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만 가지 죽는 방법 밀리언셀러 클럽 13
로렌스 블록 지음, 김미옥 옮김 / 황금가지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술에 절어 사는 무면허 탐정 매트 스커더 시리즈를 창조한 로렌스 블록은 정말 대단한 작가입니다. 영국추리작가협회와 미국추리작가협회에서 수여하는 공로상을 모두 수상한 작가입니다. 국내 출간된 <백정들의 미사>는 미국추리작가협회상 대상 수상작이고요. 뭐 이런 상들이 꼭 작가의 수준을 대변하는 건 아니겠지만, 그만큼 인정받는 작가라는 증거는 되겠지요.

<800만 가지 죽는 방법>의 매트 스커더는 한 창녀의 의뢰를 받습니다. 그녀는 창녀 생활을 이제 그만 때려치고 싶다며, 자신의 포주인 챈스라는 흑인에게 자신이 그만둔다는 사실을 통보해달라고 부탁합니다. 여기나 거기나 창녀가 포주에게 혹사당하고, 위협받는 건 비슷한가 봅니다. 자신 스스로 그만둔다고 말하면 혹시 해꼬지라도 당할까 염려한 나머지 매트에게 부탁한 겁니다.

의외로 선선히 창녀를 그만둬도 좋다고 말하는 챈스. 그러나 며칠 뒤 창녀는 호텔방에서 잔인하게 살해당합니다. 매트는 챈스를 의심하지만 오히려 챈스는 그에게 창녀를 죽인 범인을 잡아달라고 의뢰합니다. 자신이 거느리고(?) 있는 창녀를 죽인건 자신에 대한 도전이라는 거죠.

매트는 챈스에 대한 의심을 여전히 간직한 채 창녀 살해 사건의 진상을 밝혀 내려 합니다. 전직 경찰 출신의 매트가 손에 쥔건 사립탐정 면허증도 아니요, 누구든 한방에 골로 보낼 수 있는 총도 아닙니다. 단지 술병만을 쥐고 있을 뿐이지요.

전에 읽었던 <백정들의 미사>에서도 반복되지만 이 작품에서도 매트는 끊임없이 신문을 읽습니다. 뉴욕에는 800만명이 살고, 그들 각자는 죽는 방법도 다양합니다. 꼭 800만 가지가 되죠. 800만명의 사람들이 하찮은 이유로 서로를 죽고 죽이는, 혼돈과 죄악으로 가득찬 사건들이 보도되는 신문을 매트는 쉬지않고 읽어댑니다. 벌거벗은 도시 뉴욕의 현실에 절망한 매트가 기댈 것은 술밖에 없는 거구요.

혹자는 말합니다. 신문을 뭐하러 읽냐고...안좋은 일만 가득한 신문은 읽지 않으면 그만아니냐고...매트는 그 말에 동의하지만 신문을 읽는 걸 멈추진 않습니다. 대도시 뉴욕의 현실에 절망하고는 있지만 결코 외면하지는 않는거죠. 그런 면에서 본질적으로 그는 정의로운 인물입니다.

사실 그는 800만 가지의 모든 죽음에 대해 깊은 슬픔을 느끼고 있습니다. 매트는 모든 사람들이 인류라는 이름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에 단 한 사람의  죽음도 자신을 우울하게 만드는게 아닐까 뇌까려 보기도 합니다.

<백정들의 미사>도 여운이 깊이 남는 대단한 수작이지만, 추리적인 측면이나 아귀가 딱딱 맞아 떨어지는 구성, 복선의 배치 등은 <800만가지 죽는 방법>이 더 뛰어난 것 같습니다. 사건이 해결되는 부분의 지적 쾌감도 꽤 큰 편이구요.

여러모로 대가 로렌스 블록의 필력을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입니다. 1982년 작품인데 그해 미국추리작가협회상 수상을 하지 못했더군요. 찾아보니 윌리엄 베이어라는 작가의 <송골매>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더군요. <송골매>를 못 봤지만 고개가 약간 갸우뚱해집니다.
'이 정도의 걸작을 제쳤단 말야!'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마지막으로 작품 맨 말미 매트 스커더의 금주 모임에서의 단 두 마디 스피치는 미스터리라는 이름을 달고 나오는 모든 소설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 그야말로 감동으로 가슴이 먹먹해지고, 뻐근해지지요. 새로 읽으실 분들의 재미를 위해 밝히지는 않겠지만 정말 대단합니다. 어떻게 그런 결말을 낼 수 있었을까요...로렌스 블록은 정말 대단한 작가이며, 매트 스커더 역시 영원히 독자들의 기억에 남을 인물입니다.

P.S/ 1992년 <백정들의 미사>에서는 매트 스커더는 술을 완전히 끊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