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산무진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한산성' 에 이어 '강산무진'을 읽었다.

'남한산성'을 보면서 미려한 문장을 구사하는 남성작가라는 느낌이 있었는데, 이 작품에서는 이것이 남성작가의 글인지, 여성작가의 글인지 구별하기가 매우 힘든 작품집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대체로 글에서 그런 것이 묻어나는 편인데, 이 작품집에서는 그는 무성화 되어 있었다.

감수성이 묻어나나 한편 냉철하고 기술적이고, 묘사가 치밀하고 섬세하나 바로 그 다음 순간 그런 느낌을 뚝 떨어뜨리는 서사가 나오고 그의 문장은 한마디로 설명하기가 힘들다. 능수능란하고 매우 거침없다고나 할까?

일상을 포착하고 서술하는 그의 매서운 눈매는 빛난다. 죽음의 기술조차도 어쩜 너무도 담담하고 일상적이어서 그냥 매일의 일상의 기술과 다를 바가 없다. 그는 그냥 자신의 감정을 배제한 채, 관조적 입장에서 사물을, 사람을, 사람의 일을 바라보고 옮겨적는다는 생각이 든다.  신문기자였을 때는 오히려 소설가같던 그의 문장이 이럴 때는 오히려 기자같다고나 할까?

'언니의 폐경' 에서는 여자인 나도 모르는 여성에 대해 풀어놓더니 이내 '화장 '과  '강산무진' 과 '고향의 그림자' 에서는 죽음과, 죽음에 인접한 것에 대해 담담히 읊조리고 있다.

그의 작품들에서는 일상이 강하게 배어나오고 있다. '신수정'씨의 해설대로 죽을 날을 받아 놓고 사는 사람에게도 가장 중요한 남은 일은 돈의 처분이고 -강산무진-, 남편과 헤어지고 남편을 잃은 사람들의 일상에서도 가장 빈번하게 나오는 얘기는 그 남편들에게 받은 돈의 행방 -'언니의 폐경' - 이다.  그는 우리의 비루한 일상을 결코 지나치지 않는다. 미화하지도 않는다. 그저 담담히 기술한다. 우리는 돈없으면 꼼짝을 못하는 사회에서 살고 있고, 그것은 죽음앞에서도 비껴가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는 당연한듯이 기록한다. 그것은 원하던 원치 않던, 돈으로 환원되는 우리 인생의  비극을 어쩌면 더욱 강조하는 듯 하기도 하고, 죽음이라는 비극앞에 놓인 존재의 무기력에 대한 감상에 빠진 우리에게 일상으로의 회귀를 강조하는 것 같기도 하다.

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있나보다. 나는 재벌도 부럽고, 미모의 배우들도 부럽지만 글 잘 쓰는 사람들이 제일 부럽다. 내게 그럴 능력은 없지만 오늘 김훈을 만나 나는 행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