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
조너선 사프란 포어 지음, 송은주 옮김 / 민음사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Extremely Loud & Incredible Close

- 쌍둥이 빌딩과 함께 추락한 영혼들을 위한 염 혹은 날아오르기 위한 몸짓

 

 

  ‘Extremely Loud & Incredible Close' 제목만큼 화려한 책 표지를 보고서, 처음 안을 대강 훑어 봤을 때, 많은 그림들과 난립하는 글자들을 보고서, 하이퍼텍스트를 떠올렸다. 아마 군대를 제대하고서 복학한 후 98년이던가, 99년이던가. 정확하게 기억은 나지 않지만, 시인, 소설가, 평론가 등 각 분야의 최고의 문인 50명 이상이 모여서 ‘21세기 문학의 나갈 방향’, 뭐 이런 주제로 포럼을 했었다. 당시, 학교 신문사에 기자로 있던 후배가 문학동아리 회장이었던 내게 초정 티켓을 주어서 나는 우연히 참여할 수 있는 행운을 누렸었다. 그때 아마 처음으로 하이퍼텍스트에 대해 들어본 것 같다. 물론, 그 전에 장 보들리야르의 ‘시뮬라시옹’이니, 자끄 데리다의 ‘해체’, ‘차연’이니 하는 풍월들을 듣기는 했지만, 문학적 접근이라기보다는 철학적 접근에 가까웠고, 그에 따른 철학적 이해에 가까웠다. 여하튼 그때 들었던 이야기 중에 인상적이었던 내용은 이름만 들어도 다 알 듯한, 우리나라 최고의 시인, 소설가, 평론가들이 영화와 게임에 뒤처져 소외된 문학의 현실을 토로하며, 책 속에 인물에 따른 스토리 선택을 할 수 있는 설정의 소설이라든가, 문자와 함께 시각적, 청각적 기능을 병행할 수 있는 텍스트의 등장에 대해서 자못 심각하게 논의하였다는 사실이다. 동시에, 그런 하이퍼텍스트 소설의 등장이 결국은 영화와 게임에 문학이 스스로 자리를 내어주고, 이 시대에 더 이상 존재가치가 없다는 것을 자인하는 꼴밖에 되지 않는다는 격분과 토로가 함께 줄을 이었다. 당시 문학에 갓 입문한 나로서는 그 이야기가 자못 충격적이기도 하였고, 사실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도 있었다. 시가, 소설이 과연 하이퍼텍스트로 대치될 수 있을까? 지금도 나는 이 질문에 대해 무어라 대답해야 할 지, 잘 모르겠다. 다만, 등단을 했던 내 친동생이 자연스럽게 먹고 살 길을 찾아, 게임 시나리오 작가가 되고, 그런 동생을 통해 많은 문인들이 비록 게임의 어법과 문법 구조를 모르지만 그들의 이름을 빌려주고 있다는 사실을 전해 들었을 뿐이다. 어쩌면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이 소설은 이런 하이퍼텍스트의 기준에 거의 초기 단계라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막상 소설을 읽어 보았을 때 절감했지만, 마지막 부분을 제외하고, 중간, 중간에 나오는 그 많은 사진들과 문자들의 배치는 그저 동화책의 그림 대신 넣어진 곁가지 수준이었다. 그러하기에 지금 나는 이 글을 통해 이 소설의 하이퍼텍스트 기능이나 관점을 이야기하고 싶지는 않다. 오히려 문학적으로 이 글의 중심과 전혀 대치되어 있는 나의 중심에 관해, 그리고 역으로 하이퍼텍스트 기능을 문학적으로 잘 흡수시킨 마지막 몇 장에 관해 잠깐 서술하고 싶을 뿐이다.

 

 

  사실, 소설 중반까지 읽어 내려가기 전까지 나는 화자가 아홉 살짜리 꼬마 여자 아이인 줄 알았다. 개인적인 기질 상 어떤 표지의 내용이나, 역자의 이야기를 먼저 읽고, 소설을 읽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탓도 있고, 아마 역자가 남자가 아닌 여자였던 탓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그렇게 착각했던 이유는 처음의 몇몇 장의 문체에서 나는 아멜리에 노통의 ‘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을 떠올렸던 데다가, 화자의 상상력이 전혀 남성적이지 않은 여성적인 것이라고 일찍 단정해 버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반쯤 너무나도 명확하게 소년이라고 나오는 모습을 보고, 그만 어이를 상실해 버렸다. 어떻게 남자 꼬마 녀석이 그렇게 아버지한테 집착을 하고, 스포츠나 개구진 장난엔 도통 관심도 없고, 채식주의자에 무조건적인 평화주의자일 수 있는지. 그리고 취향은 또 얼마나 소녀다운지... 분홍색을 좋아하고, 노처녀 사감처럼 또래 아이들을 가르치고, 훈계하기를 좋아하다니. 도무지 이해가 가질 않았다. 물론, 아버지의 서재에서 우연히 발견한 열쇠의 비밀을 풀기위해 모든 Black들을 찾아다니는 그 모험정신과 엉뚱함은 곰곰이 생각해 보면 개구진 소년의 모습이기도 하지만. 그 외에 지나친 감성들, 숱한 강박과 두려움들은 소녀의 그것을 닮아 있었다. 게다가 사실 문체도 장 콕도의 영화에 나오는 부산한 여인들의 몸짓을 얼마나 닮아있는지, 난 작가도 여자라고 단언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인터넷을 뒤져보니 다소 샌님처럼 생기긴 했지만 분명히 남자였다. 대체 왜 이런 착각을 했던 것일까? 가장 큰 이유는 물론 내 주의력의 결핍과 사전에 내용을 알려고 하지 않는 나의 습성 탓일 게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잃어버린 내 소년 적의 감수성 탓일 것이다. 너무나도 오랫동안 남자는 이래야한다는 강박 속에서 나도 모르게 남자와 여자의 성역할을 구분해 왔고, 또 그 탓에 난 내게 없는 여성성에 대해 갈구하고 숭배하게 되었다.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여성을 온전히 하나의 인격으로 받아들이는데 항상 장애가 되어왔다. 무언가에 대한 지나친 신격화는 역으로 그것에 대한 증오와 복수심을 낳는다. 마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처럼. 그리고 그것을 처음 알게 된 것은 미시마 유키오의 ‘금각사’를 읽고 나서였다.

 

 

  ‘금각사’, 그 책은 동생의 소개로 처음 접하게 되었다. 사실, 당시 소설보다 시에 관심이 많았던 나로서는 그렇게 대수롭게 생각하지 않고 첫 장을 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런데 한 장, 한 장 넘어갈수록 그만 나는 그 소설에 함몰해버리고 말았다. 아니, 전복당해 버렸다. 소설의 주인공이 금각사를 불태우는 절정의 페이지 속에서, 함께 불살라지고, 내 속에 오랫동안 두려움으로 숨어 지내던 뫼르소의 총성이 울려 퍼졌다. 내 속엔 테러리스트의 피가 흐르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2001년 911테러가 발생했을 때, 내 입가에선 교활한 미소가 흐르고 있었다. 마치 내가 그 쌍둥이 빌딩에 들이받기라도 한 배후세력인양. 그래서 당시, ‘테러를 꿈꾸다’라는 제목으로 시를 쓰기도 하였다. 부끄럽지만 여기에 잠깐 그 시를 올려보고자 한다.

 

 

서쪽 멀리 먼 나라

여기저기에 테러가 발생했단다.

순간 입가에 드리운 교활한 미소가

동쪽 나라 사람들 피에 흐르는

콤플렉스처럼 번져 지고

힘으로 이루어낸 평화의 상징에

들이받은 배후세력처럼

수많은 죽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가슴이 뛰고 있었다.

 

 

강 건너 남쪽 동네에선

고급 백화점이 무너진 적이 있었단다.

여기저기 기적에 굶주렸던 열망들이

부활한 영웅들에게 그리스도들에게

온갖 뉴스로 난사되어질 때

북쪽 동네에 사는 내 궁핍함은

옹졸하고 한 많은 기도로

전복을 꿈꾸는 찌든 아이처럼

모두를 경멸하고 있었다.

 

 

이마 위 살짝 번진 미열이

새어나갈 곳을 찾지 못하고

배꼽 한 치 아래 불거진

구멍을 뚫고서 폭발하고 싶단다.

여기저기 비릿한 조명 아래 늘어선

여신들의 자태를 일그러뜨리고

돋아나는 음울처럼

거세된 애욕들이

서쪽 나라와의 거리 때문에

남쪽 동네와의 차이 때문에

소외된 육체의 두려움 때문에

허공에 적을 두지 못하고

테러를 꿈꾸다

 

 

  그 당시 한 번은 또 이런 일이 있었다. 학교를 등교하기 위해 버스를 탔는데, 그 버스가 그만 신호등에서 그 스피드를 멈추질 못하고, 하얀 불로 바뀌어 길을 막 건너려는 소녀를 들이받았다. 순간, 소녀의 육체가 일그러지고, 버스기사가 밖으로 뛰쳐나갔다. 버스에 있던 모든 사람들도 그 순간 모두 놀라, 자리에서 일어났다. 지나가던 사람들도 모두 발걸음을 멈췄다. 그러나 어느 누구 하나 감히 그 오그라든 육체를 부둥켜 울부짖을 순 없었다. 단 한 사람, 오직 그 무겁고 거대했던 스피드로 소녀를 들이받았던 버스기사를 제외하곤. 그 때, 난 불현듯 그런 생각을 했다. 누군가를 할퀴지 않는다면, 도리질 하지 않는다면 평생 누군가를 진정 사랑할 수 없을 거라고. 문학이란 게 어쩌면 이런 것일 거라고. 그 무거운 스피드 혹은 부둥켜안은 절규, 무력감.

 

 

  그러나 정녕 그것밖에 할 수 없는 것일까? 어떤 하나의 의미가 몸짓이 되어, 누군가를 위한 기도가 되고 염이 될 순 없는 것일까? 소녀의 죽음 없이, ‘그 날 나는 버스를 타고 등교했다.’라는 그 하나의 평범한 일상만으로 소설을 말할 순 없단 말인가? 정녕?

 

 

  처음 9살짜리 꼬마의 시선 탓인지 가벼웠던 소설은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시선을 통해 존재와 부재의 경계선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며, 911테러라는 그들의 끔찍했던 현존에게로 한 걸음씩 다가선다. 덩달아 비밀의 열쇠도 그 자물쇠의 주인을 찾아간다. 엄청나게 시끄럽게 찾아 헤맸지만, 믿을 수 없을 만큼 가까이 존재했던 주인에게로. 그렇지만 그 모든 것은 기막힌 우연이었을 뿐이다. 그 자물쇠의 주인이 아버지의 유품을 정리하면서 우연히 주인공의 아버지에게 그 열쇠가 들어있던 화분을 팔았었다는 사실.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그 화분 속에 아버지의 중요한 유품이었던 열쇠가 있었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았다는, 어쩌면 말도 안 되는 설정. 그렇지만 그로 인해 서로가 얼마나 서로를 찾아 헤맸는지 그리고 그 우연한 만남을 통해 서로에게 부재한 아버지를 발견하게 된다는 이야기. 거기에 마지막 주인공이 오랫동안 부재했던 그의 할아버지와 함께 아버지의 관 뚜껑을 열고서 아버지에게 부재했던 아버지를 만나게 해준다는, 어쩌면 거룩한 종교의식 같고, 반대로 부재 속에서 존재를 찾으려 하는 작은 몸짓 같은, 염 혹은 기도. 마지막으로 소설은 모든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아담과 이브의 시대 이전 부재의 시간으로 돌아가고, 동시에 떨어지던 아버지의 표상이 날아오르는 사진을 보여주며 끝을 맺는다.

 

 

  그러나 날아오를 수 있을까? 한 장, 한 장 펼쳐지는 책장의 그 사진들처럼 그 끔찍한 상흔들을 지우려는 몸짓들이 날아오를 수 있는 걸까? 우리의 끝없는 난립하는 이 문자들이 하이퍼텍스트를 넘어서 그렇게 훨훨 비행할 수 있을까? 결국, 소녀의 죽음 대신 소설 속에선 아버지의 죽음이 존재했고, 무거운 스피드의 버스 대신 911테러라는 역사적 사실이 대치된 건 아닐까? 아직도 내게서 쉬 지울 수 없는 테러리스트의 피는 허공에 적을 두지 못하고, 생생하게 찢기며 고통스러워하는 대상을 찾아 헤매고 있다. 그러나 언젠가 정녕 날아오를 수 있다면, 소녀와 아버지의 죽음을 그런 모든 상실들을 피할 수 있다면, 다시 신앙 없는 이 내 마음으로 기도하고, 염을 할지도 모르겠다. 그럴 수 있다면, 정녕 그럴 수 있다면, 맘껏 추락해 볼 것이다. 날개가 돋아 오르기를 한량없이 꿈꾸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