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실살인게임 - 왕수비차잡기 밀실살인게임 1
우타노 쇼고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올해 들어 유독 많이 나오고 있는 우타노 쇼고의 작품. 가만보면 이 작가 참 스타일리스트다. 국내에 소개된 작품들 중 서로 비슷한 소재와 형식을 취하는 게 거의 없을 정도. 히트작 <벚꽃 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하네>는 공정하다, 아니다의 논란이 벌어졌던 서술트릭, 에도가와 란포의 오마주에 가까운 <시체를 사는 남자>는 고전 추리소설의 맛을 재현했고, <그리고 명탐정이 태어났다>는 본격추리 중편집, 살인자로 몰린 어느 오타쿠의 험난한 여정을 그린 <여왕님과 나>는 판타지 요소까지 녹아들어가 있다. 이쯤되면 안정적인 성공이 보장되어 있는 기존의 방식을 계속 쓰느니 실패하더라도 새로운 길을 걸어보겠다는 작가로서의 자세를 높이 사야 하지 않을까.

 

<밀실살인게임>에도 물론 작가 특유의 새롭고 신선한 면모가 있다. 각자 분장을 해서 나이도 성별도 알 수 없게 꾸민 5명의 인물들이 화상채팅을 한다. 영화나 아이돌가수 등의 주제를 놓고 떠드는 친목 모임도 아니고, 조막만 한 채팅창을 통해 음란한 행위를 하는 것도 아니다. 실은 그들 모두 살인자다. 살인의 목적은 그저 재미를 위해. 그들은 사람을 죽인 다음 사건 현장을 카메라로 충실히 찍어온다. 그러고는 자신의 범행을 토대로 문제를 내는 것이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사건 현장에는 외부인이 침입할 수 있는 어떤 통로도 없었어요, 그러면 나는 어떻게 이 안으로 들어가 사람을 죽인 걸까요? 이런 식으로...


 

철저하게 게임 감각의 추리소설이다. 단지 게임의 재미를 위해 사람을 죽인다는 설정에 생리적으로 거부감이 드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책 띠지에 '19금을 박아넣을까 고민하게 만든 책'이라는 문구가 삽입되었지만, 이런 정신적인 테러(?)를 제외하고는 살해나 폭력 장면은 거의 나오지 않고 그 수위도 높지 않다. 읽으면서 어쩌면 5명의 출제자들이 추리작가의 고뇌를 상징하는 인물들이 아닐까 생각했다. 그들은 특별한 원한이나 동기가 있어 사람을 죽이는 게 아니고, 다만 재미있고 수준 높은 트릭을 만들기 위해 죽인다. 추리작가들 또한 재미를 위해 (비록 가상이지만) 사람을 죽이는 이들이 아닌가. 뿐만 아니라 유독 시시한 알리바이 트릭만을 만드는 참가자는 채팅 멤버들에게 온갖 비난을 듣는다. 이 역시 추리작가들의 팔자와 비슷하지 않나. 시시한 트릭을 내놓으면 수많은 독자들의 비난은 물론 심지어 욕까지...이런 점에서 <밀실살인게임>이 추리소설과 추리작가에 대한 추리소설이 아닐까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 같다.

 

각자 한 문제 정도씩 출제하니 대략 대여섯 개 정도의 사건이 나오는데, 어차피 범인과 동기는 처음부터 알려져 있다(범인은 출제자들, 동기는 단순히 재미). 독자들이 이 게임 속에서 추리해야 할 건 오로지 사건의 트릭뿐. 이중 가장 긴 분량의 첫 번째 트릭은 뛰어나지만, 나머지는 솔직히 그다지다. 심지어 유명한 일본 고전 추리소설의 트릭을 그대로 재현한 것도 있다. 서술트릭이라 할 만한 마지막의 반전도 눈치 빠른 사람이라면 대다수 눈치 챌 것이다. 그럼에도 흥미롭게 읽히는 이유는 채팅 참가자들의 재기발랄한 말장난과 비록 살인자들이지만 게임을 게임답게 즐길 줄 아는 그들의 행동에서 기묘한 흥취가 느껴지기 때문이리라. 결말에는 채팅 참가자들이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에서 만나는데, 내로라하는 살인자들이 한자리에 모였으니 필연적으로 사건이 벌어질 게 뻔하지 않은가. 누군가 죽음의 위기에 몰리는 절박한 상황에서 'to be continued.' 다음 이야기는 속편 <밀실살인게임2.0>에서 이어진다고 한다. 과연 그들이 모여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누가 살고 죽는지 몹시 궁금하다. 속편은 평도 더 좋은  것 같으니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내 생각에 <밀실살인게임>은 그 자체로 얘기하기보다 속편까지 보고 나서 두 작품을 동시에 얘기하는 게 더 좋을 듯하다. 그래야 작품의 분명한 진가가 드러날 듯...그러니까 얼른 속편을 출간해주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