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본 백석 시집
백석 지음, 고형진 엮음 / 문학동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백석 시집 오금덩이라는 곳을 중심으로

 

 

 ‘라는 한 단어에 가슴이 찌릿하게 저려온다. 맨 처음 소설 모임에 들어왔을 때 내가 무엄하게도 들이밀었던 한 단어는 시적인 무언가와 같은 소설이었다. 맨 처음 소설이 아닌 시로 시작한 까닭에, 그리고 오에 겐자부로 작품 영향으로 난 시적인 무언가와 같은 소설이 정말 쓰고 싶었고, 그렇게 될 수 있다고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지만 그 때부터 10년이 넘은 지금, 나는 시적인 무언가와 같은 소설을 과연 쓴 적이 있을까? 아니, 시라는 그 마음 자체도 이제는 잃어버려, 머릿속에 맴돌기만 할 뿐, 시 한 줄조차 제대로 못 쓰고 있지 않은가? 이런 때 백석의 시집을 읽으니, 가슴이 먹먹하고 울컥거렸다. 사실, 전체적으로 내 취향의 시집은 아니다. 너무 향토색이 짙고, 언어들도 옛말인 까닭에 쉽지 않은 시들이었다. 게다가 어떤 정취를 통해 자신의 심정을 토로하는 시라는 건 공감하고 해석한다는 게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기도 하다. 다만, 시는 그저 한 단어, 한 단어 곱씹으면서 읽는 것이라고, 그렇게 한 문장을 읊는 것이라 배웠기에, 마음속으로 읊는 그 자체가 내게 큰 위안을 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예전 시들의 어떤 시적 가치의 단초가 될만한 시를 살짝 보았기에 지금부터는 그 시를 중심으로 조금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오금덩이, 국어사전에 안 나온 이 단어는 과연 무슨 뜻일까? 사실, 거의 개인적 추측이지만 병이 있을 때 다섯 가지 음식을 금한다는 오금(五禁)에서 이 뜻이 오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시적인 내용이 이러한 부분과 조금 상통하는 부분이 있는 이유이다.

 

 어스름저녁 국수당 돌각담의 수무나무 가지에 녀귀의 탱을 걸고 나물매 갖

 추어놓고 비난수를 하는 젊은 새악시들

 -잘 먹고 가라 서리서리 물러가라 네 소원 풀었으니 다시 침노 말아라

 

 캄캄한 저녁이 되기 전 성황당 돌무더기 앞에서 제사를 받지 못한 귀신들에게 젊은 처자들이 왜 비는 것일까? 다시 오지 말라고, 이제 잘 먹고 잘 살라고.

 

 벌개눞녁에서 바리깨를 뚜드리는 쇳소리가 나면

 누가 눈을 앓어서 부증이 나서 찰거마리를 부르는 것이다

 마을에서는 피성한 눈숡에 저린 팔다리에 거마리를 붙인다

 

 벌건 빛깔의 늪가에서 주발 뚜겅 두드리는 쇳소리가 나면 왜 누군가는 눈을 앓고, 피멍이 든 그 눈덩이에 찰거머리를 붙어야 하는 것일까?

 

 여우가 우는 밤이면

 잠 없는 노친네들은 일어나 팥을 깔이며 방뇨를 한다

 여우가 주둥이를 향하고 우는 집에서는 다음날 으레히 흉사가 있다는 것은

 얼마나 무서운 말인가

 

 여우가 우는 밤, 노인들은 흉사를 막기 위해 팥을 뿌리고, 방뇨를 한다. 민간의 속신에서 팥과 오줌은 귀신을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전해지는 까닭이다. 전염병이 다반사이던 그 옛날 여우는 다른 말로 그러한 재앙이 아니었을까? 그런 재앙에 어떤 의료적 대안이 없었던 그 시절 우리 선조들은 팥과 오줌으로 어떻게든 대처해보려고 자위했던 것일까? 아니면 또 다른 신화적 요인이 이 속에 숨겨져 있는 것일까? 굳이 의학적으로 풀지 않더라도, 팥과 오줌엔 병을 이기는 속성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옛날 시라는 건 하나의 신화적인 풀이의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 여기에 연장선상으로 칠월 백중이라는 시도 개인적으로는 무척 흥미롭게 읽었다. 물론, 내 개인이 오정희 소설집 유년의 뜰에서 백중을 소설적으로 풀이하는 과정에 남달리 강한 인상을 받아 백중에 조금 더 집착하는 구석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이 시를 보지 못했다면, 백중에 예전에 평안북도에서는 친가로 가는 풍습이나, 약물맞이를 하면서 옷이 다 젖도록 논다는 그런 풍습도 알지도 못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이 시도 거의 지역 풍토적인 해석일 가능성이 크지만, 그 안에 있는 신화적이고 민속적인 의미를 되짚어 볼 수 있는 시가 아닐까, 개인적으로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