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 아들에게 편지를 쓰다 - 개정판
이황 지음, 이장우.전일주 옮김 / 연암서가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날로그 시대와 디지털 시대를 구분하는 여러 가지 중 하나가 편지가 아닐까 한다. 손으로 직접 쓴 편지에는 그 사람의 품성을 담은 글자가 있고 마음과 사연이 빼곡히 들어 있다. 요즘은 손 편지를 받는다는 것만으로도 감동되는 시대이다. 과거 퇴계 이황이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모음글 개정판을 읽으니 내가 아는 학자 이황이 아니라 아버지 이황이 느껴진다.
 

 그전까지 이황의 면모는 대학자였고 그나마 최근 읽었던『퇴계, 인간의 도리를 말하다/2011』에서 인간적인 모습을 조금 만났다. 편지는 개인적인 글이어서 쓰는 이의 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더욱이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였기에 우리는 여러 가지 집안 대소사까지 알게 된다.

 

 조선 시대 양반가가 배경인데 퇴계 이황이 집안일의 세세함까지 다 챙기는 모습이 새롭다. 고지식하게 학문만 탐구하고 뒷짐 지고 집안을 등한시하는 인물이 아니었던 것이다. 오히려 정말로 섬세하고 자상했다. 아들에게 학문에 정진하라는 채찍질과 함께 걱정하기도 하며 집안일과 종들을 다루는 일, 재산분배 등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꼼꼼하게 이야기한다.

 

 이렇게 보니 퇴계 이황은 선천적으로 꼼꼼하고 모든 일을 함부로 하지 않고 능히 따져보고 손수 했던 거 같다. 그러니『성학십도』같은 복잡한 학문에서부터 집안까지 이끄는 능력이 되었던 것이리라.  

 

 준에게
 

독서에 어찌 장소를 택해서 하랴. 향리에 있거나 서울에 있거나, 오직 뜻을 세움이 어떠한가에 있을 따름이다. 마땅히 십분 스스로 채찍질하고 힘써야 할 것이며, 날을 다투어 부지런히 공부하고 한가하게 시간을 낭비해서는 안 될 것이다. 8월

 

(32쪽, 독서에 뜻을 세워라 전문.)

 

 

 너는 병난 뒤부터 책 읽는 것을 전부 그만두었느냐? 일간에 조금 기력이 생기면 정도에 맞추어 책을 읽고, 기력이 손상하는 데 이르지 않는다면 무방할 것이다.  [외내로] 

 

(142쪽, 장사에 인사하지 못하였다에서 일부발췌.)

 그리고 또 하나 역시 앞에서 언급한 책에서도 느꼈지만『퇴계 이황, 아들에게 편지를 쓰다/2011』에서도 발견되는 것 중 하나가 있다. 바로 의리와 명분 등을 강조한 성리학에 근거한 당시 관습에 대해서인데 이를 마땅히 엄격하게 지킬 것만 같은 이황도 실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말은 학문만 연구했지 실행하지 않았다는 의미가 절대 아니다. 오히려 실생활에 맞게 지켰다는 말이니 곧 유연하게 대처했다는 뜻이다. 예로 아들 준과 채에게 계모상을 친모상같이 하라고 이르며 사람의 의(義)를 지키라는 당부 어린 말, 상복을 입는 중이라도 가볍지 않은 병에 걸린 준에게 소식만을 고집하지 말고 육식을 허락한다는 말 등이다. 우리가 드라마에서 보았던 대쪽같은 양반들네의 생고집은 역시나 그게 전부가 아니었다. 하긴 드라마와 역사는 다르니까 말이다. 애정이 어린 배려가 느껴져 색다르다. 물론 학문에 임하는 자세에 대해 전할 때는 위의 인용구처럼 따끔하다.

 

 퇴계도 나이를 먹어가며 이런 일 저런 일이 생긴다. 그럼에도 편지에서는 둘째 아들 채의 죽음을 비롯하여 가족, 친지의 죽음을 듣고 장사 치르는 일 등을 말하며 종들의 관리에 대해서도 일일이 말하고 처가살이하는 준에게 하는 말 등을 보며 그야말로 사람 사는 냄새가 난다. 또한, 나이 들면서 몸도 자주 아픈 거 같은데도 그토록 학문에 정진할 수 있었다니 놀라을 뿐이다.

 

 편지에서 느껴지는 이황의 따뜻함과 섬세함, 노여움과 걱정 등을 만나며 더욱 가깝게 느껴져서 좋았다. 다소 지루할 수도 있겠지만 다른 책에서 볼 수 없는 모습을 발견한 거 같아서 좋았다. 훈계는 따끔하고 정은 따스하게 전하는 방법을 배워야겠다. 우리가 익히 알던 대학자의 모습뿐 아니라 소소한 일상까지 함께할 수 있어서 즐거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