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성의 타임슬립 ㅣ 필립 K. 딕 걸작선 1
필립 K. 딕 지음, 김상훈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11년 5월
평점 :
완독일: 20120124
작년 즈음에 필립 딕의 전집이 출간되었다는 신문기사를 우연히 읽은 적이 있었는데, 사실 그 기사를 읽기 전까지는 필립 딕이 누군지도 몰랐다.
그런데, 이 분이 바로 내가 즐겨봤던 블레이드러너, 토탈리콜, 마이너리티리포트 등 유명한 SF영화의 원작자라는 것이다. 사실 생각해보니 SF영화를 좋아하긴 하는데, SF소설은 그다지 읽어 본 것은 없었다. 그리하여 올해는 필립 딕의 소설을 시리즈로 모두 읽어볼 계획을 세웠다.
이 작품은 SF의 탈을 썼을 뿐 SF소설의 느낌은 별로 받을 수 없었다. 정신분열증을 앓았다는 자신의 개인적 경험에 대한 변론 내지는 소회감(?)을 시간의 뒤틀림이라는 관념을 빌려 소설화한 듯한 느낌이 든다. 그래서인지 번득이는 상상력을 기대했던 만큼 약간의 실망감이 없지 않았으며, 약간 지루한 느낌마저 들었다.
이 작품보다 책의 뒷편에 부록으로 나와 있는 작가의 연대기가 더 흥미진진했다.
번역에 대한 아쉬움이 크다.
단어나 표현에 대한 번역에 있어서 어색한 곳이 적지 않았다.
예를 들자면 휴대용 통신기 그냥 휴대전화기로, 오히려 넴뷰탈 같은 단어는 최면진정제 등으로 번역을 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그리고 비정상아라는 단어는 의도적으로 그렇게 번역했는지 모르겠으나 어감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
또한 ‘계약을 샀다’라는 어색한 번역보다는 ‘고용계약 또는 근로계약을 승계했다’ 등 우리나라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으로 번역을 해주는 것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역자는 원문에 충실하게 번역을 하려는 의도였는지도 모르겠다.
물론 원문에 충실한 번역도 좋지만, 소설번역이 학술논문번역도 아니고, 문학번역작품도 원작과는 별개의 독립적인 작품성을 가진다는 점, 결국 번역된 작품은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읽기 위함이라는 점 등을 생각해본다면, 결국 좋은 번역이란 읽는 이를 위한 최상의 번역을 말하는 것이고, 이는 곧 읽는 이가 거침없이 읽어 나갈 수 있는 번역이 최상의 번역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아무튼 전반적으로 단어선택에 있어서 문장의 흐름이나 전개상황에 맞추어 적합하고 읽기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융통성을 발휘하는 센스가 좀 부족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소설에서 전반적으로 이야기를 끌고 가는 인물은 어니와 잭이었지만, 정작 중요한 인물은 화성인 헬리오가발루스와 자폐아 만프레드인 것으로 보였다. 이 들의 이름이 역사적인 인물의 이름인 것을 보아도 그런 느낌이 들었다.
* 헬리오가발루스: 로마 제국의 23대 황제, 또라이 기질이 있었다고 함.
* 만프레드: 신성로마제국의 프리드리히 2세 황제의 사생아로서 1258년부터 1266년까지 시칠리아의 왕이었다.
frameborder="0" scrolling="yes" style="width: 100%; height: 100%;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