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과 편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8
제인 오스틴 지음 / 민음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2006.  4.  6. ~ 2006.  4.  19. 

우선, 이 소설이 무슨 이유로 명작이라고 하는지 솔직히 이해되지 않는다.

둘째, 번역이 너무 엉망이다.

엄청난 공을 들여서 재번역을 했다고는 하나, 문장이 너무 길고 지나치게 수식이 많아서 수월하게 읽히지 않고 , 글의 흐름이 끊기게 번역을 해 놓아 독서의 흥미가 반감되었다.

항상 번역소설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역자들이 원작을 왜곡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의역을 하고 문장을 끊어서 간결하게 번역한다면 훨씬 훌륭한 번역이 될 터인데, 대학교수들은 독자의 입장에서 번역하는 것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특히, 남자만 상속할 수 있다는 상속속용어로  '한정상속' 보다는 차라리 '제한상속'으로 번역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지 않았을까.

'한정상속(限定相續)'이란 법률용어는 '상속인이 상속재산의 범위 내에서 피상속인의 채무를 상속한다'는 의미인데, 전혀 의미가 다른 용어를 선택한 바람에 이 소설을 읽는 내내 미묘하게 거슬렸다. 

각설하고,

이 소설의 제목으로 '오만과 편견'보다는 '결혼성공기' 또는 '오해와 화해'가 훨씬 잘 어울리지 않을까...  소설의 내용상으로나 읽는 사람을 위해서나...

소설에는 온통 남자의 돈얘기, 여자의 결혼 얘기밖에 없다.

자칫 여자 인생의 목표는 오로지 결혼인가? 하는 오해를 불러 일으킬 만한 뉘앙스를 풍기는 이상한 소설이라고 생각하게끔 만든다.. 그래서 어쩌면 혐오감마저 불러 일으킬 수도 있으나..

이러한 오해는 바로 저자가 살았던 시대상황에 대한 무지에서 오는 것일게다. 나 역시 그런 오해를 했었으니..

그러나 제인이 살았던 당시의 시대상황을 어느 정도 이해했다면 그런 오해는 이해로 바뀌고, 더구나 제인의 삶을 엿볼 수 있다면 완벽한 이해도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오해가 이해로 전이되건 어찌되건... 이 소설의 본질이 제인판 신데렐라 이야기라고 생각한다면 나의 또 다른 오해일까?

이 소설에 나오는 남녀의 결혼에 대한 이야기가 비록 제인의 시대 이야기라 할지라도, 내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도 역시 크게 다르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제인의 시대에서는 여성들이 노골적인 정략결혼을 통해 그들의 부당한 처지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

지금의 시대는 사람들의 의식이 그 당시와는 비교도 되지 않게 달라져 여성들의 노력여하에 따라서는 그들이 생각하는 부당하다고 생각되는 처지에서 여성들을 벗어나게 할 수 있는 사회적 장치는 다양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성들의 정략결혼은 흔한 현상은 어떻게 해명해야 하는 걸까...

결혼은 결혼대로 하고 즐기는 것은 또 별개로 나름대로 누리는 것을 보고 있자면, 오히려 부당한 처지는 현대의 남자들의 아닌가 하는 생각도 가볍게 해본다. 페미니스트들한테 엄청난 공격을 당하는 것 아닌가 모르겠다.

이유는 다르지만, 제인이 살았던 여성들의 결혼조건과 지금의 여성들의 그것은 다르지 않다는 점이 아이러니한 보편성이 아닐까 싶다... 

또 다시 읽고 싶지 않은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적과 흑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5
스탕달 지음, 이동렬 옮김 / 민음사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대생시절 모 교수가 우리들에게 이르기를 

"프랑스의 소설가 스탕달은 나폴레옹법전의 문장이 너무나도 오묘하고 논리정연하여 법전을 매일 정독했으니 자네들도 열심히 법전을 읽게나..."

라고 반우스개소리로 말한 적이 있었다. 순진하게도 나는 그 말을 듣고, 나도 열심히 법전을 읽었다. ㅎㅎ

법전을 그렇게 열심히 읽었다는 자가 문체는 왜 이 모양일까... 아니면 번역의 미숙함인가?

도대체 뭐가 뭔 소린지... 문장의 간결함을 추구하는 나로서는 이 소설을 읽는 것이 고역이었다.. 장황한 대화체에다가 지나친 작가의 개입, 다소 과장된 상황묘사...

하지만, 아직 나의 독서내공이 미천한 탓이리라.

나폴레옹의 열렬한 추종자 스탕달.. 이 소설을 읽으면서 문득... 스탕달은 짧은 인생 멋지게 살다 간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말단 외교관이었지만, 소설도 멋지게 써낸 멋진 남자 스탕달.

줄리앙... 이기적인 놈... 다소 야누스적인 면을 가진 주인공 줄리앙은 혹시 내 모습이 아닐까 하는 전율마저 느꼈다.

레날 부인... 사랑은 이렇게 하는거야.. 라고 말해주는 듯...

마틸드... 그냥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폭풍의 언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8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종길 옮김 / 민음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약 14년전에 읽었던 책이지만, 그 때는 정말 읽어도 읽은 것이 아닌,  등장인물들간의 대화가 당췌 무슨 소리인지도 모르겠고, 만연체의 소설을 너무나도 싫어하던 시절이라 다독의 의미밖에 없던 소설이었다..

이 뿐만이랴.. 칸트의 모든 저작들과 니체, 에릭 프롬, 카프카 등 도저히 그들의 정신세계에 접근하는 것을 거부하는 듯한 그들의 저작 또한 마찬가지...

하지만, 내가 본격적으로 독서를 하기 시작한 것이 초등학교 3학년 이후이고, 독서의 깊은 맛을 느끼게 된 계기가 우습게도 대학교 졸업후이니... 그동안 나름대로 독서에 대한 내공이 축적되었던 것인가.. 출퇴근시간 지하철 내에서 읽었을 뿐인데, 불과 10일만에 다 읽어버렸다.

14년전 억지로 읽어내려갔던 캐서린과 히스클리프, 그리고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존재 넬리...

어떻게 보면 현실성이 없는 스토리일 것 같지만, 또 어떻게 보면 실제로 가능할 것 같기도 한 복수극인 듯하다.

다른 이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나는 히스클리프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히스클리프의 그러한 복수과정은 이해할 수 없었다.

에밀리 브란테도 나와 같은 생각이 아니었을까? 결국 잔인한 복수의 과정은 복수의 허무성으로 끝나고 결국은 미완성 또는 실패한 복수가 되어 버렸다.

하긴 복수가 성공된들 히스클리프에게 그것이 무슨 유익이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의 오르간 - 쉼표와 느낌표 3 마음이 자라는 나무 37
유모토 가즈미 지음, 양억관 옮김 / 푸른숲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완독까지 일주일 정도 걸린 듯한데.. 적은 분량이었지만, 잠들기 전 대략 30분정도씩 읽었으니 적당한 시간이 걸린 것 같다.

이상하게도 책을 읽으면서 내내 '고양이의 보은'이라는 영화가 오버랩되었다. 

번역을 상당히 잘 한 것 같다. 다른 번역소설과 달리 마치 한국소설을 읽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이런 번역체가 상당히 맘에 든다. 뭐랄까 담백하면서도 묘사력이 뛰어났다. 문맥연결이 자연스러워서 술술 읽힌다. 즉 장면장면이 머리 속으로 그려진다.

내가 최고로 치는 소설은 바로 작가의 글이 머리 속으로 영상화되는 작품인데, 이 소설은 바로 내가 좋아하는 류의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요일 저녁 엠마뉘엘 베르네임 소설
엠마뉴엘 베른하임 지음, 이원희 옮김 / 작가정신 / 199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잭나이프>때보다는 엄청난 속도로 읽었다. 단, 1시간 만에.. 

마치 <중경삼림>의 그 현란한 장면처럼, 이 소설의 장면이 상상이 되었다. 어쩌면.. 작가는 나의 마음을 궤뚫어 보았을까.. 훗..

이런 비슷한 일이 내게도 일어난 적이 있었는데.....

작가는...

이것저것 잡생각을 많이 하는 사람일 것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덜컹거리는 지하철에서 맞은 편에 앉아 있는 사람의 입가의 주름을 보면서 자기 나름대로 여러 상상을 하거나 등등의..

사람들은 정도의 차이가 있겠지만, 아주 엉뚱한 사건(?)을 기대하는 심리를 가지고 있다는 정신분석학자의 칼럼을 읽어본 적이 있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