문을 보는 장면이 많이 나왔다.

시조새 시대 이야기 일 수도 있지만

다양한 매체에 밀려 신문이 점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다.

더 빠르고 재미있는 유튜브가 있고, 중요한 건 짤로 보면 되는 요즘

누가 딱딱한 신문을 읽고 있느냐 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한 사람과 하지 않은 사람의 결과는 나중에 알 수 있다.

저자가 이야기했듯이 국민 MC 유재석의 뛰어난 상식은 하루 2시간 신문 읽기를 통해

만들어졌다고.

아는 것이 힘이 되고, 그래서 제대로 알아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가짜 뉴스가 판을 치고 정보 과잉 시대에 살고 있어 혼란스러운 요즘

선택과 검증을 통해 결정된 뉴스를 통해 경제를 배우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 아닐까?

 

 

-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