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우 : 목련공원 Magnolia Park 바이링궐 에디션 한국 대표 소설 22
이승우 지음, 유진 라르센-할록 옮김, 전승희 외 감수 / 도서출판 아시아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련공원 마지막 총성이 울리기 전 생의 절정에 관하여

 

 

  개인적으로 봄꽃들 가운데 목련을 가장 좋아한다. 물론, 봄을 수놓는 꽃들은 가지가지이고, 저마다 아름다움의 이유가 있다. 그중 목련과 벚꽃은 새하얗게 만발한 그 자태만큼 유려하게 낙화하는 그 모습이 아름답다. 다만 그 차이가 있다면 무게의 차이일 것이다. 내겐 가볍게 흩날리는 벚꽃의 유려함보다는, 어쩐지 무겁게 그렇지만 결코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게, 유유히 떨어지는 목련의 낙화하는 모습이 늘 가슴 한구석에 맺혀 있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떨어지는 순간이 가장 아름답다고 느낀 그 이유 혹은 그 잔혹한 진실은 대체 무엇일까?

 

  이 글의 스토리는 어쩌면 너무 단순하다. 화자인 남자 주인공이 목련 공원으로 향하는 이유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런데 장례식장으로 유명한 이 목련 공원에 그는 동시에 결혼식 초대를 받았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 초대한 사람이 자신의 불륜 상대였다. 우연히 아는 지인의 미술 전시회에 초대받아서 들렸던 목련공원 내 찻집 목련에서 만났던 여자, 처음부터 그는 그녀에게서 어떤 불안한 예감을 가졌다. 그리고 그 불안함은 현실이 되어 그는 멈출 수 없는 그녀라는 늪에 빠지게 된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암컷 사마귀와 같은 그녀의 집게라는 족쇄에 갇히게 된다.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사마귀가 교미할 때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는 그 사실을. 하지만 거기서 어떤 에로틱한 감정을 느끼지 않는다. 하지만 목련 찻집의 그녀는 자신의 생명마저 내어주는 수컷의 정렬을 사랑이라 이야기하며 주인공을 그녀의 강력한 집게와도 같은 품으로 가둬버린다. 그 집게가 얼마나 강력한지 그는 늘 그 잔인한 품에서 벗어나길 발버둥 치지만 결코 벗어날 수가 없다. 그리고 또 얼마나 교묘한지 그녀는 그의 일상생활 범위로 그 집게를 좁혀 들어와, 아내가 있는 그의 집으로 수시로 전화를 걸기까지 한다. 마치 자신의 먹이가 잘 있는지 확인이라도 하는 양, 그렇게 그를 옥죄고, 결국 그 때문에 그는 자신의 아내와 별거하게 된다. 하지만 그의 아내는 목련 찻집의 여자와는 정반대로 너무나도 이성적인 여자이다. 비록 별거했지만, 그 사실을 그의 형제에게도 숨기고, 가족 행사 때면 남편인 주인공을 부르기까지 한다. 별거 후 딱 세 번, 그녀는 그에게 전화했는데 그 일이 모두 그녀의 형부와 관련된 일이었다. 왜냐하면, 집을 사기 위해 평생을 몸 바쳐 일했던 그의 형부가 별안간 암으로 시한부 판정을 받고, 이제 속절없이 마흔다섯이라는 나이에 이 세상에서 하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그 장례식의 발인 날과 그의 불륜 상대였던 목련 찻집 여자의 결혼식이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벌어지는 것이다. 물론, 그는 당연히 장례식장에 가야만 한다. 이제 그 여자에겐 그 어떤 미련도 끌림도 없다. 어느 날 갑자기 묘지에서 마지막 섹스 후 그녀는 차갑게 돌변하여, 마치 그를 모르는 사람처럼 대했다. 매달려 보고, 애걸해봤지만, 그를 용서하지 못 하는 그의 아내처럼 그녀에게서 되돌아온 것은 차가운 냉소뿐이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그는 그녀가 또 다른 애인에게 그에게 했던 것처럼 비슷하게 사마귀와 생쥐의 싸움 장면을 보여주는 것을 지켜보았다. 그런데 그의 예상과 달리, 사마귀가 방아깨비를 잡아먹는 것처럼 흡사하게, 사마귀가 생쥐를 기진맥진하게 만들어 자신의 집게로 생쥐를 파먹는 충격적인 장면을 목격하게 되었다. 그것은 너무나 잔인하고 공포스러운 장면이었다. 그 일을 계기로 그는 그녀를 깨끗하게 털어내고 단념했다. 그러하기에 그의 발걸음은 당연히 자연스럽게 장례식장으로 향하고 있었다. 그런데 산 밑에서 여러 발의 총성이 들렸다. 자연스럽게 그는 가던 길을 멈추고 산 밑으로 걸음의 방향을 바꾸었다. 그녀의 결혼식이었다. 한눈에 보아도 그녀가 총에 맞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마치 자기와도 똑같은 처지였을 한 남자가 검은 드레스를 입은 그녀를 끌고 가고 있었다. 순간 그는 속으로 어서 빨리 그가 방아쇠를 그녀의 가슴에 한 발 더 쏘아주기를 바랐다. 그래야만 그는 살 것이고 그녀의 구렁텅이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이 확실하니까. 하지만 그녀와 눈이 마주친 순간, 그는 그 순간에도 환하게 웃는 그녀의 모습을 보고, 끌고 가는 것이 그가 아니라 그녀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 소설을 읽어가면서 사실은 조금 너무 극적인 설정들이 많지 않나 생각했다. 장례식장과 결혼식장의 설정도 그렇고, 마지막 그녀를 향한 총성의 장면도 너무 극적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데 마지막 그 극적인 장치를 통해 이 소설의 또 다른 주인공인 목련 찻집 여자의 미소를 드러낸 순간, 그 총성으로 가기까지 그 모든 장치와 설정이 꼭 필요했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총성은 내 가슴에 찌릿하게 박혀, 토해내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소화하지도 못해, 가슴 언저리 어딘가에 내내 머물 것만 같다. 왜냐하면, 이제야 왜 내가 목련의 낙화를 생의 어떤 절정으로 동경했는지, 왠지 깨닫게 된 거 같으며, 동시에 이제껏 나를 끌고 온 그 무언가가 내가 아니라 욕망 그 자체이거나 거기서 폭발한 블랙홀이라는 사실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녀의 미소는 이렇게 이성적인 설명으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며, 표현할 길이 없다는 사실 또한 분명하다. 하지만 그 미소에 빠져들지 않기 위해, 자칫하면 자신의 모든 것을 표명하지도 못하고, 자신이 총을 쏘는 것인지, 총을 맞은 것인지 알 수도 없게, 그렇게 시나브로 젖어 들어 그 머금은 모든 피가 자신의 것인지 알 수도 없게 되어, 그렇게 넋이 나가지 않도록, 혹은 반대로 간절하게 그렇게 되기를 영영 바라도록, 그녀의 미소를 이 소설 너머 어딘가에 고이 놓아주거나 혹은 내내 간직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