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의 끝자락, 평일 파주 출판단지에 있는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으로 콧바람 쐬고 왔다.




주차장에서 미술관은 마치 숲으로 들어가는 기분이 든다.



모퉁이를 돌면 넓은 정원이 뙇!

아기자기 예쁜 가을색에 모두들 탄성이 나온다.

예상하지 못한 것에 더 즐거움이 있는 법이다.



미메시스는 '모방'이란 뜻.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은 포르투갈의 세계적인 건축가 알바루 시자의 작품....

이란다. 난 처음 들었 ^^;;

하나의 덩어리로 된 곡선과 직선이 조화로운 건축물이다.

미술관답게 빛설계를 해서 시시각각 자연광과 함께 달라지는 건축물과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책이 많네?

아...읽은 책들도 꽤 있다, 반갑다.





























그런데 다 열린책들 출판사 책이다.

알고보니...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은 열린책들 출판사에서 운영한단다.

주차장이 있던 건물이 출판사 건물이었던 것. 



자유관람하고 시간이 맞아서 도슨트를 들었다. 

평일에도 도슨트 있는 건 좋았는데 생각보다 내용은 그닥...

딱히 안들어도 되었을듯하다.

도슨트 들어서 안 내용은 이 계단의 제일 아랫단에 건축가 알바루 시자가 숨겨놓은 표식이 있다는데...

사진상 안보인다.

말해줘도 특별해 보이진 않았다.



건축물 모형을 한눈에 보니 눈에 잘 들어오네.







이번 전시는 구지윤, 김지선, 박광수 세 작가의 작품을 볼 수 있다.

단단한 추상이라는 주제전시, 추상화는 역시 어렵다.

작품해석은 각자의 몫이지. 정답이 있겠나.

세 작가의 작품색이 뚜렷하다.

특히 기억 속의 장면을 소리로 녹음하고 그것을 표현한다는 김지선 작가의 위 작품, 'Happiness does not wait' 이 맘에 든다.



미술관 자체도 예술품.

미술 작품과도 멋지게 어우러진다.



1층은 미술관 입구이자 카페.

커피맛은 좋았음.

양은 좀 적음.

스벅으로 하면 숏 보다 적은 느낌.

미술관 입장권 있으면 1000원 할인해 준다.



돌아오는 길, 석양에 비친 윤슬이 참 예뻤는데 달리는 차 속도에 타이밍 놓침.

찰나의 순간, 인생이 다 그런거지, 뭐.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란공 2024-11-15 08: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공간이 예쁘네요. 좋은 곳을 알았습니다~!^^

딸기홀릭 2024-11-15 08:52   좋아요 1 | URL
이미 예쁜 카페로 유명하더라구요
한번 들러보셔도 좋아요~

그레이스 2024-11-15 09: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여기 저장해두었습니다!^^

딸기홀릭 2024-11-15 09:22   좋아요 1 | URL
꼭 도장 깨세요~^^
 

꿀벌과 천둥을 2018년 1월에 읽었다고 북플에 써놨었네
축제와 예감이 나온 것은 그로 부터 3년후이지만 난 이걸 만7년이 지나가는 이제서야 읽었다
정말이지 참 재밌었다...는 기억만 남아있다
도무지 선물같다는 주인공들의 또다른 얘기가 하나도 안들어온다
꿀벌과 천둥을 기회가 되면 다시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까지 본 바로는 남의 속사정이나 나쁜 소식 같은 것들이 가장 인기 있는 이야기였다. 남의 이야기는 하기 쉬웠고 나쁜 이야기는 흥미를 끌었다. 그러니까 결국, 멀리 그리고 빨리 퍼지는 소문의 핵심은 다름 아닌 타인의 불행이었다.

- P1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늘어나는 뱃살에 대해 더 이상 ‘나잇살‘이라며 나이 핑계를 댈 수 없게 됐다. 60세가 되기까지는 에너지대사가 느려지지 않는다는 최신 연구 결과 때문이다. 체격이 크고 근육량이 많을수록 에너지 소비가 크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하지만 체중 1kg당 에너지 소비율은 20세부터 60세까지 일정하게 유지된다.

- 1세까지의 유아기: 열량 소모가 제일 크고 성인에 비해 에너지대사가 50% 더 높다
- 1세부터 20세까지: 유아기의 가장 높은 에너지대사율이 1년에 3%씩 줄어드는 시기
- 20세부터 60세까지: 20세 때 에너지대사율이 그대로 유지되는 기간
- 60세 이후: 에너지대사율이 매년 0.7%씩 감소

나이 들수록 에너지대시율이 줄어들어서 살찌기 쉽다는 그간
의 통념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연구 결과이다. 놀라운 것은 이게 다가 아니었다. 남성, 여성의 성별에 따른 대사율 차이도 없었고 중년 여성의 대사율이 완경기 이후에 낮아지지도 않았다.

- P198

불행히도 운동으로 소비 열량을 늘리더라도 다른 데서 열량을 절약해 보충하는 경향은 체지방이 많은 사람에게 더 강하게 나타난다. 보통 사람이 운동으로 100kcal를 소비하면 몸이 28kcal를 절약해서 실제 효과는 72kcal를 더 소모하는 데 그친다면 체지방이 많은 사람은 50kcal까지 보충하는 경향이 있다. 같은 운동을 하더라도 체지방이 많으면 효과가 떨어진다는 이야기이다.
운동을 안 하던 사람이 운동을 해도 에너지 소비량은 그에 비례해서 늘어나지 않는다 (...) 그러니 운동만으로는 살을 때기 어렵다. 식단 조절이 반드시 필요하다. 바로 이것이 운동만으로 소식을 대신할 수 없는 이유이다.

- P203

요약하면 이런 이야기이다. 운동 뒤에 약간의 산화물질(활성산소종)이 생겨나면 인체에는 건강한 자극이 된다. 마치 소식이나 간헐적 단식이 우리 몸에 에너지 섭취가 부족하다는 신호를 주는 게 긍정적 효과로 이어지는 것처럼 운동도 몸을 조금 힘들게 해서 효과를 낸다. 운동으로 인한 염증도 비슷하게 작용할 수 있다. 운동을 하면 약간의 염증이 유발된다. 하지만 이런 염증으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항염증 효과가 더 크다. 운동하고 난 직후에는 몸이 힘들게 느껴지지만 운동과 휴식을 반복하는 과정에사 전보다 더 건강해진다는 뜻이다.

- P2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