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의 가족
마루야마 겐지 지음, 김춘미 옮김 / 사과나무 / 2012년 6월
평점 :
물의 가족 – 시적인 글에 대한 현기증 혹은 울렁거림
마루야마 겐지의 글을 이 책을 포함하여 세 번째로 보게 되었다. 처음, ‘밤의 기별’에서 느꼈던, ‘이건 뭐지?’와 같은 궁금증과 같은 충격이, ‘달에 울다.’를 통해 시적인 글이 주는 울림과 떨림의 취기로 내 온몸을 달아오르게 했다. 그런데 세 번째 접한 ‘물의 가족’에서 나는 갑자기 이 취기에 사로잡힘을 넘어서, 무언가 된통 당한 기분을 느낀다. 뭐랄까, 너무 과하다고 말해야 할까? 아니면, 너무 똑같은 반복적인 시적인 운율과 분위기에 물렸다고 표현해야 할까? 한 마디로, 시적 소설에 대한 내 화두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해야겠다는 기분이 들었다. 물론, 이 소설 자체가 앞의 두 소설보다 떨어지는 소설은 아니다. 만약, 내가 마루야마 겐지 작품 중 이 작품을 먼저 접했다면 아마 ‘밤의 기별’에서 느꼈던, 똑같은 충격과 신선함을 표현했을 것이다. 그런데 왜 나는 이전과 다르게 이 취기에 흥이 오르지 않고, 울렁거림과 메스꺼움을 느끼게 된 걸까?
소설은 처음 주인공이 고향으로 돌아와 죽는 장면부터 시작한다. 처음부터 1인칭 주인공이 죽어버리면 어떻게 소설을 전개한단 말인가? 귀신이라도 되어 전개한다는 걸까? 아니나 다를까, 주인공은 혼이 되어 그 고장을 배회하기 시작한다. 그 첫 만남은 여동생 야에코의 출산으로 나온 아이였다. 야에코, 자신이 너무나 사랑했던 동생, 그 때문에 주인공은 고향을 떠나야 했고, 동시에 다시 돌아와야만 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었기 때문에 도망을 제안했지만 야에코는 거절했다. 그리고 자신이 아닌 다른 남자의 아이를 혼자서 낳았다. 너무나 천진무구해서 그토록 걱정했지만, 야에코는 자신의 아이를 혼자 거뜬히 낳고 보살폈다. 조부와 함께 살면서, 이제는 아이를 위해 일도 하고, 누구보다 건강하게 삶을 살아가고 있다. 전쟁터에서 돌아와 사람들과 소통을 닫고, 깊은 산속에서 말을 키우며 살아온 조부는 이제 야에코와 손주를 통해 살아갈 또 다른 이유를 갖게 된다. 다른 가족들은 이 일을 모르거나, 아니 알지만 외면하고 있다는 사실을 쉬 알 수 있다. 하지만 주인공이 떠나간 시간 동안 가족들 사이에도 조금씩 변화가 있었다. 야에코를 어느 정도 인정하고 받아들이기로 한 것이다. 그렇게 바다와 강의 경계 사이 하구에 있는 이 쿠사바 마을에 우뚝 솟은 아귀산에서 흘러내리는 담수처럼 가족들은 야에코를 받아들이고, 야에코가 낳은 아이를 자신들의 가족으로 언젠가는 받아들이게 될 것이란 예감이 든다.
사실, 이 소설의 이야기를 하려면 아직도 바다에서 일만 하는 아버지, 모든 못난 형제를 대신해 공무원으로 살아가는 형, 위험한 일을 일삼다 이제 조금씩 철이 들어가는 남동생에 대해서도 이야기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마루야마 겐지의 이전 소설도 그랬듯이, 이 소설의 중심은 야에코이고, 야에코의 아이를 모두가 받아들이고, 살아가게끔 해주는 이 마을의 물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 때문에, 이 소설 또한 이전 소설의 기법과 같이 풍경을 중심으로 반복과 변주, 그리고 서사를 깨는 시각적 묘사들로 가득하다. 모든 묘사는 이전과 같이 아름답고, 어떤 면에선 조금 불명확했던 ‘밤의 기별’(나중 작품으로 알고 있지만)에서의 물의 역할을 조금 더 명확하게 보여주는 느낌도 있다. 그런데 왜 나는 이 글을 끝까지 읽는데, 이전과 다르게 어려움을 느끼고, 이전과 다른 취기에 더해진 숙취까지 얻게 된 걸까?
먼저는, 계속 비슷한 캐릭터의 반복적인 사용이다. ‘달에 울다.’에서 나온 야에코와 ‘물의 가족’에서의 야에코는 이름뿐 아니라, 성격, 분위기 등이 너무나 다 비슷하다. ‘밤의 기별’에서는 비록 야에코 같은 중심적인 여자 인물은 등장하지 않지만, 야에코와 비슷한 분위기를 내는 샘가의 소녀가 등장한다. 또, 모든 작품에서 아버지 혹은 조부가 전쟁과 관련한 인물로 나오는데, 성격이 거의 다 비슷하다. 이 캐릭터들의 중첩을 보는 내내 의아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아니, 솔직히 말하면, 나중엔 다소 지루했다.
둘째는, 너무나 폐쇄적인 공간에 대한 묘사에 관한 집착이라고 말해야 할지, 아니면 너무나 한정적인 공간에 대한 묘사라고 해야 할지, 묘사하는 대상을 통해 전달되는 작가 자신의 불소통에 관한 강한 의지가 엿보인다. 작가는 전혀 자신이 있는 공간에서 벗어나려 하지를 않는다. 그곳이 물에 관련된 곳이든, 산에 관련된 곳이든, 그 자리에 그대로 서 있을 뿐, 어딘가로 나오려 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같은 곳에 대한 같은 묘사를 반복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시적인 소설에 대한 호불호이다. 일단 이 말 자체에 내 개인의 너무 과한 이상의 투영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 말 자체가 어쩌면 모순일지도 모른다는 사실도 일정 부분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어찌 됐든, 마루야마 겐지는 분명 자신만의 독특한 문체로 어느 경지의 시적 소설에 다다른 사실만큼은 나뿐 아닌, 많은 사람들도 이미 받아들이고 있는 바이다. 하지만 일반 대중들이 정말 좋아하는지는 의구심이 든다. 예술에 대한 개똥철학으로 어느 정도 폼을 잡는 사람 아닌 이상, 이 책을 쉬 손에 잡기는 힘들 것이다.
이제 내 개인적인 이야기로 돌아와, 이야기를 정리해보려 한다. 시적인 소설은 정말 가능할까? 마루야마 겐지가 보여준 시적 소설의 가능성에 대해 일단 나는 개인적으로 높이 평가하고 싶다. 하지만 그 지역적 한계성과 폐쇄성, 그리고 독자와 거리를 둔 소통에 관한 혐오 의지는 그의 시적 글의 한계성을 보여주는 지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어떻게 매번 새로워지고, 매번 다른 글로 누군가의 감정을 훔칠 수 있겠느냐고 누가 묻는다면, 당연히 나는 불가능하다고 대답할 것이다. 그런데도 나의 시적인 소설에 관한 이상은, 시는 매번 새롭게 달라져야 하며, 그런 까닭으로 매번 새롭게 읽히고 해석되어야 한다고 마음속으로 조그맣게 읊조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