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강주헌 옮김 / 느낌 / 1999년 3월
평점 :
절판


30대에 접어들면서 그.. 말로만 듣던 "대화의 단절"이란 것을 피부로 느끼기 시작했다.. 

서로 진지하게 대화를 나누고 있지만, 서로 다른 얘기를 하고 있는 상태, 즉.. 동문서답

각종 토론프로그램을 보면.. 일정한 주제를 놓고 대립하는 양측이 열심히 갑론을박하고 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상대방의 얘기를 듣지 않고, 지 얘기만 주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흠.. 일부러 그러는지도 몰라...

어쩌면.. 그런 방식이 더 편하고, 오히려 대화가 통하는 방법일지도 모른다는.. 아이러니한 생각도 들기도 하고...

학창시절에 도스토예프스키(Ф.М. Достоевский)의 3대 소설이라 하는 "카라마조프가의 형제", "죄와 벌", "백치"를 모두 읽었었지만.. 솔직히.. "백치"는.. 도저히 이해가 안갔다. "백치"읽다가.. 혹시 내가 "백치"가 될 것만 같은 "분노"마저 느낄 정도였으니....

그래서.. 난 러시아 작가 중에서 도스토예프스키를 별로 좋아하진 않았다.

러시아 문법은 다른 외국어에 비해서 문법구조가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원서 역시 문장이 산만해서 이해하기 힘들었고....

그런데.. "악어(КРОКОДИЛ)"는..

어쩜..!! 역시 도스토예프스키를 "대문호"라고 하는 이유가 있긴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악어를 읽고난 후의 나의 느낌은 순전히 주관적인 것이다.

악어"의 스토리는 단순하다...  그런데, 악어 속의 얘기는 지금 우리나라의 모습을 그대로 빼다 박은 듯한... 그래서 섬뜩한 느낌마저.. 마치 도스토예프스키가 "악어"를 통해 내게 꾸중하는 듯한 착각마저 들었다...

『…통나무처럼 누워서도 인류의 운명을 바꿔놓을 수 있다는 것을 내가 증명해 보일거야. 우리나라 신문과 잡지에 실리는 대부분의 기사도 통나무처럼 누워있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작품이야. 아무도 없는 외진 구석이나 악어 뱃속으로 들어가서 눈을 감고 있으면 그만이야. 그렇게 하면 즉시 인류릍 위한 완벽한 천년 시대를 구상해낼 수 있어…』

『Но я докажу, что и лежа на боку, - мало того, - что только лежа на боку и можно перевернуть судьбу человечества. Все великие идеи и направления наших газет и журналов, очевидно, произведены лежебоками; вот почему и называют их идеями кабинетными, но наплевать, что так называют! Я изобрету теперь целую социальную систему, и - ты не поверишь - как это легко! Стоит только уединиться куда-нибудь подальше в угол или хоть попасть в крокодила, закрыть глаза, и тотчас же изобретешь целый рай для всего человечества. Давеча, как вы ушли, я тотчас же принялся изобретать и изобрел уже три системы, теперь изготовляю четвертую.』

그런데.. 희안하게 번역자가 강주헌 씨인데, 이 분은 불어과 출신이다..  그래서인지 노어과 출신들의 번역체하고는 좀 다르다. 불어번역체 냄새가 난다고나 할까...

솔직히 우리나라 노문과 또는 노어과 교수들의 번역문체는.. 나로서는 읽기가 너무 힘들다. 대학원생들만 뼈빠지게 고생시키지 말고, 당신들도 좀 노력하시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순한 열정
아니 에르노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6월
평점 :
절판


내가 잘 모르는 작가인 <아니 에르노>

사실, 무슨 기대를 걸고 읽으려고 했던 건 아니지만... 

첫 장을 열었을 때..

작년 9월 이후로 나는 한 남자를 기다리는 일, 그 사람이 전화를 걸어주거나 내 집에 와주기를 바라는 일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내 마음을 때리는 이 몇 줄의 문장....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라던데.. 가만히 살펴보면... 불륜의 이야기다..

그렇지만, 애시당초 인간의 삶에 원래부터 <불륜>이란 것이 있었을까....

어쩌면 집착처럼 느껴지는 작가의 "사랑"이야기..

그러나... 솔직히 읽고 나서... 씁쓸한 느낌을 지울 수는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걸리버여행기
조나단 스위프트 지음, 이동진 옮김 / 해누리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내 인생(?)에서 책을 가장 많이 읽었던 시절은 초등학생시절 때인 것 같다.

그도 그럴 것이 나랑 동갑인데다가 같은 초등학교를 다니던 외사촌의 집에는 책이 엄청나게 많았었는데, 정확하게 기억은 안나지만 어린이 백과사전류 였던거 같다. 한 100권쯤 되는.... 학교 끝나면 외사촌네 집으로 가서 그 책들을 읽는 게 당시 나의 낙이었다.

그리고 교육용 만화도 많았는데, 유독 걸리버 여행기를 좋아했었다. 아마도 어린 아이의 관점에서 만화속 걸리버 여행기의 이야기들은 요즈음의 해리포터 시리즈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지 않을까 싶다.

그런데, 완역이라고 하는 글로 된(?) 걸리버여행기는 단순한 환타지 동화가 아닌 엄청난 사회비판서였다.

인간을 빗댄 야후에 관한 묘사는 충격적이었다.

"전체적으로 말해 내 여행 동안 이처럼 기분 나쁘고 또 본능적으로 적의를 느낀 동물은 본 적이 없다."

가톨릭 신부였던 스위프트는 인간을 무지 싫어했었는지 그의 묘사력이 너무 뛰어나다.

그리고, 라푸타 부분은 생각만해도 섬뜩했다. 아마도 나같은 몽상가 내지 이상주의자 내지 현학자들을 비꼬는 듯한 날카로우면서도 시니컬한 서술은 名文이라 칭할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잭나이프 엠마뉘엘 베르네임 소설
엠마뉴엘 베른하임 지음, 이원희 옮김 / 작가정신 / 200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은 굉장히 건조하다...

머랄까.. 비가 올듯말듯 한 저녁 10시쯤... 서울 광화문 4거리.. 아니면.... 분당 아파트 단지를 혼자 걸으면서 바라본 잔뜩 흐린 하늘이랄까...

프랑스와 프랑스인들을 좋아한다... 대학교 다닐 때 힐끔 보았던 프랑스인 교수들에게 풍기던 그 느낌이 좋았고.. 헌법을 공부할 때 다가오던 프랑스 역사는... 내겐 너무나도 감동이었다....

프랑스어의 그 달콤한 느낌이 너무 좋다.. 그리고 자유를 누릴 줄 아는.. 프랑스인들의 삶이 부럽다...

그런 프랑스라 할지라도 고독은 있기 마련일까.. "현대인의 고독"...? 120쪽에 불과한 이 책을.... 무려 10일동안 이나 읽어야 했다...

왜냐면... 그 다음 이야기를 읽기가 너무 두려웠기 때문이다.

문장이 짧고, 간결한 소설은... 무척이나 쓸쓸한 느낌을 전해준다.. 그리고 이런 문장체의 소설은...읽는 사람에게 행간을 읽어내야 하는 상상력과 사색이 뛰어날 것을 요구한다..

나처럼 책을 읽음에 게으른 사람들은 이런 류의 소설을 읽기가 무척 고통스럽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사마천
커원후이 지음, 김윤진 옮김 / 서해문집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 2007.  10.  10. ~ 2007.  10.  18.

역사에 관심이 많긴 하지만(사실은 역사의 특정분야인 법제사), 史記를 읽어본 적이 없다.

좀 유식하다 하는 사람들은 너도나도 史記를 언급하기에 나로서는 감히 史記를 읽을 엄두도 나지 않았고, 뭇 유식자들의 어거지같은 칼럼 같은 글 속에서 '아.. 사기에 그런 내용이 있구나'라는 정도가 '史記'에 관한 나의 상식이다. 솔직히 그 사람들이 史記 전부를 정독하긴 했을까 하는 의구심을 가진 것도 사실이고...

사마천에 관하여 이러쿵 저러쿵 하는 글들도 많이 읽어 보긴했지만, 머리에 남지 않은 까닭은 왜인지....

이 책을 받아들고, 책의 두께가 주는 압박감이 상당했다. 두꺼운 책에 어느 정도 이골이 난 상태이긴해도 작은 글씨로 700페이지가 훌쩍 넘어가는 두께는 늘 부담스럽긴하다.

전문역사가가 아닌 바에야 이 소설 중 픽션과 논픽션의 혼합비율을 알 도리는 없을 것이며, 소설 다빈치코드 논쟁의 예처럼 픽션과 논픽션을 논하면서 왜곡 운운 하는 것도 좀 넌센스가 아닐까 싶다.

소설에서 전개되는 파란만장한 사건들을 현 시대와 비교하기에는 무리겠지만, 대체로 예나 지금이나 권력앞에서의 행태는 비슷비슷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고, 소설의 주인공은 사마천인데, 되려 한나라 황제인 무제가 더 부각이 된 듯한 느낌을 받았는데, 무제에 대한 묘사가 오히려 인간적으로 와 닿았기 때문인 듯하다.

후반부 사마천의 자살장면이 머리속에 자꾸 그려지는 바람에 콧등이 시큰하기도 했는데, 그런 느낌은 참으로 오랜만이었다.

아무튼, 같은 문화권이라 그런지 중국이나 일본의 글들을 번역한 글들은 대체로 읽기가 매우 쉽고, 이해도 잘되는 듯. 서양문화권의 글들의 번역도 좀 그랬으면 좋으련만..

... 한평생을 소신으로만 버텨낸다게 과연 가능한 일이며 현명한 삶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