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로마인 이야기 4 - 율리우스 카이사르 (상)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4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8.  1.  21. ~ 2008.  2.  2.

만약 카이사르가 지금 살아 있다면, 본인이 주인공인 <로마인 이야기 4권>을 읽은 후 뭐라고 평을 했을까?

아마도 카이사르는 나나미에게 "뭐야 이거! 내 작품을 그대로 가져다가 풀과 가위로 오려붙여 만든 거 잖어?"라고 비아냥거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 "풀과 가위"란 표현은 몇 년전에 서울대 법대 양 아무개 교수가 사법시험잡지에서 민법교과서(사실은 교과서라고 할 수도 없지만)의 베스트셀러인 연대 법대 김 아무개 교수의 <민법강의>를 "남의 연구성과물을 풀과 가위로 오려 붙여 만든 쓰레기"라고 힐난하던 표현이다.

이 책을 읽기 전에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기>를 먼저 접했는데, <로마인 이야기 4권>의 상당부분은 갈리아전기를 그대로 따 온 것이었다.

그나마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기>에서는 번역자(김한영)가 원문의 잘못된 부분과 연구자들의 잘못된 해석, 카이사르의 이면 의도 및 과장된 표현 등을 적절하게 지적해 주어 균형감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나나미의 카이사르에 대한 사랑이 너무 지나쳐 카이사르를 絶對善으로 묘사하여, 이 책을 읽으면서 실소를 금할 수 없었다. 심지어는 작가의 자질에 대한 의구심이 생길 정도로 유치하다고까지 생각이 되었다.

하지만, 어쩌면 그렇게 일방적 사랑이기 때문에 독자가 속 시원하게 읽을 수 있을 지도 모를 일이다. 책을 읽으면서 이것저것 생각하게 만들면 골치만 아플 터이니... 바로 이 점이 베스트셀러가 된 요인이 아닐까 싶으나, 과연 서울대에서 권장한다는 100권에 포함될 만한 책인가는 의문이다.

<로마인이야기 4권>을 읽다보면 지도자가 공익적 목적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수단도 정당화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저자의 논리가 카이사르의 행태를 빌려 교묘하게 세뇌되고 있다. 또한 저자의 일반 국민에 대한 폄하적인 사상, 엘리트주의 등이 절묘하게 역사적 사실로 버무려진 채 <로마인이야기 4권>에 녹아 있는 것을 읽으면서 기득권층이나 기업계에서 얼씨구나 좋아할 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로마의 갈리아 지배와의 관계를 논한 대목에서는 우리나라가 일본의 과거 식민지지배에 대하여 감사하지 못하고 쫑알쫑알댄다고 비아냥거리는 듯 암시하는 대목이 있어 완전 기분 잡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갈리아 전쟁기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지음, 김한영 옮김 / 사이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2008. 1. 16. ~ 2008.  1. 21.

작년부터 시작했던 로마인이야기를 어떻게 해서든지 완독해 볼 요량이다.

사실, 로마인이야기 3권을 너무나도 재밌게 읽었다.

그런데, 저자의 의도대로 그저 재밌게, 그리고 무비판적으로 읽었다가는 저자의 로마편애주의 및 제국주의 사상에 나도 모르게 동화되어 버릴 것 같다는 위기감이 느껴졌다.

나름 생각해 낸 것이 로마인이야기 각 시리즈를 읽기 전에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쇠망사'를 해당시리즈에 대응하는 장마다 먼저 읽어보는 방안이었으나, 이것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각 시리즈에 대응하는 대표적인 저서를 먼저 읽어보기로 정했는데, 로마인이야기 4~5권이 카이사르 이야기이므로, 4권을 읽기 전에는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기를, 5권을 읽기 전에는 카이사르의 내전기를 먼저 읽어 보기로 했다.

대학다닐 때 2학년때인가 전공교양과목으로 "라틴어"를 수강했었다. 당시 라틴어 강독교재가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 때의 배웠던 몇몇 문구는 아직도 기억이 난다.

아무튼 그 때의 기억으로도 라틴어 원서인 갈리아 전기는 매우 간결하고 해석도 쉬웠던 것 같았다.

카이사르 만큼 역사가나 일반인들 사이에서 꾸준하게 회자되는 인물도 많지는 않을 것이다. 그만큼 역사에 남긴 족적이 크다는 반증이겠지만...

갈리아 전기를 읽으면서, 비록 번역서이긴 해도, 참 잘 썼다는 감탄이 절로 나왔다. 군더기기 없는 간결한 문장이며, 전달력이 빼어난 사건묘사는 단연 일품이었다.

전쟁기이면서도 각 피정벌민족의 문화와 풍속에 대해서 관심을 둔 점을 보아도 카이사르가 비범한 인물이 아님을 보여 주는 것 같으니, 요새로 말하자면 종합교양인이라고나 할까?

카이사르 자신이 저술한 전쟁기이니 만큼 피정벌민족에 대하여는 드러내놓고 내려다 보는 내용이긴 하나 그다지 거부감이 들지 않는 것은 참으로 묘한 일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카이사르가 생각한 갈리아가 오로지 진실만은 아닐 것이라 본다. 어차피 역사란 승리자의 영역이니...

이 책은 무엇보다도 번역자의 적절한 해설주석이 돋보이는데, 원전의 오류나 당시 배경의 해설이 이 책을 재밌게 읽게 했던 감초역할이었다.

번역자는 이 정도의 역할까지 해야 한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번역자는 제2의 저자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잔틴 제국의 역사 역사 명저 시리즈 15
워렌 T. 트레드골드 지음, 박광순 옮김 / 가람기획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 2007.  10.  21. ~ 2007.  12.  6.

갑자기 비쟌틴에 대한 호기심이 발동해서, 비쟌틴제국 역사입문서 중 가장 유명하다고 해서 읽어보았으나...

너무 산만한 문체에다, 오탈자가 간간히 눈에 띄어 읽기가 매우 어려웠다. 또한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이 많은 편이라 이해하기도 매우 어려웠다. 그래서 완독에 시간이 많이 걸렸다.

즉, 성의없게 번역한 것 같다는 생각도 들어서 읽는 내내 기분이 몹시 좋지 않았는데, 번역자가 이 책을 완벽하게 소화하지 못한 상태에서 급하게 또는 자기 이름만 빌려주고 번역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아무튼 유명세에 비해서는, 그리 후하게 평을 할 수 없는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마인 이야기 2 - 한니발 전쟁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2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2007.  1.  18. ~ 2007.  2.  4.

로마인이야기 제15권이 완간되었다는 뉴스를 듣고, 어서 이 시리즈를 해치워야 겠다는 자극을 받아 2권을 읽기 시작했다.

1권에서 느낀 점을 되새겨 봤을 때 15권까지 어떠한 방향으로 글이 전개될 지는 가늠이 되어서 약간 김이 빠지기는 했지만, 어차피 손을 댄 바에야....

2권은 마치 저자가 이탈리아 반도와 북아프리카 전쟁 현장에서 취재하는 종군기자인 듯 서술되었다. 물론 로마에 대한 편애를 지키면서....

1권에서와 마찬가지로, 저자는 고대 로마를 빌려 소수 엘리트에 의한 지배를 매우 동경하는 듯한 뉘앙스가 많이 느껴진다.

15권까지 언제 읽나... 괜히 시작했다는 후회가 든다. 그리 썩 훌륭한 책도 아닌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215 마그나카르타의 해
존 길링엄.대니 댄지거 지음, 황정하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 2006.  6.  23. ~ 2006.  7.  6

법학도에 매우 익숙한 단어 '마그나카르타'.

그러나 기껏해야 아는 것은 다음일 것이다.

'1215, '존 왕', '의회동의없는 과세금지'....

안다기 보다는 암기로 인해 박혀있는 기억이 아닐까 싶다.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의 책이다. 무겁지도 않고, 그렇다고 너무 가볍지도 않은 교양논문.

나도 이런 논문을 쓸 수 있는 날이 오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