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년의 뜰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4
오정희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오정희의 ‘어둠의 집’ - 공포의 근원 ‘적요’에 대하여



 오정희의 ‘별사’를 다 읽은 후 나는 마치 내 자신이 혼령이 된 것처럼 여겨져 선뜩한 기분이 되어버렸다. 그리고서 바로 다음 페이지에 나오는 ‘어둠의 집’을 읽어 내려갔다. 사실, 평소 같았으면 어떤 커다란 파장을 준 글을 읽고서, 또 다시 다른 글에 손을 댄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어둠의 집’이란 제목은 내게 있어서 그냥 지나칠 수 없는 무엇이었다. 똑같은 제목의 자작시가 한동안 내 자아를 구축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시에 무언가 ‘어둠의 집’이 ‘별사’와 연결될 것 같은 예감 또한 뇌리에서 지울 수가 없었다. 그래서 우선 여기에 ‘어둠의 집’과는 별개로 내 개인의 자작시를 올린 후, 내 ‘어둠의 집’이 어떻게 오정희의 ‘어둠의 집’에 압사 당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에 대해 써내려보고 싶다.



어둠의 집


단단하고 거대한 성을 쌓을 거예요

벽돌은 금강석으로 하고

천장은 특수 알루미늄으로 덮어

빛 하나 새지 않도록 밀봉을 할 거예요

그래도 걱정은 마세요

컥컥 숨을 토해낼 수는 있을 거예요

내부 구조는 누구도 빠져나갈 수 없는

미로로 만들 거예요

입구는 있어도 출구는 없는

동굴로 만들 거예요

그래도 걱정은 마세요

컥컥 숨을 토해낼 수는 있을 거예요

바닥은 음습한 동굴에서 흐르는 지하수에

사막의 모래를 섞을 거예요

거기에 화사한 금빛가루를 덧입혀

영영 헤어 나올 수 없는 늪으로 만들 거예요

그래도 걱정은 마세요

컥컥 숨을 토해낼 수는 있을 거예요

장식은 언어란 기호와 예수란 상징을

주로 사용할 거예요

그 위에 당신의 혼돈된 꿈의 이미지들을

비밀로 붙여 놓을 거예요

그래도 걱정은 마세요

컥컥 숨을 토해낼 수는 있을 거예요

마지막으로 오직 당신을 위해서

촛불 하나만은 보이지 않게 숨겨 놓을 거예요

만약 당신이 그 촛불로 불지를 수 있다면

기꺼이 뜨거운 불구덩이가 되어 드리겠어요

그래도 걱정은 마세요

컥컥 숨을 토해낼 수는 있을 거예요



 누구나 느끼겠지만, 이 시에서 어둠은 화려하다. 왜냐하면 어둠 그 자체에 대한 형상화보다는 감각적인 표현들로 어둠에 대한 반대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금강석, 특수 알루미늄, 금빛가루, 예수, 부처, 촛불 등의 어둠과 상충되는 많은 단어들이 이 시에서 어둠을 생성하거나, 어둠에 감싸인 집안에 장식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때문에 이 집에서의 어둠은 무언가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심지어 어둠을 조성하는데 사용된 단어들인 미로, 동굴, 늪, 기호, 이미지, 불구덩이조차 어둠 그 자체에 대한 형상화와는 전혀 무관하다. 어떤 의미로 이 단어들은 유희에 대한 집착을 드러낸 단어들이다. 그러니 이곳에선 컥컥 숨을 토해낼 수 있는 숨구멍이 여기저기에 존재한다. 아마 이 주된 이유는 내게 있어 절망이란 또 다른 이름인 어둠이 결코 어둠 그 자체여서는 안 된다는 강박이 나도 모르게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오정희의 어둠은 나와는 전혀 상반되게 어둠 그 자체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그리고 무언지모를 공포감을 조성하고 있다. 사실 처음에 나는 그 공포감의 연유를 알아차릴 수가 없었다. 그저 ‘별사’에서 진행된 남편의 부재와 이제 다 커버린 아들의 부재로부터 연유한 어떤 외로움이 아닐까하는 생각정도에 머물러 있었을 따름이다. 그런데 동시에 이상하게도 그것과는 별개로 방수가 안 된 천장에서 똑, 똑, 똑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에 대한 기억만이 뇌리에 남았다. 왜냐하면 그 어떤 외로움으로 기인한 불면의 밤에도 똑, 똑, 똑 떨어지는 물소리에 대한 기억이 없었기 때문이다. 차라리 그것은 내게 있어서 일종의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향수에 가깝다고 말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 어릴 적 천장에서 떨어지는 물을 대야로 받으며 재밌게 바라보았던 기억 혹은 역시 오래 전 다 잠기질 않는 수도꼭지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에 대한 기억이 전부니까. 하지만 단 한 가지, 외로움 가운데 떨어지는 물방울 소리를 나는 분명히 기억하고 있다. 그것은 윤락업소에서 여자와 관계를 맺은 후, 집에 들어갈 시간이 애매하여, 그곳 수면실에서 잠을 청하던 때였다. 아무리 자려고 하여도 그 방에 바로 딸려있는 화장실에서 어딘지 누수가 되어 떨어지는 물방울 소리에 도저히 잠들 수가 없었다. 그리고 그 물방울 소리들은 내게 온갖 상념들을 일으켰다. 물론, 윤락업소라는 다소간의 열패감이 드는 장소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을 떠나서, 떨어지는 물방울 소리는 불면의 밤 유독 크게 들리는 시계의 초침소리와는 전혀 다른 상념을 불러일으켰다. 시계초침소리가 신경을 건들면서 정신에 무언가 작용을 일으키는 소리라면, 하나하나 떨어지는 물방울 소리는 가슴을 건들면서 감정에 끊임없이 작용하여 상념을 불러일으키는 소리에 가까웠다. 그러하기에 그 밤 나는 결국 잠들지 못하고 뜬눈으로 지새우고, 새벽에 쓸쓸히 집으로 발걸음을 옮겨야했다. 하지만 그것은 결코 어떤 공포와 결부된 감정은 아니었다. 오히려 지금껏 계속 이야기해온 외로움 혹은 그리움으로 포장된 허무함에 가까운 감정이었다. 차라리 공포라면 시계초침소리가 더 공포에 더 어울리는 소리일 것이다. 그런데 왜 나는 오정희의 ‘어둠의 집’을 처음에 읽었을 때, 어떤 공포의 감정을 예감하고, 그 공포가 내게 어떤 전율을 가져다주리라 막연하게 믿었던 것일까? 처음에도 지금도 계속 외로움에 대해 말하고 있으면서.


 이번 오정희의 ‘별사’와 ‘어둠의 집’을 품평하기 위해서 나는 다시 두 작품을 먼저 읽지 않았다. 그냥 오정희의 다른 작품들을 먼저 쭉 찾아보았다. ‘바람의 넋’, ‘불꽃놀이’, ‘옛우물’까지 그녀의 단편집을 모조리 읽은 후, 다시 ‘별사’와 ‘어둠의 집’을 찾아 읽었다. 품평을 위해서 그렇게 했던 이유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그만큼 그녀의 글 자체에 홀려버린 까닭이 컸다. 하지만 내가 기대했던 만큼의 오정희가 그곳에 내내 있었던 것은 결코 아니다. 대부분 지루하기 짝이 없거나 진부한 이야기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중국인 거리’, ‘동경’, ‘옛우물’, ‘불의 강’ 등의 몇 작품을 빼고는 그다지 흥미롭게 읽지 못했다. 그런데 그 작품들 가운데 하나 ‘적요’가 내가 ‘어둠의 집’에서 느낀 공포에 대한 근원의 의문을 꿰뚫고 관통하였다.


 사채놀이로 돈을 벌고 있는 노인은 가정부를 하나 고용하고 있다. 그런데 보름이 지나도록 그녀에게 월급을 주질 않는다. 월급을 받는 순간 더 이상 가정부가 오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까닭이다. 누구도 냄새나는 노인의 시중을 들고 싶어 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게다가 행여 노인 시체라도 치워할 날이 오면 어쩌겠는가? 그리고 이 노인네 얼마나 괴팍하기 그지없는지, 입안에 낀 이물질을 거리낌 없이 닦아주려는 가정부의 손가락을 아무 이유없이 피나도록 깨물기까지 하는데, 어느 누가 그 기분을 어떻게 알고 다 받아줄 수 있겠는가? 그 때문이었을까? 가정부는 모레쯤 온다고 말하고 노인네를 혼자 내버려두고서 떠나버린다. 하지만 노인은 그것은 모레가 아니라 앞으로 쭉 계속될 가정부의 외출이라 생각한다. 늘 그래왔다. 어릴 적 어여쁘기 그지없던 딸도 더 이상 찾아오지 않고, 그 누구도 더 이상 자신을 찾아오지 않는다. 혼자선 제대로 설 기운도 없는 그의 집안엔 그저 무겁고 어두운 적막감만 감도는 가운데, 이젠 수도꼭지에서 뚝, 뚝, 뚝 물방울 떨어지는 소리만이 공간을 점유하고 있을 뿐이다. 어쩌면 그 무거운 적요가 지겨워 그는 가정부의 손가락을 깨무는 것으로 응석을 부렸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제 또 감내해야할 혼자만의 시간을 그는 어떻게 보내야할까? 노인은 사탕 한 줌을 손에 쥐고서 놀이터로 향한다. 거기서 따돌림을 받아서 구석에서 혼자 놀고 있는 한 아이를 발견하다. 그는 사탕을 주면서 그 아이를 자신의 집으로 유인하다. 그리고 TV에서 나오는 만화를 보여주면서 아이를 조금 더 오래 머물도록 한다. 하지만 점점 밖은 어둑해지고, 이제 아이는 집으로 가야할 시각이다. 노인은 아이에게 복숭아를 주면서 좀 더 있으라 한다. 그리고 아이에게 가정부가 나가면서부터 온종일 계속 똑, 똑, 똑 물방울이 떨어지던 수도꼭지를 잠가달라고 부탁한다. 아이가 수도꼭지를 잠그러 간 사이 노인은 오렌지 분말을 물에 타서 주스를 만든다. 그리고 아이에게 주스를 건넨다. 그 주스에는 수면제 한 봉지가 섞여있다. 아이는 주스를 마신 후 몽롱한 정신 가운데 자신의 개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지난 장마 때 솔밭에서 새끼를 낳은 개였다. 아이는 그 개에게 음식을 늘 훔쳐다주었다. 그런데 어른들이 낮에 자신의 개에게 복숭아를 주고선, 끌고 가버렸다. 그리고서 나뭇가지에 목을 매달은 후, 끓는 물에 넣어버렸다. 자신에게도 복숭아 세 개를 주고서 그만 가라고 했다. 아이는 그것을 먹은 이야기를 차마 다 하지 못한 채 손에 든 복숭아를 떨어뜨려버리고 그만 잠에 빠져든다. 아이가 깨문 복숭아의 선홍빛 자국은 시들어, 수분이 말라가고 그곳에 끈질기게 파리떼가 달라붙고 있다.


 이 소설을 읽자마자 나는 ‘어둠의 집’에서 느낀 공포의 근원을 불현듯 깨달을 수가 있었다. 그것은 외로움이 아닌 적요였다. 물론, 어떤 의미로 두 단어는 같은 뜻을 포함하고 있는 이름만 다른 단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게 있어서 외로움이란 어휘는 이제껏 공포와 연관된 의미가 아니었다. 그것은 쓸쓸함 혹은 허무함과 비슷한 감정을 담은 어감에 가까웠다. 하지만 적요라고 했을 때는 전혀 그 의미가 달라진다. 왜냐하면 이제껏 나는 그런 감정을 제대로 느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처음엔 적요란 단어 자체가 생경하게 느껴지기까지 했다. 물론, 의미 자체를 모르는 바는 아니었다. 하지만 무언가 버석거리는 느낌에 사전을 찾아보기까지 하였다. 말 그대로 적적하고, 고요하다는 뜻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얼마나 적적하고, 고요하기에 아이에게 수면제를 먹이기까지 할 수 있는가이다. 사실, ‘어둠의 집’에서 적요는 구체적이지 않은 구석이 많다. 그저 물방울 소리에 연관되어 수돗물을 틀어놓고서 바닥을 흠뻑 적실 때까지 넋을 놓았다거나, 잔디를 깎다 갑자기 튀어 오른 물에 잔디들을 뿌리 채 뽑았다는 등의 장면을 묘사해놓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마지막에 계속 어둠속에서 느끼던 어떤 시선의 정체에 대해서 예견하는 표현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말 그대로 예견이거나 예감일 뿐, 적요 그 자체에 대해 드러내놓고 정면으로 대응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글 거의 대부분은 분위기 자체를 통해서 어떤 공포에 대한 예감을 조성하고 있을 뿐이다. 그런데 ‘적요’에서는 정면으로 그 공포와 마주하고 있다. ‘어둠의 집’에서 예견된 공포가 거의 실질적으로 표현된 아이의 죽음을 통해 바깥으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아니, 노인이 만든 어둠의 집에서 영영 감추어질 죽음으로, 그러하기에 내면으로 삼켜질 폭발로 끝을 맺고 있다고 보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 여기서 나는 두 가지 사실에 크게 전율했다. 하나는 적요가 가져다주는 공포 그 자체였다. 한 번도 조우해본 적 없기 때문에 더욱 공포스럽게 여겨지는 적요란 또 다른 공포의 이름에 대해 나는 전율했다. 그리고 또 한 가지는 오정희의 뛰어난 실험정신이었다. 사실, 나는 오정희가 어떤 개인적인 체험을 했는지는 모른다. 그렇지만 중요한 것은 그녀가 어떠한 체험을 했던지 간에, 이러한 극대화된 적요를 체험하기는 힘들었을 거라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녀는 글을 통해서 ‘어둠의 집’에서 시작된 적요란 공포의 예감을, ‘적요’란 소설을 통해 직접적으로 마주하고, 구체적으로 하나의 이야기를 통해 풀어내고 있다. 아마 이를 통해 그녀는 그녀가 느낄 수 있는 적요의 끝을 그녀 자신의 내면으로 삼키고, 소화해낼 수 있었을 것이다.


 이제 돌고 돌아 방만하게 떠벌렸던 글을 정리해보아야겠다. 사실, 처음에 나는 이 글을 통해 내 속에 감춰진 공포에 대해 까발리고, 앞으로 그 공포와 어떻게 조우해야 할지에 대해 쓰고 싶었다. 하지만 글을 쓰면서 아직은 경험해보지 못한 그 감정들을 다루기엔 너무 커서, 감당할 수 없다는 사실을 스스로 깨닫게 되었다. 사실, 공포란 말 자체가 너무나 추상적이기에 그것을 평으로 써낸다는 발상 자체가 어불성설일 것이다.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하나의 이야기와 실험으로써 체화시켜야 한다는 단 하나의 깨달음만을 여기에 우선 남겨두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