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번째 사도의 편지 1 뫼비우스 서재
미셸 브누아 지음, 이혜정 옮김 / 노블마인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13번째 사도의 편지>는 종교와 역사의 이면에 숨겨진 음모를 추적하는 프랑스산 팩션 스릴러다. 이 장르에서 워낙 큰 성공을 거둔 <다빈치 코드>가 있기에 재작년부터 대유행을 타고 있는데, 세상이 하수상하다 보니 사람들이 역사를 액면 그대로 믿지를 못해 그 이면에 무언가 음모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팩션 스릴러가 쏟아지는데 어떤 음모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다빈치 코드>의 성공에 기대려는 음모? 아니면 <다빈치 코드>만은 못한 작품들을 쏟아내 물타기를 하려는 음모? 으음...나까지 음모이론에 빠지고 만 것인가.

 

이 작품을 쓴 작가 미셀 브누아의 이력이 참으로 특이한데 원래 수도원에서 20년간 공부하던 사제란다. 어느날 크게 깨달았는지, 수도원을 뛰쳐나와 가톨릭의 역사와 유래를 파헤치는 작가가 되었다고 한다. 일단 이 사람이 수도사 출신인데 현재는 그 길을 걷지 않은 데서 독자들은 야, 이 사람이 뭔가 단단히 믿음에 상처를 입었구나, 그간의 믿음이 흔들릴 대단한 어떤 비밀을 알고 있나보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과연 성직자 출신 작가가 수도원을 나오면서까지 쓴 이야기는 어떤 것일지 들여다보자.

 

이 작품은 현재와 과거의 이야기가 한 꼭지씩 병행된다. 먼저 현재는, 가톨릭에 기반해 발전을 영위해온 서양 역사를 송두리째 뒤바꿔놓을 만큼 중요한 편지의 비밀을 알자마자 살해된 안드레이 신부가 등장한다. 그의 절친한 친구이자 제자격인 닐 신부는 안드레이 신부가 남긴 메모를 바탕으로 사건을 조사하고 결국 진실에 닿게 된다. 다음 과거는 '최후의 만찬' 당일의 이야기부터 중세 성당 기사단까지 생생한 역사의 현장을 스케치한다. 최후의 만찬 당시 예수의 제자는 12명으로 흔히 알고 있지만 이 책에 따르면 가장 사랑받는 제자가 따로 있었단다. 그 13번째 사도는 권력욕으로 점철된 나머지 사도들과는 달리 예수의 참모습을 간직하고 그 진짜 얼굴을 세상에 알리고 싶어한다. 당연히 닐 신부와 13번째 사도는 각각 탄압을 받게 된다. 그 사실이 세상에 알려지면, 그간의 모든 질서가 송두리째 파괴되고 교회는 멸망의 길을 걷게 되니까. 온갖 위험에도 불구하고 진실을 수호하는 과거와 현재의 두 사람이 멋들어지게 겹친다. 이 작품의 최대 매력은 바로 여기에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미스터리/스릴러라는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작품이라면 긴박한 위험에서 비롯되는 스릴과 여러가지 단서를 바탕으로 그럴 듯한 추리를 해야하지 않을까. 아무래도 작가 미셀 브누아가 전문적인 스릴러 소설가는 아니다보니 이런 점에서는 많이 아쉽다. 단서는 대부분 우연에 의해 발견되고, 진실의 추적자 닐 신부를 향한 죽은 안드레이 신부의 안배는 너무 완벽해 사실 별로 고생도 하지 않고 대부분의 정보가 닐 신부의 손에 들어온다. 두 명의 킬러를 비롯해 어마어마한 단체들이 닐 신부를 추적하지만, 그는 초반부에 잠깐 생명의 위험을 겪을 뿐 그다지 위급한 상황에 처하지도 않는다. 더구나 인물들의 행동도 지적 두뇌회전을 강조하는 이런 류의 소설에서 필수적인 '그럴싸함'이 빠져 있다. 왜 이 인물이 여기서 이렇게 행동하는 거지, 하는 의문이 계속 피어올라, 논리성과 정합성 면에서도 점수를 줄 수 없다. 사소한 예를 들어보자.

 

"닐은 자리에서 일어섰다. 잠시 방안을 서성거리던 그는 사제들이 옷장으로 사용되는 선반 위에 귀한 종이를 올려놓은 뒤 복도로 나갔다. 설마 몇 분 간 자리를 비운 사이 누가 그의 방을 방문하지는 않으리라 생각하면서. 닐은 잰걸음으로 자신에게 유일하게 허락된 성서학 도서관으로 향했다. 그는 평소 자주 사용하는 첫 번째 서가에서 콥트어-영어 어원학 사전을 찾아냈다. 사전을 들고 <유령>에 기입하자마자 얼른 방으로 돌아왔다. 심장이 심하게 고동쳤다. 그 중요한 종이는 그가 놓았던 자리에 그대로 있었다. 저녁 예배를 알리는 첫 번째 종소리가 울렸다. 그는 사전을 책상 위에 놓고 수도복의 안주머니에 복사본을 집어넣은 후 교회로 내려갔다..."

 

이 장면을 보면 그 '귀한 종이'를 처음부터 수도복 안주머니에 넣을 수 있었다는 걸 알 수 있다. 좋은 방법이 있는데 굳이 떨면서 선반 위에 종이를 올려놓을 필요가 있나. 사소한 것이지만 이런 상황이 계속 반복되면 집중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팩션 스릴러로서 치밀함과 긴장감이 상당히 부족한 작품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만 알려지지 않은 종교사를 많이 공부한 사람답게 과거의 이야기는 몰입감이 제법이다. 야심가 베드로와 가련한 유다, 성인에 가까운 13번째 사도 등 인물의 면면은 기존 역사와 상당히 다르면서도 웬지 그럴 법하다는 믿음을 주며, 그 말 많고 탈 많은 13번째 사도의 편지가 로마와 마호메트, 성당 기사단 시대를 거쳐 이스라엘 전쟁의 와중에서 바티칸으로 흘러가는 과정은 드라마틱하기 이를 데 없다. 개인적으로는 이 작품에 묘사된 현대 바티칸의 높은 사제들이 자행하는 온갖 악행에 대한 묘사도 좋았다. 2000년 넘게 교회의 수장으로 자리하면서 얻은 부와 권력, 그걸 놓치고 싶지 않은 건 인지상정이겠기에 계략과 폭력을 앞세워 진실을 묻어두는 그들의 모습은 제법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 마디로 이 작품은 짜릿한 팩션 스릴러로서는 실격이지만, 흥미로운 역사 종교소설 혹은 종교 비판소설로는 어느 정도 성취를 이뤘다고 할 수 있다. 취향에 따라 잡을 것이냐, 말 것이냐를 결정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