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의 기억법 - 붓다의 도에 다다른 살인자의 도

 

 

  이제까지 김영하에 대해서 제법 매력을 느끼고 있었지만, 늘 그의 도발 방식에 대해선 의문을 품고 있었다. 어쩌면 그의 첫 작품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는 소설이 내 뇌리 속에 너무 각인되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사실, 그 때문에 그동안 그의 작품을 품평한 글들을 찾아보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는 없고, 거의 그의 단편들에 관한 글들뿐이었다. 게다가 더 의뭉스러운 이놈의 기억이란 게 늘 그렇듯이, ‘옥수수와 나빼고는, 내 자신이 쓴 품평을 읽는데도 무슨 글이었는지 생각이 1도 나질 않았다. 그저 지금 이 글의 내 첫 문장과 비슷하게 그의 섹시한 매력은 인정하지만 도발하는 방식은 조금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런 소리만 있고, 무언가 품평에 알맹이가 빠진 느낌이랄까? 이런 경우는 대게 두 가지 중 하나다. 첫 번째는, 내가 정말 집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정말 그 글이 알맹이도 없기 때문에 빙빙 돌리다보니, 그렇게 된 경우이다. 물론, 그 글을 아직 소화하기에 내 자신이 덜 여물었던 때였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어찌됐든 그동안의 나의 김영하에 대한 단상은 분명히 이런 키워드였다. ‘섹스어필’, ‘도발’, 그렇지만 무언가 알맹이가 없는?’ 그런데 이번에 살인자의 기억법을 보고서, 이제까지의 김영하에 대한 나의 고정된 이미지가 무너져 내렸다. 그는 이제 완연하게 섹스어필하고, 도발적일 뿐 아니라, 이제는 그 분야에 무언가 하나의 일가를 이룬 듯한 느낌이랄까? 물론, 오늘의 이 느낌으로 김영하의 글을 당분간 파기로 결정했기에, 조금은 섣부른 감은 없지 않아 있지만, 이 글 하나로만으론 충분히 그런 느낌을 받을 수 있는 느낌적인 느낌이었다.

 

  먼저, 글에 대해 전체적으로 말하기 전, 이 글에 대해 한 가지 내가 가지고 있는 전제적 몰입도가 존재했음을 밝히고 싶다. 그것은 내 개인이 알츠하이머는 아니지만 뇌 쪽에 문제가 있어서, 이제까지 몇 번 기억에 관한 실제적인 문제를 당면한 적이 있다는 사실이다. 때문에 영화로 처음 이 글에 대해 소문을 들었을 때 흥미를 느꼈었고, 이에 누군가와 만나기로 한 약속을 굳이 서점으로 해서, 미리 약속 시간보다 빨리 와 이 책을 골라 읽었다. 그리고 그 첫 장부터 나는 이 글에 몰입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직감했다. 이런 개인적인 이유들과 함께 또 다른 이유들로.

 

  첫째, 나는 이 소설이 구성하는 문장방식에 대해 주목하고 싶다. 아니, 어쩌면 이 소설의 구성방식이라고 말하는 게 더 좋을지도 모르겠다. 왜냐하면 이 소설은 내러티브가 존재하지만, 동시에 철저하게 파괴되어져 있기 때문이다. 아예 처음부터 이 소설은 그냥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뭐라고 표현하면 좋을까? 시적인 문장들이라고 해야 하나? 아니면 사유적 문장들이라고 해야 하나? 사실, 둘 다 온당한 표현은 아니란 생각은 든다. 그렇지만 그 중간적 공간 속에서 문장들은 점층적으로 쌓여서 하나의 소설의 내러티브를 구성해나간다. 너무 길고 지루하지 않게, 물론 다소간의 반복이 존재하긴 하지만, 소설의 소재가 알츠하이머인 만큼 충분히 이 부분은 고려해볼만한 요소이다. 그리고 이러한 반복 또한 점층적 구성 속에서 심지어 나중엔 수미상관적인 기법으로 온전한 하나의 원을 이룬다. 물론, 지금 이 소리들이 다소간의 허공의 붕 뜬소리처럼 들릴 거란 생각이 든다. 하지만 내용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나중에 조금 더 보충한다면, 지금의 이 이야기가 다소간의 타당성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해본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이 글은 사실은 간단하다. 알츠하이머에 걸린 살인자가 26년 동안 살인을 하지 않게 되었다가, 다시 살인을 하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그 중간에 교묘한 이중 삼중 장치들이 마련되어져 있다. 존재하지 않았던 딸에 관한 이야기, 딸과 결혼하고 싶다는 박주태라는 남자의 이야기, 주인공은 그 박주태를 최근 그 지역의 연쇄살인 사건의 주모자라 여기고서 기를 쓰고 그와 딸을 떼어놓으려 한다. 그리고 역시 존재하지 않았던 안형사와 동네 개새끼 이야기 등등, 어쩌면 주인공이 알츠하이머 환자이고, 게다가 살인자이기에 추정할 수 있는 이런 매우 당연하고 뻔한 장치들이 존재한다. 아니, 그렇지만 실은 존재했던 딸의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26년 전 자신이 지워버리려고 했던 기억 속에 존재했던 딸에 관한 살인 이야기, 그는 그때 그녀의 엄마를 죽이고서 돌아오는 길에 교통사고를 당했다. 전복된 차와 함께 그의 뇌는 문제를 일으켰고, 어쩌면 그 자리에서 그대로 그렇게 멈춰버렸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는 의사의 진단 아래 26년 동안 멈춰있던 뇌가, 살인에 대한 본능이, 그 추억이 되살아나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는 누군가를 죽여야 한다. 그렇다면 그 누군가는 누구일까?

 

  글속에선 그가 죽인 그의 딸이 그의 실제 딸이 아니라 그를 헌신적으로 돌보던 요양보호사였다고 한다. 그리고 이제까지 그 지역의 연쇄 살인범으로 단언한 박주태는 실은 자신을 의심하던 경찰이었다. 게다가 그가 안형사였다고 밝힌다. 하지만 주인공은 분명히 안형사와 박주태를 다른 인물로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또 어떻게 자신이 자신의 딸을 모를 수 있단 말인가? 하지만 현실은 결국 그 지역 연쇄 살인범은 그 자신이었다는 사실이다. 사실, 여기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나는 아직 잘 모르겠다. 책을 몇 번 더 읽으면 지금의 이 구성이 날실과 씨실처럼 잘 엮인 그런 구성이었다고 말할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지금은 그렇게 말하고 싶지 않다. 왜냐하면 애초에 그가 죽이고자 한 인물들은 이런 주위의 배경과 아무런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그리고 마지막 순간까지 그가 붙잡고 외우던 반야심경 속엔 이런 말이 있다. 그러므로 공 가운데는 물질도 없고, 물질은 결국 배경일 뿐이다. 느낌과 생각과 의지작용과 의식도 없으며, 살인을 하는데 그는 본능만 존재했다. 형체와 소리, 냄새와 맛과 감촉과 의식의 대상도 없으며, 그의 살인의 대상은 그야말로 무차별적이었다. 거기엔 결코 선악의 구별도 그 원인도 없었다. 그러하기에 괴로움과 괴로움의 원인과 없어짐과 괴로움을 없애는 실도 없으며, 지혜도 없고 얻음도 없었다. 결국, 그의 살인은 공으로 가기 위한, 그 자신을 향한 도리질이었을지도 모르겠다. 마지막으로 그의 기억 속에 달라붙은 딸과 갖가지 형상들마저 지워내고서 온전히 공으로 가고자 하는, 살인자로서의 장인 정신! 아니, 살인도심!

 

.......

 

  사실, 마지막 반야심경의 구절을 처음과 똑같이 되돌려놓아 글을 완성한 것을 보고, 나는 일종의 당혹감 비슷한 전율을 느꼈다. , 이 인간이 정말 제대로 하나 건졌구나. 이제 더 이상 장난으로 도발하지 않고, 일심을 다해, 도를 논하기까지 하는 구나. 때문에 그 다음 문장을 보고선, 작가의 의도가 어땠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덧대기를 해놓은 것 같아 보였다. 왜냐하면 반야심경으로 끝을 맺어버리면 이 글이 너무 철학서적 같을 테니까. 마치 니체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통해 예수의 언어를 모방함으로써 전면 부인한 것과 같이, 붓다의 언어를 통해 붓다를 부인하는 모양새가 될 테니까. 물론, 여기서의 살인이 어떤 비유를 말하는 건지 나는 잘 모르겠다. 그렇지만 분명한 것은 한 종교나 철학의 오의를 통해 하나의 글을 종결짓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이러할 경우 대부분 종교와 철학이 문학을 집어삼키기 쉬운 까닭이다. 하지만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은 하나의 소설로 붓다의 근본불교의 중요한 경서를 가지고 놀았다. 아니, 가지고 날았다. 어쩌면 그저 장치적 기법으로 하나의 농담처럼 사용했을지도 모르지만, 그러한 농담일지라도 뼈를 단단히 붙여 누군가의 폐부를 찌를 만한 힘이 있다면, 괜찮지 않을까? 아니, 이런 글 한 번 써본다면 시원하지 않을까? 그 저의가 어떻든 간에.

 

 

p.s

 

  글을 다 읽고 여운이 심해, 영화를 보았다. 하지만 영화는 눈에 잘 들어오질 않았다. 분명 좋은 영화이기는 한데, 영상으로 텍스트를 담아낼 순 없는 이유 때문일까? 아니면 영화가 이 글의 본질적인 살인의 도보다는 나름의 내러티브를 구성하려 했던 이유 때문일까? 이유가 어찌됐든 책을 본 사람이라면, 영화를 통해 무언가를 기대하기는 힘들리란 생각을 해보았다. 그저 글에 대한 여운을 되새김질 한다면 모를까, 아니 사실 그마저도 힘들었지만. 그래도 영화가 나쁜 영화가 아니었음은 이야기해야겠다. 그냥 이 p.s 쯤이라 생각하면 좋을 거 같다. 불필요하지만 가끔 더 읊조리거나 덧대고 싶은 그런 인간의 심리, 뭐 대충 그렇지 않을까? 이 소설의 김영하의 마지막 단락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